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서치를 하다보니 재미있게 비교를 해 놓았습니다 하하하>
1. 수를 셀 때 (Counting)
한국 : 손가락을 모두 편 상태에서 하나씩 꼬부리며 수를 세어 나간다. Korea: Fingers fold inward one by one into a fist from an open hand
미국 :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가락을 하나씩 펴며 수를 세어 나간다. America: Fingers extend one by one from a fist into an open hand
2. 사람을 손짓하여 부를 때 Beckoning
한국 : 손바닥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손짓한다. Korea: Palm of the hand faces down while signaling
미국 : 손바닥이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손짓한다. America: Palm of the face faces up while signaling
3. 나와 우리 I vs. We
한국 : 우리나라, 우리 회사, 우리 학교, 우리 아들, 우리 마누라 Korea: Koreans use the possessive pronoun "we/our" for things/relationship/organization/space that they share. For instance, Koreans would say "our" country, "our" son, and "our" wife even if only one person is involved in the possessive descriptions.
미국 : my ~, my ~ (나의 ~, 나의 ~) America: on the other hand, Americans would say "my" country, "my" class, "my" wife, etc.
4. 자녀의 독립 Children becoming independent
한국 : 대학까지 공부시켜 주고, 결혼비용 다 대주고, 결혼 후에 반찬부터 시작해서 애봐주기까지 다 부모 몫이다. Korea: Parents are deeply involved in their child’s life. Many parents pay for their child’s tuitions up to the post-secondary education and also the marriage expenses. Parents willingly cook for their child’s family and look after their grandchildren.
미국 : 자녀는 일찌감치 자립한다. America: Children become independent and self-sufficient as early as in their college years.
5. 단일민족과 다민족 Homogeneous ethnicity vs. Multicultural society
한국 : 우리는 단일민족, 단군의 자손, 배달겨레. 박정희 시절 "국론통일"이 지고의 가치로 찬양되기도 했다. Korea: Koreans are homogenous ethnic group, thought to be the descendants of “Dan Kun”. During the presidency of Park Jung Hye, the administration and its followers idealized “the conformity of the citizens’ voice”. Koreans believe that unity leads to greater power.
미국 : 미국의 힘은 다양성으로부터 나온다고 믿는다. America: Americans believe that diversity is the source of greater power.
6. 음식 값 계산 Paying bill at a restaurant
한국 : 서로 계산하려고 밀치고, 얻어먹으면 미안한 척한다. Korea: Friends willingly pay for each other’s meal. As etiquette, the person who accepts his or her friend’s offer to pay the bill apologizes.
미국 : 각자 자기가 먹은 음식값을 계산하는 것을 당연히 여긴다. America: Americans pay for their own meal.
7. 음주 문화 Drinking culture
한국 : 양주는 병으로 마시고, 한병 더, 또 한 병 더 시켜 먹는다. 화끈하게 뿌리뽑는 걸 좋아한다. Korea: Koreans drink liquors from the bottle. They like to go all-in when it comes to drinking.
미국 : 한잔씩 사 마신다. 홀짝거린다. 남이 천천히 마셔도 상관 않는다. America: Americans drink from shots. They do not mind if others at the party do not drink up.
8. 혈연관
한국 : 혈연관계지수 높음, 어른이 존재함, 그 중에서도 가까운 쪽을 밀어줌(손해를 보더라도).
미국 : 한국과 반대
9. 존댓말
한국 : 존댓말을쓴다. Koreans use honorific language
미국 : 존댓말자체는없지만.존중을표현하는단어들이있다. here is no honorific language separate from other forms like that of Korean in English; however, there are honorific words like "Mr./Mrs/Ms."
10. 부모호칭
한국 : 부모의이름을부르지않는다. Koreans do not call parents by their first name
미국 : 자라면서부모의이름을부르는경우가있다. Many parents allow their children to call them by their first name
11. 주식
한국 : 주식이밥이다. Rice is the main meal
미국 : 밥도먹지만.주로빵.고기등이주식이다. Americans' main dish includes bread and meat. They occasionally eat rice as well.
12. 목욕탕
한국 : 목욕탕이있다.모두가이용한다. There are many public baths in Korea. Everyone can use them.
