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신나간 넘이 환관이 기여코 여성훈도시하고 거리에서 활게치네.ㅋㅋㅋ
明治維新은 < 일본시대>를 말한다.
10월維新은 긴급조치.위수령시대를 말한다.
물론 장충체육관에서 졸개들 모아다가 100% 투표로 평생대통령에 올랐다가 중앙정보부에 총맞아 죽었다.군바리들의 내부권력싸움. -
→ Samuel Lee 정신병자들은 제발 정신병원에 좀......
-
→ Samuel Lee 망가지는건 순간..
-
→ Samuel Lee ㅎㅎㅎㅎ
-
→ Samuel Lee 저 미친분이 김대중 선상 비서를 했다는게 믿어지지가 않는다 ....
-
→ Samuel Lee 지랄들 허세요....
-
→ Samuel Lee 그리고 보니 경솔하게 지문을 사용했네요. 저 위 '정신나간 넘'을 "정신나간 분'으로 바로 잡습니다^^
-
→ Samuel Lee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자기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유신을 한 게 아니라 수출 100억 달러를 넘기기 위해 한 것”이라며 유신독재를 옹호하는 발언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위해 식민지배한 것이 아니라, 조선의 근대화와 산업화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하나도 다를 바 없다.
-
→ Samuel Lee 이제야 정신있는 분들의 정론이 나오기 시작하여 처서가 지난 가을 을 맞이할 기분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정신나간 분들이 어디 한둘이 아니라 집단으로 불감증이 걸린 것 같아요. 집단불감증은 어떻게 처방행야 되나요.
-
-
→ Samuel Lee 강한태풍과 많은 호우가 많은 한반도를 쑥대밭으로 만들더니 이제 사람 마저 망가지는군요ㅡ
-
-
→ Samuel Lee 재미있군요. 정치인은정치인에게 맞겨주세요.골치아프지 않아요. 신경스시다가. 머리가 남지않겠어요.
-
수출 100억불 넘겼다는 바로 그 유신헌법입니다.꼼꼼이 다시 살펴보니 살벌하구먼.
대한민국 헌법 제8호 (유신헌법) - 1972년 10월
제 4장 대통령
제53조
1. 대통령은 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에 처하거나,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어, 신속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때에는 내정·외교·국방·경제·재정·사법등 국정전반에 걸쳐 필요한 긴급조치를 할 수 있다.
2. 대통령은 제1항의 경우에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이 헌법에 규정되어 있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잠정적으로 정지하는 긴급조치를 할 수 있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관하여 긴급조치를 할 수 있다.
긴급조치 제1호
①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 반대, 왜곡 또는 비방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② 대한민국 헌법의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 발의, 청원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③ 유언비어를 날조, 유포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④ 전 1, 2, 3호에서 금한 행위를 권유, 선동, 선전하거나 방송, 보도, 출판, 기타 방법으로 이를 타인에게 알리는 일체의 언동을 금한다.
⑤ 이 조치에 위반한 자와 이 조치를 비방한 자는 법관의 영장 없이 체포, 구속, 압수, 수색하며 1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이 경우에는 15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병과할 수 있다.
⑥ 이 조치에 위반한 자와 이 조치를 비방한 자는 비상군법회의에서 심판, 처단한다.
⑦ 이 조치는 1974년 1월 8일 17시부터 시행한다.
긴급조치 제9호
① 다음 각 호의 행위를 금한다.
가) 유언비어를 날조, 유포하거나 사실을 왜곡하여 전파하는 행위
나) 집회·시위 또는 신문, 방송, 통신 등 공중전파 수단이나 문서, 도화, 음반 등 표현물에 의하여 대한민국 헌법을 부정·반대·왜곡 또는 비방하거나 그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청원·선동 또는 선전하는 행위
다) 학교 당국의 지도, 감독 하에 행하는 수업, 연구 또는 학교장의 사전 허가를 받았거나 기타 예외적 비정치적 활동을 제외한 학생의 집회·시위 또는 정치 관여 행위
라) 이 조치를 공연히 비방하는 행위
② 제1에 위반한 내용을 방송·보도 기타의 방법으로 공연히 전파하거나, 그 내용의 표현물을 제작·배포·판매·소지 또는 전시하는 행위를 금한다.
