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7_20세기100선

057.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 Orientalism by Edward W. Said, 1978

忍齋 黃薔 李相遠 2024. 8. 22. 13:44
반응형

https://youtu.be/DpSsdstgdgY

 

 

057.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 Orientalism by Edward W. Said, 1978

.

(에드워드 사이드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나라 없는 ‘난민’이자 테러리스트로 불리고, 자신을 주장하기는커녕 언제나 비난받는 존재로 왜곡되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운명이 팔레스타인만이 아니라 동양 전체의 것임도 알게 되었습니다. ‘오리엔탈리즘’에서 지적한 ‘발전한 서양과 낙후한 동양’이라는 식의 대비는 서구가 비서구 세계를 인식하는 고정불변의 공식입니다. 지난 이라크전(戰)에 대한 미국의 입장도 여기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라크인을 판단력과 자기운명을 결정할 능력이 없는 어린애로 여기고, 영원히 어른이 못되는 ‘피터 팬’을 대신해 무지몽매한 지도자 후세인을 죽이는 정의의 ‘샘 아저씨’를 자처했기 때문입니다. 이라크의 테러와 무질서, 전근대성도 질서와 안정, 선진문명을 소지한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정당화하는 상투적 표현입니다. ‘미국이 미숙한 이라크인을 훈육하여 성숙한 어른으로 만든다’는 명제는 ‘우수한 인종인 서구인이 미개한 동양인을 지배하여 문명세계로 인도한다’는 19세기 서구 제국주의의 논리와 흡사합니다. 오늘날의 대제국 미국이 가르쳐서 ‘어른’으로 키우려던 나라들이 팔레스타인, 아프가니스탄, 이란, 라이베리아, 베네주엘라, 북한 등 모두 비서구 국가인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이는 제국주의를 지지한 동양에 대한 서구의 차별적 인식, 곧 오리엔탈리즘의 지속된 유산입니다. 여기에 도전한 이가 바로 에드워드 사이드였습니다.)

.

 개인적으로도 그분의 특강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영원한 아웃사이더로서 '지적테러리스트'라는 별칭을 지닌 , 좌파지식인인  보이면서도 마르크스를 배척했고, 팔레스타인이면서도 개신교도였으며, 아라파트의 민중 희생적 저항을 신랄하게 비판했으며 망명의회 국회의원도 거부한 별종의 이단아였습니다. 1990년대  이런저런 개인적인 질문을 했더니 대뜸 자신이 1996 한국을 방문했으며, 방문하기  한국계의 문명비판 논문을 수백 편을 훑어보았다면서, 한국의 지성들은 어찌하여 한결같이 미국 제국주의는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실질적인 위협 가능성이 높은 중국 제국주의에 대하여는 침묵으로 일관하느냐고 나무라는 것입니다. 얼굴이 화끈거렸지만 제가 공학을 전공하고 있고 단지 당신의 '오리엔탈리즘' 감동되어 특강도 듣고 궁금한 것도 물어보게 되었다고 양해를 구했더니 호탕하게 웃더군요. 아쉽게도 2003 67세의 나이로 우리 곁을 떠나갔습니다. 

.

에드워드 사이드의 생애 – Life of Edward W. Said

.

미국의 영문학자·비교문학가·문학평론가·문명비판론자·정치 활동가였던 에드워드 와디 사이드(Edward Wadie Said, 1935 11 1~ 2003 9 24) 193511 1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국의 위임 통치 하에 있던 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기독교인 가정에서 태어난 사이드는 1 세계 대전 당시 미군에서 복무했던 아버지를 통해 미국 시민이 되었습니다. 사이드의 부모는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났습니다. 사이드의 어머니 힐다 사이드(Hilda Said ‘Musa’)’ 팔레스타인인과 레바논인의 혼혈로 나사렛에서 자랐고 사이드의 아버지 와디 “윌리암” 사이드(Wadie "William" Said)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사업가였습니다. 부모 모두 개신교를 고수하는 아랍기독교인 이었습니다. 1 세계 대전 동안 아버지는 미국 원정군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자신과 직계 가족을 위해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1919년에 아버지와 사이드의 당숙은 이집트 카이로에서 문구업을 시작했습니다. 두 살때 영어와 아랍어 문장을 구사했고, 수학과 음악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

사이드는 예루살렘 성공회 교구  운영하는 영국계 학교인 세인트 조지 스쿨(St. George's School)’ 입학했지만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유대인 간의 폭력이 심화되면서  이상 학교에 다닐  없게 되자 학교에 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1947년에서 1949년사이에 팔레스타인 전쟁이 발발하고 이스라엘이 건국하자 이집트 카이로로 이주하여 영국계 초등학교인 빅토리아 칼리지를 다녔습니다. 같은 반 친구로는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과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귀족소년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후일 각 나라의 장관, 총리, 주요 사업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이드는 학업 성취도가 높았지만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실현하는 카이로  영국 초등학교의 생활은 아랍인으로서 소수가  수밖에 없었던 사이드를 문제아 만들어 1951년에 퇴학당했습니다. 그래서 사이드는 홀로16살의 나이로 미국유학을 감행하여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노스필드 마운트 허먼 학교(Northfield Mount Hermon School)’ 등록했습니다. 

.

