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2. Humanities/26_北韓과中國

중국의 인터넷 검열

忍齋 黃薔 李相遠 2008. 7. 3. 13:45
반응형
현명한 사람(Wise People) 님께 드리는 와플레터 서비스입니다


중국 인터넷
 

  •  

    지난 5월21일 중국 랴오닝성 사는 여자가 중국 쓰촨 대지진 피해자들을 향해 "성금은 왜 내느냐, 죽을 사람은 빨리 죽어라"고 욕하는 4분짜리 동영상을 인터넷에 띄웠다. 당국이 사망자 애도기간에 오락활동을 금지해 인터넷 게임을 못하게 된 분풀이였다. 격분한 네티즌들은 몇 시간 만에 '랴오닝녀'로 불린 이 여자의 이름, 주소, 생년월일과 신분증 번호까지 찾아내 공개했고, 여자는 PC방에서 공안에 붙잡혔다.


    ▶지난 4월 프랑스 파리에서 베이징올림픽 성화를 뺏으려던 티베트인을 색출하자는 제안문이 중국 인터넷에 올랐다. 삽시간에 6000만명이 읽었고 댓글 3만5000개가 붙었다. 마오푸, 바이두, 구글, 소후 같은 사이트에 수배령이 떨어지면 수백, 수천명이 한꺼번에 달려들어 '표적'의 신상정보를 금방 찾아내 공개하고 '인민재판'을 한다. 중국인들은 이런 검색을 '인육수색(人肉搜索)'이라고 부른다.


    ▶중국 공산당은 1999년 '황금방패(金盾)'라는 인터넷 검열시스템을 갖췄다. '자유'나 '민주주의' '인권' 같은 단어가 포함된 글을 자동으로 검색해 삭제한다. 작년에만 2억건이 삭제됐다. 그렇게 '인터넷 만리장성'을 쌓았던 중국 지도부가 얼마 전부터는 '인터넷 정치'를 하고 있다. 매년 수천만 명씩 늘어난 인터넷 인구가 2억300만명으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됐고 그만큼 네티즌의 힘이 세졌기 때문이다. 후진타오 주석은 지난달 20일 '강국논단'이라는 인터넷게시판 운영자와 22분간 온라인 대화를 하며 "공산당은 인터넷 의견을 매우 중시한다"고 했다.

    ▶공청단 기관지 중국청년보가 엊그제 발표한 네티즌 여론조사를 보면 72%가 "후 주석의 온라인 대화는 인터넷이 중국식 민주 건설의 새로운 길이 될 것임을 보여줬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네티즌 80%는 "인육수색은 적절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답하면서도 절반은 "인육수색이 인터넷 폭력인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위와 관련한 인터넷 현상에 대해서도 중국 당국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한다. 카메라와 노트북을 지닌 단 한 사람이 시위현장을 생생히 중계해 네티즌들에게 실시간으로 전하고 있는 것만 해도 그렇다. 인터넷을 통해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이니, 인터넷에서만 제한적 의사표현의 자유를 허용해온 중국으로선 놀라운 한편으로 경계심이 솟을 일이다.

  •  

  •                                                                                                                        - 김홍진 논설위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