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반응형

방원 이성찬 111

원로 생태학자 고 김준호 서울대 명예교수 행장 (자서전)

2018년 4월 13일 작고하신 부친 방원 이성찬 선생의 절친인 생물학자이자 생태학자 김준호 서울대 명예교수가 1년 3개월 뒤인 2019년 7월 14일 작고하셨다.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식물학 박사 학위를 받은 故 김준호 명예교수는 공주사범대 교수를 지내다가 서울대 문리대 생물학과 교수로 부임해 제자를 양성했다. 김준호 박사는 한국식물학회장과 한국생태학회장, 한국생물과학협회장, 한국환경교육협회 부회장, 환경운동연합 고문을 지냈다. ‘현대생태학’, ‘고급생태학’, ‘문명 앞에 숲이 있고 문명 뒤에 사막이 남는다’ 등의 저서를 남겼다. 대통령 표창과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또 지난 2014년 평생 수집한 생태학 관련 문헌 22종 1485권을 국립생태원 도서관에 기증했다. 이곳에 생전에 김준..

백선엽 백인엽 형제

어린 시절 원예 농장을 하던 부친은 용산 중고 교정 조경을 하기도 했는데 백선엽 백인엽 형제가 하던 인천 선인 학교 조경도 했는데 . 백씨형제가 얼렁뚱땅 조경 비용을 안 줘서 부친이 손해를 엄청 보았던 기억이 있다. . 그때 부친의 조경 일에 조막 손이라도 도와볼 요량으로 선인학교를 갔는데 기차 길에서부터 늘어선 선인학교 선도부들이 일반학생들을 이트집 저트집으로 줘패는 모습에 기겁을 했다. . 또 학교에서는 학생들 공부는 안시키고 벽돌을 이고지고 학교건물짖는 2층3층으로 잡부로 학생들을 부리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 공사를 맡았던 목수 한분은 칼을 몸에 품고 백선엽이 동생 백인엽에게 찾아가 안주고 땡가 먹으려던 공사비를 일부라도 받았다고 일하던 어른들이 이야기하며 백선엽 백인엽 형제의 악날함을 토로하던..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10] 방원 이성찬 선생과 오지호 화백

삼가 오승우 화백의 영전에 명복을 빕니다. . 김종필 국무총리가 만들었던 한국일요화가회의 지도교수였으며 목우회 회원이었던 원로 서양화가 오승우 화백이 2023년 4월 3일 오후 병환으로 향년 9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는 소식을 이제야 접했습니다. . 1930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난 고 오승우 화백은 한국 인상주의의 선구자 오지호(1905∼1982) 화백의 장남이며, 2006년 별세한 고 오승윤(1939~2006) 화백의 형이자 5년전 작고하신 제 부친 방원 이성찬 선생의 친구입니다. 고 오화백의 큰 아들은 서양화가 오병욱 동국대 교수로 제 둘째형과 친구입니다. 둘째 아들은 평창무이예술관장인 오상욱 조각가입니다.3째아들은 저와 동갑으로 서울대 농대를 나와 미국유학하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로 있는 오병하..

18. 한산이씨(韓山李氏) 16세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 광해로 부터 인조의 목숨을 지킨 공신!

https://youtu.be/wfSdQexuezM 18. 한산이씨(韓山李氏) 16세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 광해로 부터 인조의 목숨을 지킨 공신! . 한산이씨 16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15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선조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계흐름도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6세 선조이자 목은10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선조님의 위치를 살..

03. 阿彌陀佛非聾漢 念念彌陀奈爾何

https://youtu.be/Y366xjpGJe0 지운 김철수 선생님이 88세 되던해인 신유년 1981년 봄에 휘호 하신 “아미타불비롱한(阿彌陀佛非聾漢) 염염미타내이하(念念彌陀奈爾何)”를 접하다보니, 신아동맹당(新亞同盟黨)을 결성했고, 사회혁명당을 만들었으며, 상해파 고려공산당을 창당하여 코민테른 국제당으로 중국공산당과 일본공산당 창당을 지도하고 자금을 집행했으며, 2차 후반기와 3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내며 스탈린을 독대하여 조선공산당을 추인받았으며, 조선공산당 재건설 위원회 대표자대회를 개최했던, 지운 김철수 선생님이 북한으로 가지 않고 남한의 농촌 시골에서 촌로로 살다간 이유는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 원주 치악산(雉岳山) 자락에 있는 1500년전 무착도사(無着祖師)가 창건한 사찰 국형사(國亨..