 학교는 사회적 엘리트 계층을 위한 대학 진학 예비 기숙 학교였으며, 사이드는 1 동안 사회적 소외감에 시달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드는 학업적으로 계속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160명의 학생   1, 2등을 유지했습니다. 사이드는 중동에서 멀리 떨어진 미국으로 유학간 것이 "우리 팔레스타인인과 같은 뿌리가 뽑힌 사람들의 전망이 너무 불확실해서 나를 가능한  멀리 보내는 것이 최선일 "이라는 부모의 결정이었다고 회고했습니다. 이런 떠돌이 생활로 인한 어색함, 향수병은 학생이었던 사이드에게  영향을 미쳐 그의 작품과 세계관에 불협화음’이 주제가 되었습니다. 사이드는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에 능통했습니다. 사이드는 개신교도로 자랐지만, 후년에 불가지론 자가 되었습니다. 사이드는 1957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도덕적 비전: 앙드레 지드와 그레이엄 그린"이라는 제목의 졸업 논문으로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60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1964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사이드는 안토니오 그람시, 프란츠 파농, 에메 세제르, 미셸 푸코, 테오도르 W. 아도르노를 깊게 연구하여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1966년 사이드의  번째 출판서적인 조셉 콘라드와 자서전의 허구(Joseph Conrad and the Fiction of Autobiography, 1966)’ 그가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제출한 박사 학위 논문이었습니다. 박사학위를 마치기도 전인 1963 사이드는 영문학과 비교문학 교수로 컬럼비아 대학교에 합류하여 2003 작고할때까지 근무했습니다. 컬럼비아 대학교 문학 교수로서 그는 포스트 식민주의 연구의 창시자   명이었습니다. 1974 사이드는 하버드 대학교의 비교문학 겸임교수가 되었고, 1975년과 1976년에 사이드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행동 과학 고급 연구 센터 펠로우를 겸했습니다. 1977 사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의 파(Parr) 석좌교수가 되었고, 이후 올드 도미니언 재단(Old Dominion Foundation)’ 인문학 교수가 되었습니다. 1979년에는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인문학 겸임교수가 되었습니다. 

.

사이드는 또한 예일 대학교의 방문 교수를 지냈으며 북미, 유럽  중동의 200개가 넘는 다른 대학에서도 강의했습니다. 특히 사이드에게 문제가  것은 야시르 아라파트가 1967 이전 이스라엘의 그린 라인 영토에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의 집과 재산으로의 귀환권을 저버렸다는 그의 믿음과 아라파트가 1967 팔레스타인 정복 이후 설립된 점령지에 있는 이스라엘 정착촌의 정치적 위협이 커지고 있음을 무시했다는 것입니다. 1992년에 사이드는 정교수로 승진했습니다. 1993년에 사이드는 BBC 연례 라디오 강연시리즈인 라이스강의(Reith Lectures)’에서 지식인의 표현’ 6부작을 강연했고, 사후인 2011년에 BBC가 출판하여 현대 사회에서 대중 지식인의 역할’을 알렸습니다. 사이드는 문화와 제국주의(Culture and Imperialism, 1993)’를 비롯한 그의 저서에서 문화 기록 보관소(Cultural Archive)’라는 용어와 개념을 언급했습니다. 사이드는 문화 기록 보관소가 제국 정복에 대한 투자가 개발되는 장소이며, 이러한 기록 보관소에는 "서사, 역사, 여행 이야기"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

사이드는 문화 기록 보관소의 붕괴에서 서구 제국 프로젝트의 역할을 강조하고 비교 문학, 영문학, 인류학과 같은 학문이 제국 개념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있다고 이론화했습니다. 사이드는 공적 지식인(public intellectual)’으로서 1977년부터 1991년까지 팔레스타인의 귀환권을 통합한 2국가 솔루션을 지지하는 팔레스타인 국민 평의회(PNC)’ 일원이었으나, 1993 오슬로 협정을 비판한  사임했습니다. 사이드는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에서 정치적, 인도적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 정착촌의 확장이 증가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1995 사이드의 정치적 비판에 대응하여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PA)’ 사이드의  판매를 금지했으나, 2000 미국 캠프데이비드에서 열린 중동평화회담에서 사이드가  후드 바라크 총리의 제안을 거부한 야세르 아라파트를 공개적으로 칭찬하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PA)’  판매 금지를 해제했습니다. 

.

1990년대 중반, 사이드는 이스라엘 샤학 (Israel Shahak)’  유대교 역사, 유대 종교: 3 년의 무게(Jewish History, Jewish Religion: The Weight of Three Thousand Years, 1994)’ 유대 근본주의에 대한 서문을 썼는데,  서문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을 학대하는 것은 유대인이 비유대인인 이방인에 대한 살인을 포함한 범죄를 저지를  있는 유대교적 허가에 기인한다는 문화적 명제를 제시했습니다. 사이드는 서문에서 유대교 역사, 유대 종교가 "현대 이스라엘을 이해하는데 관련이 있는  고전적이고 현대적 유대교의 간결한 역사에 불과하다" 말했고, 역사가 샤학’이 현대 이스라엘을 팔레스타인 타자의 비인간화를 허용한 "유대-나치" 문화적 분위기에 포함된 국가로 묘사한 것을 다음과 같이 칭찬했습니다. “아랍 환경, 팔레스타인 역사, 이스라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안했으며, 고통받는  공동체인 아랍과 유대인 간의 협상된 합의만이 끝없는 전쟁으로부터 휴식을 제공할 것이라는 명확한 결론을 내렸습니다.”

.