미국 : 한국인들이개업한목욕탕이가끔씩있다.대부분한국인들이이용하지만그를이용하는미국인들도있긴하다. There are Korean owned public baths in larger cities where many Koreans live. Koreans are the major customers; however, there are some Americans who like to go to public baths as well.
13. 운동
한국 : 운동을즐기는사람들이미국에비해적다.공부/학원등에빠져있는사람들이더많다. Koreans do not enjoy participating in sports compared to the Americans. Korean students are very busy with their studies. They practically study all day as they have to attend cram schools in the afternoon.
미국 : 운동이몸에배어있다.남녀노소운동을즐기고.학교에서도여러부등에들어가있다.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are American lifestyle. Most Americans, regardless of sex and age, enjoy being active. Many students join sports clubs or teams at school.
14. 인터넷
한국 : 인터넷사용률이훨씬높다. Korea has one of the highest internet penetration rate around the world.
미국 : 한국에비해인터넷사용률이낮다. American internet usage rate is lower than that of Korea.
15. 학교폭력
한국 : 학교폭력을자주볼수있다. Bullying is a very common phenomenon.
미국 : 학교폭력이란절대있을수없는일이다. Bullying is not tolerated at school.
16. 불평불만
한국 : 불만등을감추려는성격을가진사람들이다소많다. Many Koreans do not like to express negative feelings. They prefer to hide their emotions.
미국 : 불편한점등을감추지않고상담하여그를바꾸자우선의견을내놓고본다.솔직하다. Americans express themselves openly. They are honest.
17. 좌식입식
한국 : 한국은 거의 좌식생활을 한다. Koreans lead a sedentary lifestyle.
미국 : 영어문화권은 입식 생활을 한다. English societies are stand-up cultures. 영어 문화권은 거의 크리스트교 신자 아니면 종교가 없는 사람이다.
18.여자옷과 남자옷
미국은 옷자체도 성별에 따라 많이 다르고 우리나라 유니섹스분위기의 디자인의 옷들도 다 구분해서 팔아요. 남자애들은 거의 붙는 옷안입구요(우리나라 강북스탈은 절대-ㅅ-) 여자애들은 워낙 또 여성스럽게...야하게들 입으니까요^^;;
19. 어른들이 쓰는건 거의다 어린아이 용품으로.
신발도 어른용이 있으면 1세,2세용까지 나와있는 경우가 많구요.
옷도 큰 브랜드에선 1개월~ 성인까지 판매하구요.
화장품도 초딩들이 쓰는게 있구요(성분은 모르지만 케이스가 유치한거;;)
귀걸이나 반지같은거도 아이들용이 굉장히 발달되어있죠.
애들용 청소기, 잔디깍이, 등등도-ㅅ-
여기선 애들이면 하면 안된다는게 아니라 애들용을 해야하는거라고 생각하니까요.
20. 나이구분이 없다.
우리나라는 나이로 서열을 따지는 경우가 많은데
미국은 나이를 잘 따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당연히 경어, 호칭등을 높여 불러야 하는 상대방은 있구요
다만 그게 나이로 결정되는게 아니라는거죠.
그냥 이웃집아저씨라면 이름을 부르면서 친구처럼 지내구요~
학교에서도 선후배사이에 우리나라같은 느낌은 없어요.
다만 학교를 좀더 오래다니고 자기보다 더 잘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에서 나오는 부러움이랄까...대단하다고 생각하는 애들은 좀 있는듯;;
21. 휴일이 금요일, 혹은 월요일이다.
우리는 휴일을 날짜로 정하지만 미국은 몇번째주 금요일, 머 이런식이예요.
휴일은 대부분 금요일, 월요일이죠. 그래서 휴일이 있으면 3일 연휴가 되는거구요^^
게다가 휴일이 절묘하게 들어가 있어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거같아요.
학교생활에 좀 지쳐간다 싶으면 휴일이 있고...그러거든요.
어차피 쉴꺼면 몰아서 쉬는것도 좋은듯^^
22. 팁문화.
여긴 팁문화가 생활화 되어있어요.
호텔, 음식점 모두 팁을 줘야하죠. 음식점의 경우 부페, 제대로 요리는 해서 파는 식당의 경우 줘야하구요 패스트 푸드점(대부분 우리나라에 알려진)경우는 안주죠.
미용실에서도 줘야하고, 수리공이 수리를 하고 나서도 줘야하고...