02. 성우 이명직 대감이 이성구 선생의 조부였으며 방원 이성찬 선생의 증조부였는지 모른체 다들 작고하셨습니다.

https://youtu.be/YtVKffR2v0Q 언제나 패권쟁취에 골몰한 백범 김구의 임시정부나 김사국의 서울파나 화요파나 엠엘파나 김재봉 박헌영의 일츠크파에 '지는 것'을 택했던 상해파 호남아(好男兒)들 - 앞줄 좌로부터 읍민(揖民) 현정건(玄鼎健, 1887년 6월 29일~1932년 12월 30일, 소설가 현진건의 형) 선생, 고려공산당대표 겸 임시정부 국무총리 성재(誠齋) 이동휘(李東輝, 1873년 6월 20일~1935년 1월 31일) 선생, 레닌의 혁명동지이자 외교주역 박진순(朴鎭淳, 1898~1938) 선생, 자금담당 중앙위원 일세(一洗) 김립(金立, 본명 金翼容, 가명 楊春山 1880년~1922년 2월 6일) 선생, 뒷줄 좌 고려공산당 자금당당 중앙위원 지운(遲耘) 김철수(金綴洙, ..

01. 지운 김철수 선생의 서찰을 통해 본 - 스탈린은 왜? 20만 고려인을 강제이주 했을까?

https://youtu.be/dwI4WVvi1ok [스탈린은 왜? 20만 고려인을 강제이주 했을까?] . 러시아 내 20만 고려인에 대한 스탈린의 강제이주의 이유 - 자유시 참사까지 유발하며 패권 쟁탈에만 골몰하는 종파 분자에 미국과 일본의 첩자가 많은 혁명화 대상 민족 . 백낙천 시에 '식분지족(識分知足) 외무구언(外無求焉)'이라고 '자기 분수를 알고 만족할 줄 알면 밖에서 또 뭘 구하리요'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불교도인 동정(東庭) 박세림(朴世霖·1925~1975) 선생은 부처님의 심오한 가르침을 '식분(識分)'이라는 휘호로 내 부친인 방원(芳園) 이성찬(李盛粲·1927~2018) 선생의 중년 시절 호인 방산(芳山)을 위해 남기셨습니다. 미천한 입장에서 그 심오한 뜻은 뒤로하고 '자기 분수를 알라'..

스탈린은 왜? 20만 고려인을 강제이주 했을까?

러시아 내 20만 고려인에 대한 스탈린의 강제이주의 이유 - 자유시 참사까지 유발하며 패권 쟁탈에만 골몰하는 종파 분자에 미국과 일본의 첩자가 많은 혁명화 대상 민족 백낙천 시에 '식분지족(識分知足) 외무구언(外無求焉)'이라고 '자기 분수를 알고 만족할 줄 알면 밖에서 또 뭘 구하리요'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불교도인 동정(東庭) 박세림(朴世霖·1925~1975) 선생은 부처님의 심오한 가르침을 '식분(識分)'이라는 휘호로 내 부친인 방원(芳園) 이성찬(李盛粲·1927~2018) 선생의 중년 시절 호인 방산(芳山)을 위해 남기셨습니다. 미천한 입장에서 그 심오한 뜻은 뒤로하고 '자기 분수를 알라'는 확실한 거 같습니다.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의 서찰 등을 일별하면서 느낀 점을..

18. 한산이씨(韓山李氏) 16세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 광해로 부터 인조의 목숨을 지킨 공신!

https://youtu.be/wfSdQexuezM 18. 한산이씨(韓山李氏) 16세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 광해로 부터 인조의 목숨을 지킨 공신! . 한산이씨 16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15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선조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계흐름도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6세 선조이자 목은10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선조님의 위치를 살..

한산이씨(韓山李氏) 11세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

https://youtu.be/cf3yvsFNzoM 만10세의 어린나이에 관직에 올라 만52세에 작고하실때까지 41년간 세종,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때까지 6 임금을 보필하여 국정을 돌보았던 청백리(淸白吏)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 선조님의 일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성종실록 129권 5월 15일 3번째기사 “의정부 좌참찬 이훈의 졸기” ○議政府左參贊李塤卒, 輟朝、弔祭、禮葬如例。 塤字和伯, 初名墅。 韓山人, 觀察使蓄之子也, 以孝寧大君 (補)〔?〕女壻。 初授司直, 正統丁卯, 拜世子右衛率, 戊辰陞護軍兼典籤, 世子左翊贊。 景泰癸酉, 陞同副知敦寧府事, 甲戌, 轉禮賓寺尹, 俄遷同僉知敦寧府事。 又遷大護軍, 幹辦內直司樽院事, 歷判濟用監軍資監典農寺事。 天順己卯, 陞僉知中樞府事, 遷工曹參議。 辛巳, ..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의 '陳子昻(진자앙)의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서화 작품]