1998 사이드는 과거와 현재 팔레스타인에 대한 BBC 다큐멘터리 영화 팔레스타인을 찾아서(In Search of Palestine)’ 만들었습니다. 사이드는 아들 와디와 함께 어린 시절의 장소를 다시 방문하고 현대 서안 지구에서 평범한 팔레스타인인에게 가해진 불의에 맞섰습니다. 미국에서 BBC 영화에 부여된 사회적, 문화적 명성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는 그 어떤 미국 텔레비전 방송에서도 방영되지 않았습니다. 사이드는 1999년에 지속 가능한 평화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국가 하나에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이드는 이스라엘의 현상 유지에 대한 자신의 반대 관계를 "선택과 행위가 개인에게 돌아가도록 선별하고, 판단하고, 비판하고, 선택해야 하는" 공적 지식인의 임무로 정의했습니다. 2000 7 3, 아들 와디와 함께 중동을 여행하던 사이드는 블루 라인 레바논-이스라엘 국경의 블루라인 너머로 돌을 던지는 모습이 사진에 찍혔는데,  사진은 테러리즘에 대한 타고난 개인적 동조를 보여주는 그의 행동에 대해 많은 정치적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그리고 해설(Commentary)’잡지의 저널리스트 에드워드 알렉산더’는 사이드가 돌을 던진 이유로 사이드를 "테러 교수"라고 불렀습니다. 사이드는  던지기를 개인적, 정치적 이중적 행동으로 설명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일대일 기술 경연 대회이자, 이스라엘의 남부 레바논 점령 (1985~2000)’ 끝난  아랍인의 기쁨을 표현한 것이었습니다. "그 돌은 작은 조약돌이었고, 사정거리엔 아무도 없었습니다. 국경경비초소는 적어도  마일 떨어진 곳에 있었습니다."라며 팔레스타인 아랍인으로서 이스라엘 유대인에 대한 상징적 퍼포먼스 였음을 강조했습니다. 레바논 베이루트의 주요 아랍어 일간지 아스 사피르(As-Safir, 대사)’ 레바논 지역 주민을 인터뷰했는데, 그는 사이드가 2층짜리 경비실을 지키던 이스라엘 방위군 (IDF)’ 병사들과 30피트, 약 10미터도 떨어져 있지 않을  돌을 던졌고, 돌은 경비실 앞의 철조망에 맞았다고 말했습니다. 

.

미국에서 사이드의 행동은 컬럼비아 대학의 일부 학생들과 브나이 브리스 인터내셔널(B'nai B'rith International,성약의 아들들)’ 반명예훼손연맹(Anti-Defamation League)’으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대학 교무처장은 "제가 아는 , 돌은 누구에게도 향하지 않았습니다. 법을 어기지도 않았고, 기소도 하지 않았으며, 사이드교수에 대한 형사 또는 민사 소송도 제기되지 않았습니다."라며 사이드의 행동이 학문의 자유에 따라 보호받는다고 명시한 5페이지 분량의 편지를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2001 2 오스트리아 프로이트 학회는  던지기 사건으로 인해 사이드의 강의를 취소했습니다. 프로이트 학회장은 "학회 대부분의 임원이 내부 갈등을 피하기 위해 사이드의 프로이트 강의를 취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이드 교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을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라며 강의 취소이유를 설명했습니다.

.

사이드는 이슬람을 취재하다: 미디어와 전문가들이 우리가 나머지 세계를 보는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Covering Islam: How the Media and the Experts Determine How We See the Rest of the World, 1997)’ 개정판에서 중동과 이슬람에 대한 서방 뉴스 매체의 보도에서 동양주의적 편향을 비판했는데, 특히 "건물 폭파, 상업용 항공기 파괴,  공급원 오염에 대한 최근의 음모에 대한 추측" 사설로 다루는 경향을 비판했습니다. 사이드는 코소보 전쟁 (1998-99)’ 대한 미군의 개입을 제국 주의적 행위로 비판했고, 클린턴 행정부때 공포된 이라크 해방법 (1998)’ 2003 이라크 침공을 가능하게  정치적 허가증으로 묘사했으며, 이는 2002 10 2일 이라크 결의안으로 승인되었습니다. 또한 연이은 미국 대통령 정부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은 중동의 지역적 정치적 불안정을 영속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백혈병을 앓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드는 대중 지식인으로서 2003 중반에 있었던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계속 비판했습니다. 

.

