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0_영어잘하는비법

내러티브 워 (Narrative War) - 악마들의 대쟁투

忍齋 黃薔 李相遠 2020. 6. 12. 02:17
반응형

https://youtu.be/I1v8TpL8jMY

8. 내러티브 (Narrative War)

.

1915년에 젊은 투르크 정권은 겁에 질린 아르메니아 포로들을 (아마도 오스만 제국의 창고에서) 무기 더미 뒤에 가두어 "무장 아르메니아 강도"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In 1915, the Young Turk regime staged photos of “armed Armenian banditry” by hauling in terrified Armenian prisoners behind a stack of weapons (probably from the Ottomans’ own depots), and taking photos that to this day are used to deny the Armenian Genocide.
.

What is Narrative War?

.
이런 말을 하는 것이 정말 싫지만, 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I truly hate that I have to say this, but I believe that I do have to say this. 저는 분명한 제 의견과 또 편견도 있습니다. I clearly have an opinion and bias. 저는 제가 고수하는 내러티브를 알고 있습니다. I know the narrative to which I adhere. 하지만, 저는 이런저런 내러티브에 찬성하는 한국의 정치적 발언은 하지 않겠습니다. However, I will not be making a Korean political statement in favor of one narrative or another. 내러티브의 성격에 경중을 너무두지 않고 솔직하고 겸허하게 제 생각을 전달했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that I will be conveying the nature of each narrative honestly and openly and doing so without putting my finger too heavily on the scale.
.
무엇이 미국의 내러티브인지를 논해 볼까합니다. I would like to discuss what about American narrative. 미국 내러티브는 아메리칸 드림이 있습니다. An American narrative might be the American Dream. 내러티브는 미국이 평범한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고 훌륭한 아이디어를 통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만들 있는 기회의 땅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있습니다. That narrative could be simply defined as America is a land of opportunity where average people can make of themselves whatever they want through hard work and great ideas. 수많은 이야기와 경험을 바탕으로 세대를 거쳐 만들어낸 내러티브입니다. This is a narrative that has been created over generations with numerous stories and experiences as support.

.

이 내러티브는 일생을 걸친 헌신을 통해 부모보다 많은 것을 성취 근면 여성과 남성의 수백만 명의 증언으로 공표되었습니다. It is promulgated with millions of testimonials of hardworking women and men who achieved more than their parents through dedicated commitment. 주말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스포츠 경기를 시청합니다. 이곳에서 가정 형편이 좋지 않은 불우한 청소년들이 고액 연봉과 수익성 높은 제품 보증을 받는 엘리트 스타선수가 된 이야기를 듣습니다. Every weekend, millions of people watch sports events where they hear stories of disadvantaged youth with bad family situations whom they watch as elite stars with large salaries and lucrative product endorsements.

.

미국의 모든 선거 정치에 참여하는 후보들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서든, 또는 상대 후보의 이야기를 공격함으로써 내러티브와 연결시키려 합니다. Every political candidate in America, either through a personal story, or by attacking the story of the opposing candidate seeks to connect with this narrative. 현재 아메리칸 드림 내러티브는 세 가지 강력한 버전이 있습니다. 그것은 America is Awesome, I Have a Dream, 그리고 1619입니다. There are currently three powerful versions of this American Dream narrative: America is Awesome, I Have a Dream, and 1619.

.

America is Awesome 2014년에 상영된 레고 무비 타이틀 송에 나오는 내용으로 그것이 내러티브에도 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America is Awesome’ is a play on the song title from ‘The Lego Movie’, 2014, but I also think it captures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내러티브는 기회의 전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The narrative is based on a premise of opportunity. 이것은 미국의 신성한 설립, 영감, 운명에 대한 믿음입니다. This is the belief of America’s divine founding, inspiration, and destiny.

.

명백한 운명, 언덕 위의 도시, 필수불가결한 국가, 민주주의의 무기고 등과 같은 문구가 내러티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hrases like manifest destiny, a city on a hill, the indispensable nation, an arsenal of democracy, and others capture the gist of this narrative. 미국은 축복받았습니다. America is blessed. 사람들은 세계에서 왔으며 미국에서는 사람들이 가장 가능성을 달성하고 즐길 있습니다. People come from all over the world and in America these people can achieve and enjoy their greatest possibilities.

.
I Have a Dream
1963 8 28 Dr. Martin Luther King, Jr 유명한 연설에서 비롯되었습니다. I Have a Dream comes from the famous speech given by Dr. Martin Luther King, Jr on 28 August 1963. 연설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비전인 내러티브의 핵심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This speech captures the heart of the narrative which is a vision yet unfulfilled. 미국의 기반은 훌륭하지만 원래의 비전은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The foundations of America are good, but the realization of that original vision is yet to be.

.

기초는 약간의 수리 또는 수정이 필요할 있으며 구조는 사실적이고 수직이며 정사각형이 되어야 하며 그러면 꿈이 실현될 있습니다. The foundations may need some repair or amendment and the structure needs to be made true, plumb, and square and then that dream may be realized. America is Awesome 달성하는 것은 모든 미국인을 위한 꿈입니다. 왜냐하면 America is Awesome이라면 아직 모든 사람들에게 굉장하지는 않지만 있기 때문입니다. It is the dream of achieving America is Awesome for all Americans, because if America is Awesome, it hasn’t yet been awesome for everyone, but it can be.