前不見古人(전불견고인): 앞선 옛사람 보이지 않고 後不見來者(후불견래자): 뒤에 올 사람도 보지 못하여 念大地之悠悠(염대지지유유): 천지의 유구함을 생각하자니 獨愴然而涕下(독창연이체하): 홀로 슬픔에 겨워 눈물이 흐른다 . 이 서화도 지운 선생이 내 큰형 泰遠君을 위해 남기신 거다. 내 큰형 집이 크기는 하지만 누가 표구나 부를 해서 주어도 더는 늘어서 놀 자리가 없을 듯하다. 내가 잘 보관했다가 부나 족자나 표구를 해서 선물로 주던가 아니면 박물관을 만들어 보관해 보도록 해야겠다. 함께 올린 그림은 인터넷 서치로 찾은 건데 오래전 어느 중국 작가가 잘 표현한 것 같아 모셔온 거다. 아무튼 화딱지를 이 정도로 장엄하게 표현하다니 陳子昻(진자앙)은 대인이 확실하다. 그리고 그 陳子昻(진자앙)을 본받고자 한..

[昌德宮 祕苑과 昌慶宮 植物園]

내 父親 芳園 李盛粲 先生이 昌慶宮 植物園에 勤務할 때 寫眞들이 書畫보따리 屬에서 나왔다. 昌德宮 祕苑은 一般人이 함부로 들락날락하지 못할 때다. 昌慶宮 植物園에 勤務한 㥁으로 祕苑 이곳저곳에서 恨 것 멋을 내어 寫眞으로 남기셨나 본데 寫眞 크기가 旅券 寫眞 크기 程度로 작고 빛이 바랬다. . 元來 昌慶宮 植物園에 있는 雄壯한 琉璃 溫室은 日帝强占期 때 有名한 獨逸의 建築家가 設計하고 建築했다고 한다. 解放後 美軍政 時節에 琉璃가 많이 깨지고 構造物이 망가졌다. 어찌 補修해야 할지 苦悶을 했는데 芳園 先生이 혼자서 原來 模襲으로 감쪽같이 補修했다고 한다. . 그 以後로 이곳저곳의 琉璃 溫室은 芳園 先生이 다 施設하게 되었다고 한다. 나라에 外國 孫吟이 오면 꼭 구경시키는 名所가 되었고 다들 韓國에도 西歐..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 1850~1927) 선생의 서화 작품

一言不中千語無用 (일언부중천어무용) - 한 마디의 간단한 말이 (이치理致와 도리道理에) 맞지(적중的中,適中하지) 않으면 천 가지(수없이 많은) 말이 소용(所用,쓸모,효과,믿음)이 없게 된다. 즉 한 마디 말이 맞지(옳지) 않으면 천 가지 말이 쓸데가(소용所用이) 없는 것이다. . 명심보감 언어편에 나오는 말이다. 족자로 되어있는 월남 이상재 할아버지의 서화다. 난닝구 바람의 내 부친 방원 선생이 생전 거실에 걸어놓고 감상하던 작품 중에 하나다. 필경 두형이나 누나 또는 여동생이 챙겨서 잘 보관할 것이다. 집안 한산이문의 어르신의 서화니 그분의 가르침을 명심하고자 챙겼을거다. . 마침 내부친 서화보따리 속에 사진이 있어 사진으로라도 남겨두고자 이곳에 소개를 한다. 늘 집에서도 의복을 잘 가추고 계셨는데 날..

동양화가 일호(一湖) 이수표(레오) 선생 작품

일호 이수표 선생은 내 부친 방원 선생의 어린 시절 친구로 내가 1988년 12월 미국 유학을 떠나올 때까지 나도 자주 뵙던 분이다. 나는 수표 아저씨라 불렀다. 내 부친 방원 선생을 비롯해 방원 선생의 친구분들은 다들 기골이 장대하고 큰아기들도 눈을 멈추게 만드는 미남에다 멋쟁이들이었다. 수표 아저씨도 그랬다. . 수표 아저씨는 내 어린 시절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판매하셨는데 덕분에 우리 집에도 한 질이 구비되어 방원 선생의 친구분 이종익 선생의 신구문화사 아동문학 전집, 한국문학 전집, 세계문학 전집과 더불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내가 심심하면 들추어 보던 책들이었다. . 워낙 기인이셔서 책 팔아서 번 돈을 섬에다 별장을 짓겠다고 배 한 척 없이 인천 앞바다의 어느 섬을 하나 사셨는데 후일담을 들어..