그리고 이집트의 알아람 위클리(Al-Ahram Weekly)’신문의 2003 4 2일자 "희망의 자원" 기고기사에서 사이드는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전쟁이 정치적으로 잘못 생각된 군사적 사업이라고 말했습니다. 2003, ‘하이다르 압델-샤피’, ‘이브라힘 다칵’, ‘무스타파 바르구티’, 그리고 사이드는 바르구티가 이끄는 -무바다라(팔레스타인 국민 이니셔티브 )’ 설립했습니다. 바르구티는 팔레스타인의 통상적인 양당 정치에 대한 대안이 되고자 하는 3 개혁 민주주의 정당입니다.  정당의 이념은 사회민주주의 파타와 이슬람주의 하마스의 극단주의 정치에 대한 대안이 되는 것입니다. 사이드가  단체를 설립한 것과 팔레스타인과 관련된 그의 다른 국제적 정치 활동은 미국 정부에 의해 주목을 받았고, 사이드는 1972 이후 더욱 강화된 FBI 감시를 받게 되었습니다. 에버그린 주립 대학의 인류학자 데이비드 프라이스’는 카운터펀치’를 대신하여 정보공개법’을 통해 사이드에 대한 FBI 파일을 공개요청했고, 그의 조사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사이드의 FBI 파일  공개된 페이지는 FBI 사이드의 책을 읽고  내용을 워싱턴에 보고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사이드는 수많은 학회의 회원이었습니다. 사이드는 대중 지식인일 뿐만 아니라 유능한 피아니스트였으며  네이션(The Nation)’ 매거진의 음악 평론가로 일했고 음악에 관한 음악적 정교함(Musical Elaborations, 1991)’;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과 함께 2002년에 출간한 평행선과 역설: 음악과 사회에 대한 탐구(Parallels and Paradoxes: Explorations in Music and Society, 2002)’; ‘후기 스타일: 음악과 문학의 흐름에 반하다(On Late Style: Music and Literature Against the Grain, 2006)’; ‘한계에 도달한 음악(Music at the Limits, 2007)’ 등 네 권의 책을 썼습니다. 마지막 책에서 사이드는 대담한 작곡과 강력한 연주에서 자신의 문학적, 역사적 사상에 대한 음악적 반영을 찾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작곡가 모하메드 파이루즈(Mohammed Fairouz)’ 그의 작품이 사이드로 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술회했습니다. 파이루즈의  번째 교향곡이 이집트의 댄서, 배우, 정치적 활동가인 타히아 카리오카(Tahia Carioca)’ 에세이 밸리댄서에게 바치는 헌사(Homage to a Belly-Dancer, 1990)’ 주제로 작곡되었습니다.

.

또한 망명에 대한 성찰 (Reflections on Exile, 1984)’이라는 제목의 피아노 소나타는 망명 생활에 내재된 감정을 주제로 작곡되었습니다. 1999 사이드와 아르헨티나-이스라엘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스페인 세비야에 기반을 둔 젊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아랍 음악가들로 구성된 서부-동부 디반 오케스트라(West-Eastern Divan Orchestra)’ 창립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세비야에 바렌보임-사이드 재단(Barenboim-Said Foundation)’ 설립하여 음악을 통한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했습니다. ‘바렌보임-사이드 재단’은 서부-동부 디반 오케스트라’를 관리하는  외에도 세비야에 있는 오케스트라 연구 아카데미(Academy of Orchestral Studies)’, ‘팔레스타인 음악 교육 프로젝트(Musical Education in Palestine Project)’, ‘유아 음악 교육 프로젝트(Early Childhood Musical Education Project)’ 관리했습니다. 사이드는 학자, 비평가, 문필가로서의 전문적인 삶 동안 명예, 회원 자격, 전 세계 명문 기관에서의 직위 외에도 약 20개의 명예 대학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2년부터 사이드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걸려 고통을 받았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는 2001년 9·11 테러 이후 부시가 발표한 팔레스타인 평화안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제국주의를 비판하다가 과로로 2003년 9월 24일, 67세의 나이로 뉴욕시에서 사망했습니다.

.

그는 평생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항한 투쟁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 자신이 지식인의 본분이라고 주장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서 망명자·고향상실자·아웃사이더로 자기 사회를 냉정하게 관찰하는 비판적인 소수자로 살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모든 인간과 민족, 그리고 문화의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다문화주의에 의한 인류 통합과 공존, 유연과 관용을 주장했습니다. 사이드는 아내 “마리암 C. 사이드(Mariam C. Said)’, 아들 ‘와디 사이드(Wadie Said)’, 딸 ‘나즐라 사이드(Najla Said)’를 남겼습니다. 추모사를 쓴 사람은 ‘알렉산더 콕번(Alexander Cockburn)’의 ‘강력하고 열정적인 마음 (A Mighty and Passionate Heart)’, ‘시머스 딘(Seamus Deane)’의 ‘인본주의의 후기 스타일(A Late Style of Humanism)’, ‘크리스토퍼 히친스Christopher Hitchens)’ 에드워드 사이드에 대한 작별사(A Valediction for Edward Said)’, ‘토니 저트(Tony Judt)’ 뿌리 없는 코스모폴리탄(The Rootless Cosmopolitan)’, ‘마이클 우드(Michael Wood)’ 에드워드 사이드에 대하여(On Edward Said)’  타리아 알리(Tariq Ali)’ (Edward Said, 1935–2003 기억하며)입니다. 사이드는 자발 레바논(Jabal Lubnan)’ 브루마나(Broumana)’ 있는 개신교 묘지에 묻혔습니다. 

.

그의 묘비에는 그가 2003 9 25일에 사망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2002 아랍에미리트의 건국자이자 대통령인 셰이크 자이드  술탄  나이한(Sheikh Zayed bin Sultan Al Nayhan)’등 권력자와 재력가들이 컬럼비아 대학교에 에드워드 사이드 네임드 석좌교수직’ 재원을 기부했으며 ‘라시드 칼리디(Rashid Khalidi)’ 등이 석좌교수직을 지냈습니다. 2004 11 팔레스타인에서 비르차이트 대학교(Birzeit University)’ 음악 학교의 이름을 에드워드 사이드 국립 음악원(Edward Said National Conservatory of Music)’으로 변경했습니다. 2012년에는 ‘바렌보임 -사이드 아카데미’가 설립되어 에드워드 사이드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6 캘리포니아 주립대 프레즈노 캠퍼스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이름을  중동학 석좌교수직 신설을 위한 지원자 심사를 시작했지만, 수개월간 지원자를 심사한 끝에 프레즈노 주립대는 지원자 모집을 취소했습니다. 그 과정을 지켜본 일부 학자들은 이스라엘 지지 개인  단체의 압력으로 인해 취소되었다고 증거들을 제시하며 주장했습니다.