③ 재산을 도피시킬 목적으로 대한민국 또는 대한민국 국민의 재산을 국외에 이동하거나 국내에 반입될 재산을 국외에 은닉 또는 처분하는 행위를 금한다.
④ 관계 서류의 허위 기재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해외 이주의 허가를 받거나 국외에 도피하는 행위를 금한다.
⑤ 주무부장관은 이 조치 위반자·범행 당시의 그 소속 학교·단체나 사업체 또는 그 대표자나 장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명령이나 조치를 할 수 있다.
가) 대표자나 장에 대한, 소속 임직원·교직원 또는 학생의 해임이나 제적의 명령
나) 대표자나 장·소속 임직원·교직원이나 학생의 해임 또는 제적의 조치
다) 방송·보도·제작·판매 또는 배포의 금지 조치
라) 휴업·휴교·정간·폐간·해산 또는 폐쇄의 조치
마) 승인·등록·인가·허가 또는 면허의 취소 조치
⑥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은 이 조치에 저촉되더라도 처벌되지 아니한다. 다만 그 발언을 방송·보도·기타의 방법으로 공연히 전파한 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⑦ 이 조치 또는 이에 의한 주무부장관의 조치에 위반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이 경우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병과한다. 미수에 그치거나 예비 또는 음모한 자도 또한 같다.
⑧ 이 조치 또는 이에 의한 주무부장관의 조치에 위반한 자는 법관의 영장 없이 체포·구속·압수 또는 수색할 수 있다.
⑨ 이 조치 시행 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뇌물죄의 가중처벌)의 죄를 범한 공무원이나 정부관리·기업체의 간부직원 또는 동법 제5조(국고손실)의 죄를 범한 회계관계직원 등에 대하여는, 동법 각조에 정한 형에, 수뢰액 또는 국고손실액의 10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병과한다.
⑩ 이 조치 위반의 죄는 일반법원에서 심판한다.
⑪ 이 조치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주무부장관이 정한다.
⑫ 국방부 장관은 서울특별시장, 부산시장 또는 도지사로부터 치안질서유지를 위한 병력출동의 요청을 받은 때에는 이에 응하여 지원할 수 있다.
⑬ 이 조치에 의한 주무부장관의 명령이나 조치는 사법적 심사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⑭ 이 조치는 1975년 5월 13일 15시부터 시행한다. -
→ Samuel Lee ㅎㅎㅎ 초특급 호로.
-
→ Samuel Lee 엠비가 철저히 따라서 현재 실행중인 법이네요.
-
좀전에 반주로 Belgian white ale BLUE MOON을 한잔햇는데 이 노래 들으려 반주를 한셈일세 하하하
[ .... once in a Blue Moon – “아주 드물게, 가뭄에 콩나듯이”라는 뜻의 숙어
현재 쓰고 있는 양력 달력은 그레고리력으로 1년을 12개월 주기로 한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는 음력은 1년에 12개월이기도 하고 윤달이 있는 해는 13개월인 경우가 매 2-3년에 한번 씩 발생되는데 음력으로 13개월이 있는 해에는 반드시 양력 한달에 두번의 보름달이 뜨는 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두번째의 보름달을 블루 문이라고 한다. 블루 문은 산술적으로 대략 17년에 7번 발생한다고 해서 영어 표현으로 “once in a blue moon”은 아주 드물게라는 의미로 쓰인다.