.
1619
2019 8월 시작한 New York Times 1619 프로젝트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1619 comes from the name of the 1619 Project of The New York Times that began publication in August 2019. 내러티브의 뿌리는 미국 건국이 잘못됐다는 있습니다. The root of this narrative is that the founding of America was flawed. 이것은 권력 관계의 주장입니다. This is an argument of power relationships. 백인 유럽인 정착민과 식민지 개척자들은 비백인, 비유럽인, 비프로테스탄트 기독교인이 불리하게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White European settlers and colonists established a system where non-white, non-European, and non-Protestant Christians were at a disadvantage. 구축된 바로 시스템에 결함이 있으며 수정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The very systems established are flawed and need correction.

.

그러한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사람, 조직 기관은 결집에 의해 부패합니다. Every person,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attached to such systems are corrupted by association. 앞으로 나아가려면 구조를 완전하고 적절한 기초로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기초 위에 세워진 구조에 결함이 있습니다. To move forward, the structure must be remade with a complete and proper foundation otherwise whatever structure built on such a foundation is flawed. 1619년으로 미국의 건국을 바라보는 사람은 굉장한 사람입니다. The same holds true for the 1619 person looking at the America is Awesome person.

.

1619를 좀더 설명하면, 흑인 노예가 처음 도착한 1619년을 미국의 건국년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20198월부터 1 넘게 미국 사회를 뒤흔들었습니다. 미국은 자유와 노예를 동시에 건국에 포함한 역설의 국가입니다. 1619 8, 아프리카에서 생포한 흑인 20 명을 실은 배가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의 포인트 컴포트 해안에 도착했습니다. 아프리카 흑인들은 도착 직후 제임스타운에서판매됐습니다. 이로써 대영제국 식민지였던 미국에서 노예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1619년을 건국년으로 삼아야 한다는 논란은 집권한 바이든이 거부함으로서 종식이 되었습니다.

.
모든 나라, 국가 또는 주에는 여러 사회적 내러티브가 있습니다. Every country, nation, or state has multiple societal narratives. 모든 사회에는 공통적으로 보이는 지배적이거나 표준적인 내러티브가 있습니다. Every society has a dominant or standard narrative that seems to be common. 대부분의 미국 역사에는 지배적이며 종속적인 내러티브가 존재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For most of American history there tended to be a dominant and subordinate narrative.

.
2016
선거 캠페인은 아마도 명의 대통령 후보가 가지 다른 내러티브에서 부조화를 해결하는 이야기를 가진 번째 캠페인이었을 것입니다. The 2016 campaign was probably the first campaign where the two presidential candidates had stories solving for dissonance in two different narratives.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슬로건과 함께 America is Awesome내러티브를 들고 돌아왔습니다. Donald Trump returned to the America is Awesome narrative with his catchy Make America Great Again slogan.

.

여전히 America is Awesome내러팁브를 믿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단순하고 매력적이었습니다. It was simple and attractive to many who still believe in the America is Awesome narrative. 힐러리 클린턴은 버락 오바마가 그랬던 것처럼 I Have a Dream narrative 연결된 이야기를 개발하려고 했습니다. Hillary Clinton sought to develop a story that connected to the I Have a Dream narrative as did Barack Obama. 가지 다른 내러티브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2016 선거 이후 엄청난 분열상의 일부였습니다. The attempt to solve for two different narratives is part of the tremendous division following the 2016 election.

.

개의 다른 진영이 개의 다른 내러티브를 다루었기 때문에 어느 쪽도 일어난 일에 대한 상대방의 설명을 믿지 않았습니다. Because the two different camps addressed two different narratives neither side believed the other’s explanations for events. 그룹은 개의 다른 세계에서 것이 아니라 개의 다른 내러티브의 세계에서 왔습니다. The two groups are not from two different worlds, they were and are from two different narrative worlds. 이것은 Enterprise 승무원이 평행 우주와 상호 작용하는 1967 10 6Star Trek 에피소드 "Mirror, Mirror" 같습니다. This is like the 6 October 1967 Star Trek episode “Mirror, Mirror” where the Enterprise crew interacts with a parallel universe. 어느 쪽도 상대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Neither side fully understands the other.

.
2020
11 3일 선거 후에 상대방의 불신은 2016년보다 커졌습니다. After 3 November 2020 election, the incredulity of the other side had been greater than in 2016. 패자쪽은 이긴 쪽이 속이고, 부패했으며, 프로세스 등을 조작했다고 주장했습니다. Looser side claimed that the winning side cheated, was corrupt, manipulated the process, etc. 패자쪽은 계속해서 이야기-내러티브 공명 소셜 미디어, 주류 미디어, 시위, 폭동 또는 나쁜 것을 통해서 결과를 빠꾸려고 혼란을 꾀했습니다. Looser side continued to seek to disrupt the story-narrative resonance and they spent greater efforts at displacement whether that is through social media, mainstream media, protests, riots, or worse.