.

에드워드 사이드의 사상: 오리엔탈리즘 – Thought of Edward W. Said: Orientalism

.

부유한 가정환경에서 정치에 무관심했던 사이드가 팔레스타인의 정치 현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공교롭게도 마르틴 부버’때문입니다. 마르틴 부버가 접수하여  집이 '에드워드 사이드 (Edward Said)' 집입니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기회 있을 때마다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탄압의 예로  이야기를 하곤 했습니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1935 예루살렘에서 태어나 2003년에 백혈병으로 미국 뉴욕에서 사망하기까지 프린스턴 대학을 나오고 하버드 석박사에 컬럼비아 석좌교수로서, 영문학자로서, 문학평론가로서, 음악비평가로서, 피아니스트로서, 그리고 어린 시절 이스라엘 병사에게 돌을 던지는 팔레스타인 전사로서 치열한 삶을 살았습니다 (https://yellowroses.tistory.com/15852089). 에드워드 사이드는 현대 중동학에서 가장 인정받은 학자로, 1978년에 발간한 대표적인 저서 '오리엔탈리즘'으로 제국주의에 근거한 서양 위주의 사고방식을 비판하였습니다. 1967 6 전쟁 이후, 사이드는 미국 뉴스 매체가 아랍-이스라엘 갈등을 설명하는데 사용한 고정관념적, 사실적, 역사적, 문화적인 허위 표현에 반박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행동하면서 대중 지식인이 되었습니다. 

.

잘못 인식된 오리엔탈리즘을 다루고 설명하고 바로잡기 위해 1968년에 사이드는 아랍인의 모습(The Arab Portrayed)’을 출판했습니다. 사이드는 2003 워싱턴 대학에서 열린 컨퍼런스 강연에서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토적 주장을  근거가 있다고 단언했지만, 그것이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지역에 거주해  유대인과 아랍인 포함한 모든 인종 집단에 대한 "유일한 주장 또는 주요 주장" 아니라고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저는 유대인의 주장이나 시오니스트의 주장이 유일한 주장이거나 주요 주장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저는 그것이 다른 많은 주장들  하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확실히 아랍인들은 유대인보다 팔레스타인에서 실제로 거주한 역사가  길기 때문에 훨씬   주장을 할 수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역사를 살펴보면, 팔레스타인에서 실제로 이스라엘이 지배했던 기간은  200년에서 250년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와  전후에 팔레스타인에는 모압인 , 여부스인, 가나안인, 블레셋인 같은 다른 많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

그리고 그들을 고립시키고 '그게  땅의 진짜 주인이 유대인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시온근본주의입니다. 그것을 뒷받침할  있는 유일한 방법은 '신이 우리에게 그땅을 주셨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유대인을 포함하여 일정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에 거주한 역사가 있는 사람들, 물론 아랍인도 포함하여, 주장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어떤 주장도 다른 모든 주장을 무시하고  주장으로 사람들을 몰아낼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주장은 아무에게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이디의 2003 5 8일 강연 제국의 연속성  팔레스타인, 이라크  미국의 정책에서 유대 근본주의자들이 전통적으로 유대인/이스라엘의 주장이 아랍/팔레스타인의 주장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기 위해 신을 인용해  종교적 시오니즘에 대한 사이드의 주장은 그러한 정당화가 본질적으로 비이성적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유는 무엇보다도 모든 민족적, 문화적 배경에 속한 기독교도와 무슬림이 신앙을 근거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우선적 영토적 주장을   있기 때문입니다.

.

오리엔탈리즘의 내용 – Content of Orientalism, 1978

.

오리엔탈리즘이란 본래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 동양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 ‘오리엔탈리스트’의 연구업적을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유럽이 세계를 이해함에 있어, 친숙한 ‘우리 서양’과 낯선 ‘그들의 동양’으로 이분했다고 파악했습니다. 가장 큰 대비는 ‘서구는 문명’이고 ‘동양은 야만’이었습니다. 낙후한 동양인은 비합리적이고 타락한 어린애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어른인 서양인에 비해 열등하다고 간주되었습니다. 유럽은 근대 서구인의 동질적 시선으로 동양을 파노라마처럼 바라보고 열등한 타자(他者)로 정형화했습니다. 서양을 가치의 중심에 두고 동양을 ‘불완전한 동양’으로 여긴, 동과 서라는 인위적 경계와 구분은 힘센 서양이 서양을 위해 서양과의 관계에 따라 동양을 규정하는 ‘정치적으로 옳지 않은(politically incorrect)’한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이 책은 오리엔탈리즘의 기반이 되는 문화적 표상, 즉 서양 세계가 동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판하는 기초적인 텍스트입니다.

.

그의 텍스트 분석 모델은 문학 이론, 문학 비평, 중동 연구 연구자들의 학술적 담론을 변화시켰습니다. ‘오리엔탈리즘’은 계속해서 서양 미술이 고대 부터 고정관념으로 동양을 잘못 표현해 왔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기원전 472년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페르시아인에서 그리스 주인공은 동양의 진정한 본질을 잘못 인식하여 실패했습니다. 아시아에 대한 유럽의 정치적 지배는 가장 표면적으로 객관적인 서양 텍스트조차도 동양에 대해 편향시켰으며, 이는 서양 학자들이 아시아의 언어, 역사, 사람들을 연구, 탐구, 해석하는 학문적 작업인 문화적 지식의 생산을 스스로 전유하면서 인식하지 못한 정도였습니다. 따라서 동양학 연구는 식민지화된 사람들인 식민지 하위 계층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말할  없었기 때문에 그들만의 국가 역사를   없었음을 암시합니다. 이러한 제국적 상황에서 서양의 동양학자들은 동양의 역사를 기술했으며, 따라서 아시아의 현대적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했는데, 서양이 본받아야  문화적 기준이며, "이국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동양인들이  기준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는 관점을 취했습니다.  

