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4. ETIC/41_스크랩

인도인들의 반한(反韓) 시위

忍齋 黃薔 李相遠 2009. 1. 2. 12:48
반응형

인도인들의 반한(反韓) 시위  

  •  
  •  
  •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가 최근 "해외선원들이  한국 입항을 거부하기로 결의했다"는 내용의 뉴스를 실었다.

    태안 기름 유출사고와 관련해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인도인 선장과 항해사가 구속된 데 항의하면서 선원들이 한국에 들어오는 것을 거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 신문은 '한국 입항 거부' 움직임이 확산된다면 원유를 비롯해 모든 에너지를 해외에서 선박을 이용해 들여오는 한국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인도에서는 한국산 물품에 대한 불매운동까지 시작됐다고 전했다.

    이 같은 반한(反韓) 기류가 생긴 것은 지난달 10일 열린 태안 기름유출 사고 관련 항소심에서 1심 때 무죄를 선고받았던 허베이 스피리트호 선장과 항해사가 각각 금고 1년6월과 8월을 선고받은 뒤 법정 구속되면서부터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이들의 구속에 외국의 선원노조 등 해운단체들이 반발하는 것은, 많은 국가들이 해상사고에 따른 오염의 책임을 자국 기업이나 정부 당국자가 아닌 외국 선원들에게 돌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국토해양부는 곧바로 A4용지 1장짜리 '보도 참고자료'를 돌렸다. "불미스러운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인도 해운당국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거기엔 "인도에서 벌어진 항의 집회에 대한 일반인들의 호응이 매우 약했고, 현지 언론들은 한국상품 불매운동 등 선원조합의 반한 활동에 동조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는 '친절한' 설명까지 붙어 있었다.

    정말 국토해양부의 설명대로 걱정할 필요 없는 '해프닝'일까?

    인도 출신 선장과 항해사가 구속되자 인도 선원조합(NUSI)과 해상조합(MUI)은 지난달 16일 20만 명의 선원과 그 가족들에게 한국 상품에 대한 불매를 권고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닷새 뒤 인도 남동부의 항구도시 첸나이(Chennai)에서는 500여 명(인도언론은 1500명 추정)이 항의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 중 일부는 삼성전자 공장 앞까지 찾아가 "한국과 삼성전자는 물러가라"고 외쳤다. 지난달 23일 인도 뭄바이(Mumbai)에서 벌어진 시위에서는 시위대가 삼성전자가 만든 휴대폰과 TV 등을 부수는 퍼포먼스까지 선보였다.

    첸나이에 있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관계자는 "인도 선원 조합원들의 대규모 데모는 인도인의 성향을 고려해 볼 때 점차 현대차 및 삼성전자·LG전자 등 한국 상품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번져가는 불씨가 될 수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인도상선협회는 "1주일에 4000대 정도인 현대차의 선적량을 줄여갈 것"이라며 "선원들이 석방되지 않으면 아예 현대차가 못 들어오도록 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선장과 항해사를 구속한 우리 사법부의 판단에 대해 외국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옳으냐 그르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그런 논란으로 인해 반한 감정이 싹트고 한국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으로 번지는 사태를 보면서도 손을 놓고 있는 당국의 직무유기에 대해선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인도의 성난 민심은 그들의 주장대로 "한국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부는 정확한 상황 파악과 그에 따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 가뜩이나 어려운 나라 경제가 엉뚱한 이유로 결딴나게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  
  •                                          
  •   - 조정훈 사회부 차장대우

https://youtu.be/I0F804m8jn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