.

미국이 하나의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쪽이 해결하기로 동의할 만한 단일 지배적 내러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For America to become one country they need to have a single dominant narrative, one that both parties agree to solve for. 그러한 입장을 되찾기 위한 노력은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의 내러티브의 정확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The effort to reclaim such a position must begin with every person seeking to understand the correctness of the narrative of others.
.

Narrative War vs. 한국 1
.

트럼프 집권시기를 거치면서, 미국의 시사 토론에서 "내러티브 "라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듣기 시작했습니다. 멀러가 특검을 시작했을때, 조사만으로도 충분히 트럼프를 감옥에 보낼 있다고 주장하는 쪽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입니다. 트럼프의 부도덕함이 만천하에 드러났는데도 30% 넘는 지지율을 유지하며 2020년 재선을 빼았겼다고 주장하며 폭력으로 의회를 장악하기도 했습니다. 지지자들은 트럼프가 다소 부도덕하더라도 정도는 이해하거나 용서하고 넘어갈 무엇인가가 있기 때문에 지지한다는 겁니다. 이건 미국만이 아니라 한국 SNS에서도 자주 있는 현상입니다.

.
문재인 정권의 조국과 윤미향이 처럼 이런저런 비리가 있지만 정도는 거론 없이 국가를 위해 봉사할 가치가 있다는 심정에 지지를 보내 무사히 임기를 끝냈습니다. 이재명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가족 그리고 연예인과의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지만 정도는 묵과하고 넘어갈 정치적 가치가 있다고 믿기에 윤석렬에 육박하는 지지를 보내 낙선했습니다. 이명박 때는 서울 강남에서 "이명박이 사람을 죽여도 이명박을 찍을 "라는 말들을 공공연하게 하기도 했습니다. 죽어서 파묘당할까 두려워 집안 납골함에 있는 살인마 전두환에게 무한한 지지와 존경을 표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

경상도에서는 재수씨를 강간한 사람, 박사학위 논문을 통째로 표절한 사람 등등이 언론에 흉악한 죄가 밝혀졌는데도 사람들이 표를 몰아주어 선거에서 당선되는 모습을 혀를 차며 지켜보기도 했습니다. 정치적으로 지지하는 쪽의 불미스러운 일이 반대편보다 미미하여 정도는 묵과하고 넘어갈 정치적 가치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시시때때로 국가분열과 부정부패 그리고 매관매직을 일삼는 꼴통 인사들을 자신들의 지도자로 선택하는 사람들도 어찌 보면 내러티브 워의 논리를 제공하는 조중동같은 집단의 희생양일 수가 있습니다.

.
이런 현상은 이제 다시는 99% 인구가 1% 호황 방탕에 분노하여 프랑스 혁명을 일으켜서 1% 단두대에서 목을 따고 화형대에서 처행했던 민중혁명은 다시는 인류 역사에 등장하지 못한다는 이야기와도 같습니다. 내러티브 워가 만들어낸 부작용은 99% 인구가 1% 호황 방탕 부류를 저주하는 아니라 자신들도 1% 것이라는 희망과 꿈을 가져버렸다는 겁니다. 이들의 특징은 1% 선민의식을 먼저 가지다 보니 노동이나 힘든 일은 자신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능지처참할 범죄자가 잡혀도 사형은 반인륜적이라며 살려두며 만족해합니다. 미국에 불법 이민자가 노동일을 하고 청소를 하고 하인처럼 일했듯이 한국 사회도 힘든 하는 곳에는 불법 이민자나 이민족이 선민의식을 가진 한국인을 대신하여 일하는 모습을 쉽게 목격합니다. 99% 인구가 1% 되겠다는 열망이 사라지지 않는 내러티브 워를 통해 자신들의 사악한 이기심을 정의와 민심으로 포장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정치공작은 계속될 겁니다.

.

무지몽매한 사람들은 내러티브 워로 진영을 나누어 SNS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진영의 내러티브 워를 위한 논리를 개발하고 마저 부족하면 때를 쓰며 상대진영의 약점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집니다. 이는 바로 99% 선량한 인간들이 내러티브 워를 구사하며 자신들의 사심을 달성하려는 1% 악마의 포로가 결과이기도 합니다. 마치 99% 인간들이 1% 이해관계 당사자거나 당사자는 아니더라도 대리만족을 시켜주리라는 환상을 가지게 만들고 말지요. 내러티브 워를 통해 99% 1% 포로가 결과를 우리는 보고있는 겁니다.
.

참고:

https://blog.daum.net/enature/15855101

https://blog.daum.net/enature/15854960
내러티브 (Narrative War) 살펴보았습니다.
'영어 잘하는 비법' e-book으로 교보문고
https://t.co/hoZ2Ihm1P4
애플(Apple) 아이북스(iBooks)
https://itunes.apple.com/us/book/영어--하는-비법/id1227268799
통해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필요한 분을 위해 아래 해설에 링크를 올려두겠습니다.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