.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서양의 작가, 디자이너, 예술가들이 동양 문화의 여러 측면을 묘사하거나 모방하는 것을 이릅니다. "오리엔탈리스트" 말은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있으나, 동양을 연구하는 학자를 이르는 전통적인 용어이기도 합니다. 오리엔탈리즘은 예술사에서 북아프리카나 근동(또는 서아시아) 지중해 나라들을 여행하면서 얻은 요소들을 이용한 내용, 색깔, 양식을 주제로 다룬 19세기 프랑스 예술가들의 작품을 이를  널리 쓰입니다. 이러한 의미는 20세기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가 그의 논쟁적인  ‘오리엔탈리즘’을 내놓으면서 달라졌는데,  저서에서 사이드는 18~19세기에 유럽 제국주의적 태도로 형성된 동양에 대한 적대적이고 탄원적인 시각의 서양 예술  학술 전통을 이를   용어를 썼습니다. 이런 의미로 쓰일  '오리엔탈리즘' 동양 문화와 사람에 대한 근본적이면서도 편향된 외부의 해석을 뜻합니다. 사이드는 버나드 루이스 같은 서양 현대 학자의 오리엔탈리즘’적 학술 전통을 비판했습니다. 반면 일부 현대 학자들은 '오리엔탈리즘'이란 말을 제국주의 시대에 非서구 문화를 무가치하다고 보는 사람에 반대하며 親동양적인 태도를 보였던 저자들을 이르는 말로 쓰기도 하였습니다.

.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논제는 "아랍-이슬람 민족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미묘하고 지속적인 유럽 중심적 편견" 존재한다고 제안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아시아와 특히 중동에 대한 거짓되고 낭만적인 이미지에 대한 서양 문화의 오랜 전통에서 비롯됩니다. 사이디는 이러한 문화적 표상이 유럽 열강과 미국의 식민지적, 제국적 야망을 암묵적으로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다고 썼습니다. 마찬가지로 사이디는 영국-미국 동양학자들이 만든 아랍 문화에 대한 거짓되고 낭만적인 표상을 내면화했다고 느낀 지배 아랍 엘리트 정권의 정치적, 문화적 부정행위를 비난했습니다. 오리엔탈리즘은 이슬람 문명에 대한 서양의 많은 연구가 객관적인 학문적 연구가 아니라 유럽 정체성의 자기 확인을 위한 정치적 지성주의라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오리엔탈 연구라는 학문 분야는 문화적 차별과 제국주의적 지배의 실제적 방법으로 기능했습니다. , 서양 오리엔탈리스트는 "동양인들"보다 "동양" 대해  많이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에드워드 사이드가 주장한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인들이 동양을  때에 선입견을 가지고 본다는 것으로, 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며 억압하기 위한 서양의 방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또한 그는 동양이 서양인의 정체성을 확립해 주는 대상으로, 열등한 동양이 존재하기에 우월한 서양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서양인들은 동양인들이 열등하며 무능하고 게으르다고 생각하며, 자신들보다 두뇌나 신체 면에서 열등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수많은 문화가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한꺼번에 동양이란 단어로 포함시킨다고 주장했다. 또한 쇠퇴하고 비참한 동양을 식민지화함으로써 동양을 구출해 내었다고 주장해 자신들의 식민지화를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양이 바라보는 동양에 대한 시각은 이제 동양에서도 존재한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에서 다음 3 가지 사항을 주장하였습니다. 첫째, 오리엔탈리즘은 유럽의 정치적 목적, 즉 유럽의 비서구 세계에 대한 정복과 지배를 정당화했습니다. “유럽 도서관에 있는 한 서가의 책이 인도와 아랍에 존재하는 모든 문학을 합친 것보다 더 훌륭하다”고 말하는 오만한 발언처럼 서양인은 동양 사회와 문화를 저평가하여 서구의 개입을 당연시했습니다. 비합리적이거나 순진무구한 동양인은 이 잔인한 물질세계를 통치하거나 변화를 추진할 능력이 없고 따라서 아버지와 같은 서구의 도움으로만 진보와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여겼습니다.

.

둘째, 오리엔탈리즘은 서구가 자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동양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상대적으로 우월한 서구의 정체성을 확인했습니다. 본디 정체성의 구성은 반대쪽 타자의 창출과 관련되는 법이기 때문에 서양이 우수하면 동양은 열등하고 동양이 후진적이고 비합리적이면 서양은 진보적이고 합리적이 되었습니다. 동양인이 나약한 여성과 미숙한 어린애라면 서구인은 그들을 돌보는 강한 가부장적 성인 남성이었습니다. 이는 백색 피부의 우수한 인종이 열등한 유색인을 가르쳐서 문명세계로 이끈다는 제국주의의 논리로 작동했습니다. 셋째, 오리엔탈리즘은 동양을 거짓으로 기술했습니다. ‘동양은 동양이고 서양은 서양이니, 그 둘은 영원히 만날 수 없네’라는 영국 시인 키플링의 시가 시사하듯 서구는 열등한 동양을 창조하여 본질적인 것으로, 영구불변의 것으로 박제하였습니다. 동양인은 본래 부정적이며 늘 그렇기 때문에 둘의 간격은 좁혀질 수 없었습니다. 수동적인 동양은 과학과 상업 분야 등 인류 진화의 주류에서도 고립된 변화의 무풍지대였습니다. 광대한 비서구세계를 단일한 ‘불변의 동양’으로 왜곡한 오리엔탈리즘은 영화, TV, 사진, 그림, 광고, 문학, 학술서적, 신문과 잡지 등을 매개로 반복적으로 재현되었습니다. 

