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이 마지막 날인데, 다행히 작품이 하나 더 팔렸어요. 약속을 제대로 지키게 됐어요.” 일요일인 지난 1일 오후 화가 김인중(67) 신부가 기자를 전시장 한편으로 끌고 가더니 이렇게 속삭였다.
서울 정동 조선일보 미술관에서 열린 ‘김인중 초대전’ 마지막 날이었다.
![](http://photo-media.hanmail.net/200704/14/chosun/20070414101402.941.0.jpg)
프랑스 도미니크 수도원 수도사인 김 신부는 ‘빛의 화가’로 불리며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3월 2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열린 귀국 초대전 수익은 모두 1억3500만원. 김 신부는 물감과 붓 살 돈 몇 푼만 남기고 모두 국제구호기구 기아대책(회장 정정섭)에 기부했다. ‘판매 수익 전액 기부’가 그 약속이었다.
김 신부는 1962년 서울대 미대를 졸업하고 유학을 떠났던 스위스에서 사제의 길을 택했다. 이후 유럽과 한국에서 숱하게 전시회를 했고 그때마다 치부(致富)를 할 수 있을 만큼 작품이 팔려나갔다. 남프랑스 브리우드에 있는 12세기 교회는 낡은 스탠드글래스 복원작업을 맡기며 아예 그의 작품으로 새로운 스탠드글래스를 만들어달라고 했다. 올 7월에는 이탈리아에서 피카소의 도예와 김 신부 도예를 모은 작품전이 열린다.
그런데 그는 무일푼이다. 30년 전 스승이던 신부가 준 검은 망토와 10년 된 사제복 4벌, 책 100여 권 그리고 물감과 붓과 팔레트밖에 없는 ‘거지 신부’다. “사제가 무슨 돈이 필요해요, 수도원에서 먹고 자고 하는데. 내 그림 보고 사람들 행복하고, 또 그림 팔아서 없는 사람 도우면 그게 행복이지.” 사제가 되고서 그는 전시회 수익은 100% 사회로 돌렸다. 김 신부의 이번 초대전 수익금을 기부받은 기아대책은 ‘희망의 빛 김인중 기금’을 만들었다. 2000만원은 기금의 종자돈을 만들고, 나머지 돈 가운데 70%는 국내 장애 어린이 미술·음악 치료 프로그램에, 30%는 우즈베키스탄에 있는 장애아 학교를 지원하기로 했다. 김 신부는 3일 오후 파리로 떠났다. 평생 그러했듯 또 빈 손이었다.
[글·사진=박종인 기자 seno@chosun.com]
서울 정동 조선일보 미술관에서 열린 ‘김인중 초대전’ 마지막 날이었다.
![](http://photo-media.hanmail.net/200704/14/chosun/20070414101402.941.0.jpg)
프랑스 도미니크 수도원 수도사인 김 신부는 ‘빛의 화가’로 불리며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3월 2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열린 귀국 초대전 수익은 모두 1억3500만원. 김 신부는 물감과 붓 살 돈 몇 푼만 남기고 모두 국제구호기구 기아대책(회장 정정섭)에 기부했다. ‘판매 수익 전액 기부’가 그 약속이었다.
김 신부는 1962년 서울대 미대를 졸업하고 유학을 떠났던 스위스에서 사제의 길을 택했다. 이후 유럽과 한국에서 숱하게 전시회를 했고 그때마다 치부(致富)를 할 수 있을 만큼 작품이 팔려나갔다. 남프랑스 브리우드에 있는 12세기 교회는 낡은 스탠드글래스 복원작업을 맡기며 아예 그의 작품으로 새로운 스탠드글래스를 만들어달라고 했다. 올 7월에는 이탈리아에서 피카소의 도예와 김 신부 도예를 모은 작품전이 열린다.
그런데 그는 무일푼이다. 30년 전 스승이던 신부가 준 검은 망토와 10년 된 사제복 4벌, 책 100여 권 그리고 물감과 붓과 팔레트밖에 없는 ‘거지 신부’다. “사제가 무슨 돈이 필요해요, 수도원에서 먹고 자고 하는데. 내 그림 보고 사람들 행복하고, 또 그림 팔아서 없는 사람 도우면 그게 행복이지.” 사제가 되고서 그는 전시회 수익은 100% 사회로 돌렸다. 김 신부의 이번 초대전 수익금을 기부받은 기아대책은 ‘희망의 빛 김인중 기금’을 만들었다. 2000만원은 기금의 종자돈을 만들고, 나머지 돈 가운데 70%는 국내 장애 어린이 미술·음악 치료 프로그램에, 30%는 우즈베키스탄에 있는 장애아 학교를 지원하기로 했다. 김 신부는 3일 오후 파리로 떠났다. 평생 그러했듯 또 빈 손이었다.
[글·사진=박종인 기자 seno@chosun.com]
반응형
'2. Humanities > 23_생각해볼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불·평준화 최대 피해자는 가난한 집 공부 잘하는 자식` [중앙일보] (0) | 2007.04.14 |
---|---|
믿음 주는 독일, 의심받는 일본 (0) | 2007.04.14 |
중국 속 고구려 왕국, 제나라를 아십니까 (0) | 2007.03.28 |
[스크랩] 파병근무를 마무리하며... (0) | 2007.03.26 |
'표절하지 말자' 쓴 책도 표절 (0) | 2007.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