서비스가 좋으면 많이 주면 되지만...안좋아다고 안주는건 좀 그래요. 약간은 의미같은게 들어간...
진짜 서비스가 무지무지 안좋았다면 기분나쁘다는 뜻으로 1센트짜리를 올려놓고 가기도;;;ㅋㅋ
23. 세금.
여긴 가게에서 무엇을 사든 정가에 세금이 또 붙어요.
세금은 주마다 다른데요.. 전에 뉴욕갔을때 보니깐 12.5%더군요...헉-ㅅ-
제가 사는곳은 6%구요...어떤 곳은 더 낮기도 하고 어떤 곳은 더 높죠.
이 세금이란게 꽤나 골때리는 거예요. 만약 30불짜리 옷을 사면 2불은 세금으로 날아가죠;;
계산도 복잡해지도-ㅅ- 암튼 맘에 안들죠;;;
24. 세일문화.
이곳의 세일은 살인적이죠..ㅋㅋ
옷같은 경우 브랜드에 따라 다르지만 세일을 많이 하는 브랜드는 나온지 1달만 지나면 20%정도 세일하구요 한 3달되면 70%정도...^^;; 잘만 고르면 굉장히 이뿐걸 건질수 있죠. 또 안팔리는 상품들 세일할때도 무지 많이 깍아줘요. 90%정도까지 하기도 하죠.
그리고 여긴 시기에 민감해서 크리스마스가 지나고 난뒤 크리스마스용 상품등을 무지 싸게 팔죠. 역시나 90%정도까지 하기도;;; 할로윈이나 부활절 등도 마찬가지죠.
25. 파티.
여긴 파티가 굉장히 많아요.
한 16살쯤 부턴 드레스입고 하는 굉장히 클래식한 파티도 가구요..
그런 파티에 가는 비용이 비싼편인데도 문화로 정착되어있죠.
그런데 갈때는 화장도 하고 머리도 올리고 드레스도 입고...일종의 어른 문화를 먼저 접한달까...
그런 클래식한 파티 말고도 그냥 애들끼리 어떤애 집에 모여서 하는 파티도 많구요..
그건 그냥 먹고 마시고 떠들고 춤추는 파티죠.
여긴 만 21살 이하는 술을 못마시지만 파티가면 대부분 마신다고 하는군요-ㅅ-
26. 춤과 노래.
파티문화에서도 말했지만 여긴 춤을 추는게 굉장히 보편적이예요.
우리나라는 춤대신에 노래방문화가 있지만;;
여긴 노래방은 없어요...그냥 춤추면서 따라부르기는 하지만..
춤도 대부분이 좀 야하죠-ㅅ-
그냥 첨본 사람이랑도 필통하면 같이 춤추기도 하고...
어렸을때부터 그렇게 자라서인지 대부분 그냥 즐길정도는 춤을 추는듯^^
27. 외식문화.
이곳의 가정식은...대부분이 간단하죠.
요리법이 아주 간단한건 아닌데 대부분 시중에 간편하게 하도록 나오죠.
우리나라 인스턴트 제품보단 좀 복잡하지만 진짜로 하는거보단 훨 간단하게..^^
그리고 외식도 자주해요. 먹는거엔 돈을 아끼지 않죠.
점심같은거 한끼 먹으려면(음식점에서) 보통 6~7불이상 드는건 기본인데도 말이죠;;
레스토랑에서의 저녁 한끼 먹는데는 레스토랑에 따라 다르지만 20불정도 드는데도 자주 먹으러 나간다죠;;
가정식은 대부분이 파스타류, 빵, 고기구운거 등등이구요
제대로된 서양요리는 레스토랑가서 먹죠
28. 철저한 부모의 통제.
여기가 자율을 중요하게 한다지만 기본적으로 부모허락이 없으면 법적으로 금하는 것들도 많아요.
학교 소풍이나 여행하는건 당연히 부모가 허락해야하구요..
만 10세 이하 정도의 아이는 혼자 길을 걷지 못해요.
운정면허 따는것도 대부분 부모가 가르치는 걸로 되어있구요
또 어린이는 집에 혼자두고 외출을 하면 안되고...
만약 저런걸 안지킨다면 경고를 주다가 아이를 뺏어갈수도 있죠.
부모가 허락한다면 약간 특이한 상황도 인정이 될수있고...