.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쓴 목적이 서구를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억압 받는 아랍과 제3세계를 방어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이 제국주의의 정당화에 이용되었다고 밝힌 사이드의 통찰은 탈식민주의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오리엔탈리즘’은 비서구인의 연구 활동, 하층민의 경험을 담은 역사서술, 페미니스트와 다른 마이너리티(소수자)의 담론에도 반영되었습니다. 식민지가 거의 사라진 오늘날에도 비서구인들을 ‘저주받은 자들’로 여기는 서구의 편견은 잔존합니다. 무슬림은 여전히 잔인한 테러리스트로 인식되고, 인도는 늘 역동성이 부족한 신비한 나라이며, 일본은 가라테와 동일시됩니다. 사실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은 많지만 그것을 전복할 방법은 없습니다. 사이드의 말처럼 되돌릴 수 없는 경계를 만들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어떤 사회가 다른 사회보다 우수하다고 믿는 건 누가 누구보다 행복하다는 주장처럼 어리석습니다. 글로벌화와 사람들의 교류와 이동이 활발해진 오늘날, 서양의 지배적 위치를 탈중심화하고 비서구 세계를 응시하며 ‘오리엔탈리즘’을 경계할 필요성은 그래서 중요합니다.

.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 – Criticism of Orientalism

.

동양학은 학자들 사이에서 사이드에 대한 많은 전문적, 개인적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알베르트 후라니(Albert Hourani)’, ‘로버트 그레이엄 어윈(Robert Graham Irwin)’, ‘니키 케디(Nikki Keddie)’, ‘버나드 루이스(Bernard Lewis)’, ‘카난 마키야(Kanan Makiya)’ 같은 전통적인 동양학자들은 동양학이 그들의 지적 정직성과 동양학 학문의 질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부정적인 결과를 겪었습니다. 역사학자 케디(Keddie)’ 사이디의 동양학 분야에 대한 비판적 작업이 사이드가 전혀 의미한 것이 아니었겠지만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단어를 일반화된 욕설로 받아들이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에서 영국계 미국 동양학자 버나드 루이스(Bernard Lewis)’ "객관적이고 자유로운 학문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주제만 선전하는 어용학자의 완벽한 "라고 설명했습니다. 루이스는 사이드가 중동에 대한 과학적 아랍연구를 정치화하고, 동양학자의 학문적 발견을 비판하지 않으며, 자신의 편견을 "자유롭게" 표현한다고 비난하며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가혹한 비판을 가했습니다.

.

사이드는 루이스가 유럽의 무슬림 발견(The Muslim Discovery of Europe, 1982)’에서 자신의 논문에 대해 서양의 다른 사회에 대한 지식 탐구는 무관심한 호기심을 보이는 점에서 독특하며, 무슬림은 유럽에 대해 그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응답했다고 반박했습니다. 루이스는 "유럽에 대한 지식이 진정한 지식에 대한 유일하게 허용되는 기준"이라고 말했습니다. 학문적 공정성의 출현은 열렬한 "반이슬람, 반아랍, 시오니스트, 냉전 십자군" 대한 학문적 권위자로서 루이스 역할의 일부였습니다. 게다가 사이드는 1995년판 책의 후기에서 루이스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1978)’ 초판을 비판한 것에 답했습니다. 학계에서 오리엔탈리즘’은 식민지 이후 연구 분야의 기초 텍스트가 되었습니다. 영국의 지식인 테리 이글턴’은  책의 중심 진실은 동양의 폄하적 이미지와 제국주의의 영토 침범이 역사적으로 함께 진행되어 왔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이드의 지지자와 비판자 모두 인문학 학문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의 변혁적 영향을 인정합니다. 비판자들은  주장이 학자들에게 지적으로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는 반면, 지지자들은  주장이 지적으로 해방적이라고 말합니다.

.

식민지 이후와 문화 연구 분야는 "식민지 이후 세계,  사람들, 그들의 불만" 설명하려고 시도합니다. ‘오리엔탈리즘 조사  효능 기술은 중동 연구에 특히 적용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따라서 사이드가 동양학에 적용한 조사  분석은 문학 비평  문화 연구 에서 특히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잔 프라카쉬(Gyan Prakash, 1952~)’ 인도 식민지 이후 역사, ‘니콜라스 디르크(Nicholas Dirks)’  로널드 인덴(Ronald Inden)’ 인도, ‘사이먼 스프링거(Simon Springer)’ 현대 캄보디아, ‘호미 K. 바바(Homi K. Bhabha)’, ‘가야트리 차크라보티 스피박(Gayatri Chakravorty Spivak)’  이란: 중단된 사람들(Iran: A People Interrupted, 2007)’로 유명한 하미드 다바시(Hamid Dabashi)’ 등의 문학 이론 같은 것들이  예입니다. 동유럽에서 밀리차 바키치-하이든’은 역사가 래리 볼프’의 ‘동유럽의 발명: 계몽주의 정신 속의 문명 지도(Inventing Eastern Europe: The Map of Civilization on the Mind of the Enlightenment, 1994)’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1978)’ 아이디어에서 파생된 중첩된 오리엔탈리즘(Nesting Orientalisms, 1992)’ 개념을 개발했습니다. 불가리아 역사가 마리아 토도로바 (Imaging the Balkans, 1997)’ 밀리차 바키치-하이든’의 중첩된 오리엔탈리즘’ 개념에서 파생된 중첩된 발칸주의(Nesting Balkanisms, Ethnologia Balkanica, 1997)’ 민족학적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