미국은 8월 31일이 보름이어서 8월 2일에 이어 두번째 보름이어서 블루 문이 되는데 재미있는 것이 음력은 태양력 기준의 시차와 다르기에 한국은 8월 31일이 보름이 아니고 9월 1일이 보름이 된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9월 30일에 두번째 보름을 맞게 되어서 블루 문을 보게 되는데 그러고 보니 이번 추석이 블루 문이 된다. 그러면, 추석에 블루 문이 되는 것은 더욱 희귀한 현상일테니 once in a blue harvest moon하면 아주 아주 드물다는 뜻의 숙어가 될 수 있을까?] by 오창호
-
좀전에 반주로 Belgian white ale BLUE MOON을 한잔햇는데 이 노래 들으려 반주를 한셈일세 하하하
[ .... once in a Blue Moon – “아주 드물게, 가뭄에 콩나듯이”라는 뜻의 숙어
현재 쓰고 있는 양력 달력은 그레고리력으로 1년을 12개월 주기로 한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는 음력은 1년에 12개월이기도 하고 윤달이 있는 해는 13개월인 경우가 매 2-3년에 한번 씩 발생되는데 음력으로 13개월이 있는 해에는 반드시 양력 한달에 두번의 보름달이 뜨는 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두번째의 보름달을 블루 문이라고 한다. 블루 문은 산술적으로 대략 17년에 7번 발생한다고 해서 영어 표현으로 “once in a blue moon”은 아주 드물게라는 의미로 쓰인다.
미국은 8월 31일이 보름이어서 8월 2일에 이어 두번째 보름이어서 블루 문이 되는데 재미있는 것이 음력은 태양력 기준의 시차와 다르기에 한국은 8월 31일이 보름이 아니고 9월 1일이 보름이 된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9월 30일에 두번째 보름을 맞게 되어서 블루 문을 보게 되는데 그러고 보니 이번 추석이 블루 문이 된다. 그러면, 추석에 블루 문이 되는 것은 더욱 희귀한 현상일테니 once in a blue harvest moon하면 아주 아주 드물다는 뜻의 숙어가 될 수 있을까?] by 오창호
http://youtu.be/n5gZBEq5gIc -
→ Samuel Lee 첨보는 술이네요~ 맛과 향이 기대 됩니다... 색깔은 맥주 같은데...
-
→ Samuel Lee 오창호, 창호야~ 건배!
-
→ Samuel Lee 벨지움 생맥주인데 맛이 근사하지. 언제 이곳에 오면 내가 사줄게 Willis Kim!
-
→ Samuel Lee 감사합니다. ^^
-
→ Samuel Lee 저두 블루문 좋아해요...
-
→ Samuel Lee Kate Park님도 건배! 하하하
-
→ Samuel Lee 잘 알았습니다.블루문 특급이라는 예전 미드라마도 생각나네요.
-
→ Samuel Lee 벨지움 맥주가 괜츈하다 20여년 전에 벨지움에 갔을 때 여러 종류 마셔봤는데 좋았덤 기억이 있다.
나도 건배??ㅋㅋㅋ -
→ Samuel Lee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좀 더 깊은 의미를 알게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Samuel Lee 울 아들이 좋아하는 맥주...
-
→ Samuel Lee Sunki Kim, 맞아 선기가 벨지움 보석박사지 ... 벨지움 맥주들이 주로 수도회에서 수사님들이 만들고 돗수도 쎄더라. Blue Moon 말고도 유명한 맥주가 제법있으니 ... 선기야~ 벨지움까지 가지말고 팔로알토로 내각시줄 다이아 하나들고 와라^^ 20여전의 추억으로 빠져들도록 내가 벨지움 맥주 종류별로 근사한 안주와 함께 마시게 해줄께 하하하
-
→ Samuel Lee Blue Moon
Bobby Vinton
Blue moon
You saw me standing alone
Without a dream in my heart
Without a love of my own
Blue moon
You knew just what I was there for
You heard me saying a prayer for
Someone I really could care for
And then they suddenly appeared before me
The only one my arms will ever hold
I heard somebody whisper 'please adore me'
And when I looked, the moon had turned to gold
Blue moon
Now I'm no longer alone
Without a dream in my heart
Without a love of my own
And then they suddenly appeared before me
The only one my arms will ever hold
I heard somebody whisper 'please adore me'
And when I looked, the moon had turned to gold
Blue moon
Now I'm no longer alone
Without a dream in my heart
Without a love of my own
반응형
'1. Dr. Sam Lee > 18_FaceBook_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9월1일 Facebook 이야기 (0) | 2012.09.01 |
---|---|
2012년 9월1일 Twitter 이야기 (0) | 2012.09.01 |
2012년 8월31일 Twitter 이야기 (0) | 2012.08.31 |
2012년 8월30일 Facebook 이야기 (0) | 2012.08.30 |
2012년 8월30일 Twitter 이야기 (0) | 201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