부모가 아이를 관리 해야하는 의무와 권리가 우리나라보다 크죠
하지만 또 우리나라처럼 과잉 보호하는 집은 거의 없음;;;
29. 모르는 사람과 그냥 인사하기도...ㅋ
다른점이라면 한국 사람들은 개개인적으로는 or 지금 이거 읽으시는분들 자신은 안그렇다고 하시겠지만 외국인들의 대한 거부감이 굉장히 심합니다...한국 사람들은 안그렇다고 하실지 몰라도 일본,싱가폴,필리핀 등등 가보시면 차이점을 느낄것입니다..
미국은 다양한 인종들이 살고 있기때문에 거부감이란것은 없음니다..그냥 미국문화 자체가 남의 일에는 거의 참견을 안하는 문화이기때문에 아마 미국가면 거부감이라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지만 아닙니다..
30. 스킨쉽에 대해..
한국은 남자들끼리 아주 자연스래 어깨동무를 하고 길을 걸어 다닙니다..손도 잡고 하는것이 친밀감의 표현이고 특히 여자들끼리는 더붙어서 다닙니다 그걸본 사람들은 그냥 아무렇지 안게 지나가죠..친구려니 ...하고..
미국에서 이런식으로 하고 다니면 그걸본사람들 역시 아무렇지 않게 지나가죠 하지만 속은 게이들이구나....혹은 레즈비언들이군....하고 지나간답니다....미국에서의 친밀감은 그냥 뭐랄까 서로에게 보여주는 친밀감 ..뭐그정도?
31. 음악...
한국 젊은이 10대에서 20대 들이 듣는 음악은 여러종류가 있지않습니까?
하지만 그중에서 트로트는 거의 보지 못했네요...저또한 트로트를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미국 백인 젊은이들은 틀립니다...컨추리 라는 음악 종류가 있는데 뭐 한국 트로트라 치면될껍니다... 컨추리를 무지 무지 좋아합니다 않좋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제가 아는 미국 백인들은 대부분 컨추리를 좋아하더군요..
32. 결혼...
한국 젊은 남녀들은 보통 20대 후반 정도의 결혼을 하려고 하더군요 그리고 또 많이들 그렇게 하구요 빠르면 20대 중반 ? 초반의 하는사람들은 아주 적더군요
그리고 한국에서 미혼의 얘를 낳는것이 거의 중죄더군요...사람들의 반응이..
미국은 결혼의 대한 구체적이 생각이 없어요 개개인적으로 많은 차이가 나서...아 난 20대후반에 결혼해야지 뭐 이런식으로 생각하는 사람이없어요 사랑하는사람 생기면 결혼.~
18 혹은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결혼하는 사람들도 많이 봤구요...
고등학교 다니면서 얘놓고 같이 사는사람들도 봤음니다..얘는 유모 혹은 베이비 시터 에 맞겨놓고 학교를 다니는 사람들도 있죠....
33. 학교...
한국 야자 라고 하는것이 있고 미국 없고.. ㅋ
한국은 수능...미국은 SAT 이랑 SAT II 등 등...
우리나라와 미국의 성씨에 대한 차이점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보면 중국이나 대만 동아시아 국가에서 넘어온 성이 있습니다.
그렇게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보지만...
우리나라는 주로 성에 따라서 어떤 지역에서 출생했는가를 짐작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전주 이씨,밀양 박씨, 경주 김씨... 등등...
그러나 미국같은 경우는 이름을 중요시하죠..
물론 성이 라스트 네임이라고 해서 그 가문의 업적을 기리기도 하지만 대체로 이름을 제일 먼저 두각시키죠.
각 나라마다 그 인종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보면 이름에도 어떠한 특색을 찾을수 있습니다
=============================================
<출처: 인터넷>
'1. Dr. Sam Lee > 10_영어잘하는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hammad Salaam is one of IS??? Asshole! (0) | 2015.12.29 |
---|---|
화씨 온도(Fahrenheit)와 섭씨온도(Celsius)를 쓰는 나라 (0) | 2015.12.27 |
‘The Little Boy Who Wouldn’t Smile’: A Story of the Korean War (0) | 2015.12.22 |
A House Divided: Photos From Korea’s 1948 Yeosu-Suncheon Rebellion (0) | 2015.12.21 |
The cheapest degrees that will earn you $70,000 a year (0) | 201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