역사가 로렌조 카멜(Lorenzo Kamel)’ 2014 저서 ‘성서적 오리엔탈리즘’를 출판했습니다. 이 책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팔레스타인에 미친 "성서적 오리엔탈리즘" 영향 에서 1830년대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발생한 복잡한 지역적 팔레스타인 현실의 단순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함께 "성서적 오리엔탈리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카멜은 "성지" 알려진 장소에 접근하면서 종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단순화함으로써 성지는 성경 이야기가 발생한 장소일  인간의 역사가 없으며,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나라인 팔레스타인이라는 관점이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오리엔탈리즘’에 제시된 탈식민주의 담론은 또한 탈식민주의 신학과 탈식민주의 성서 비평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방법을 통해 분석적 독자는 식민지 독자의 관점에서 성서에 접근합니다.  분야의  다른 책인 릴라 간디’의 탈식민주의 이론 (1998)’ 탈식민주의가 어떻게 역사의  넓은 철학적, 지적 맥락에 적용될  있는지에 관해 설명합니다. 19세기 서양은 동양을 침략하면서 동양 취향이나 동양학을 연구한다는 뜻으로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그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은 1978년 사이드에 의해 근본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곧 서양이 만든 동양에 관한 모든 이야기가 예술과 학문으로 제도화해 서양의 동양 지배를 정당화하는 권력 장치로 기능하는 과정이라고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한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서양과 동양이라는 구별 자체가 서양에서 만든 학문과 권력의 기초였다고 하는 점입니다. 그것은 문명과 야만, 선진과 후진이라는 구별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구별 밑에 학문과 권력의 야합이 있음을 사이드는 비판했습니다. 사이드는 팔레스타인인이 나라 없는 ‘난민’이자 테러리스트로 불리고, 자신을 주장하기는커녕 언제나 비난받는 존재로 왜곡되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운명이 팔레스타인만이 아니라 동양 전체의 것임도 알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19세기에 서양 제국주의 침략으로 식민지가 된 동양은 자신을 주장하기는커녕 서양에 의해 자신이 표현된다는 점에서 팔레스타인과 다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대신 서양인에 의해 동양에 대한 이야기가 생겨나고 있다는 사실을 보았습니다. 그것이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이고, 그 학자나 예술가를 오리엔탈리스트라고 부르는 것이었습니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이 갖는 인식론적 폭력성에 전혀 무감각한 오리엔탈리스트들을 식민주의자라고 규탄했습니다.

.

‘오리엔탈리즘’에서 지적한 ‘발전한 서양과 낙후한 동양’이라는 식의 대비는 서구가 비서구 세계를 인식하는 고정불변의 공식입니다. 지난 이라크전(戰)에 대한 미국의 입장도 여기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라크인을 판단력과 자기운명을 결정할 능력이 없는 어린애로 여기고, 영원히 어른이 못되는 ‘피터 팬’을 대신해 무지몽매한 지도자 후세인을 죽이는 정의의 ‘샘 아저씨’를 자처했기 때문입니다. 이라크의 테러와 무질서, 전근대성도 질서와 안정, 선진문명을 소지한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정당화하는 상투적 표현입니다. ‘미국이 미숙한 이라크인을 훈육하여 성숙한 어른으로 만든다’는 명제는 ‘우수한 인종인 서구인이 미개한 동양인을 지배하여 문명세계로 인도한다’는 19세기 서구 제국주의의 논리와 흡사합니다. 오늘날의 대제국 미국이 가르쳐서 ‘어른’으로 키우려던 나라들이 팔레스타인, 아프가니스탄, 이란, 라이베리아, 베네주엘라, 북한 등 모두 비서구 국가인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이는 제국주의를 지지한 동양에 대한 서구의 차별적 인식, 곧 오리엔탈리즘의 지속된 유산입니다. 여기에 도전한 이가 바로 에드워드 사이드였습니다.

.

에드워드 사이드 (Edward Said)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양주의는 선진적이고 백인은 멋있고 아름답다는 서양중심적인 교육에 쇄뇌되었던 지난날을 반성하게 됩니다. 오리엔탈리즘, 동양주의는 마치 미개한 문화 사상이라는 각인은 동양의 조그만 나라 한국계인 나에게도 또 팔레스타인 아랍계 에드워드 사이드에게도 똑같이 다가온 문제였다는데 위안이 됩니다. 학창시절, 직접 강연도 들었고 사적인 이야기도 나누었던 동시대를 함께 호흡했던 같은 결의 한 인간이자 뉘대한 학자와의 교감이 있었다는 추억에 감회가 새로워지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서양주의 쇄뇌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20세기에 발간된 우수하고 의미있는 책 100선 중 57번째 책 인문학 부문 27번째 책 에드워드 사이드 (Edward Said)가1978년에 출간한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

 

Said_Orientalism.pdf
15.01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