동양의 피카소가 남긴 수묵화

부친 방원 선생의 서화 보따리 속에 畔影(반영)이라는 분의 설경 수묵화가 있다. 작은 강 건너 눈 덮인 초막 마당에 눈을 치우는 사람도 있다. 도무지 반영이라는 분이 누구인지 가늠할 길이 없었다. 그러다 발견한 낡은 노란 종이 쪼가리에서 “東洋のピカソ(동양의 피카소)”를 발견했다. 바로 하반영(河畔影) 김구풍(金俱豊, 1918~2015) 선생의 작품인 것이다. . 반영 선생은 1918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부친의 직장을 따라 영동, 대전 등지로 옮겨 다니며 살다가 군산에 정착했다. 일곱 살 때 서예와 수묵화를 통해 처음 붓을 잡은 반영 선생은 1931년 철모르는 나이 13세 때 금릉 김영창(1910-1988) 선생의 강력한 추천과 권유로 조선총독부미술전람회에 ‘나팔꽃이 있는 정물’이란 유화 작품을 익명..

[지운 선생과 방원 선생]

1945년 해방되던 해 1927년생 내 부친 방원(芳園) 이성찬(李盛粲, 1927~2018) 선생은 경성원예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이왕직에서 운영하던 창경궁 식물원 원장으로 취직했다. 말이 원장이지 혼자 서구식 유리온실을 관리하는 막일꾼이었을 거다. 만 18세 청년으로 그 창경궁 식물원은 사회에 첫걸음을 걷는 직업이었다. 1893년생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은 해방을 맞아 공주감옥에서 출옥하여 서울에서 장안파들과 남북으로 갈려질 조국의 운명에 노심초사하며 좌우익을 설득하여 분단만은 막아야 한다는 사명감에 불탔다. 서로 우두머리가 되어야겠다고 치사하고 야비한 음모나 꾸미는 좌우익 정치가들을 대하며 얼마나 골머리를 썩여야 했을까? 지운 선생에게 창경궁 식물원은 그나마 머리를 식힐 곳..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 해방이후 서찰 1/2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이 해방이후 방원(芳園) 이성찬(李盛粲, 1927~2018)선생에게 보낸 서찰 1/2 1945~1955 서울 종로구 종로1가 신신백화점 화원 1956~1965 서울 용산구 한남동 544번지 식물원 1966~1973 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조종리 199-2번지 방산식물원 1974~1977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199-2번지 방원식물원 이어서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이 해방이후 방원(芳園) 이성찬(李盛粲, 1927~2018)선생에게 보낸 서찰 2/2 로

[芮春浩 (예춘호 1927~2020) 선생 작품 - 柳宗元(유종원) 江雪(강설)]

방원 선생 유품 중에 1969년 4월 15일 3선개헌에 반대한 4 · 8항명 공화당 국회의원 중에 한분인 목촌(牧邨) 예춘호(芮春浩, 1927년 2월 7일 ~ 2020년 7월 22일) 선생의 쓰신 柳宗元(유종원)의 詩句 江雪 (강설) 서화도 눈에 띈다.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때도 고생을 하신 분으로 부산 동아대 출신 ... . 千山 鳥飛絶 (천산 조비절) 산에는 새 한 마리 날지 않고 萬逕 人蹤滅 (만경 인종멸) 길에는 사람 자취도 끊어졌네 孤舟 簔笠翁 (고주 사립옹) 도롱이에 삿갓차림 늙은이, 한 척 배 띄워놓고 獨釣 寒江雪 (독조 한강설) 눈 내리는 겨울 강에 홀로 낚시를 하고 있네. 柳宗元 詩句 (유종원 시구) 癸未新春 (2003년 계미신춘) 芮春浩 (예춘호) . +++ Kyzbma Yan..

[질투(嫉妬)가 지배하는 파멸(破滅)로 가는 소인배(小人輩)의 나라]

https://youtu.be/dwI4WVvi1ok 러시아 내 20만 고려인에 대한 스탈린의 강제이주의 이유 - 자유시 참사까지 유발하며 패권 쟁탈에만 골몰하는 종파 분자에 미국과 일본의 첩자가 많은 혁명화 대상 민족 .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의 서찰 등을 일별하면서 느낀 점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한국은 '질투(嫉妬)가 지배하는 파멸(破滅)로 가는 소인배(小人輩)의 나라'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이런 분열(分裂)과 자멸(自滅)을 막는 길은 수신(修身)일 겁니다. 바로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 한국인의 인식을 바꿔야'만 한다는 거지요. . 1917년 박진순 선생,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스탄케비치 선생 등이 레닌과 함께 볼셰비키 혁명을 성공한 민족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