짓는 데 853억, 부수는 데 250억 … 세금 날린 인천 월미도 은하철도
[중앙일보] 입력 2011.03.04 00:06 / 수정 2011.03.04 09:49
[내 세금낭비 스톱!] 분노한 주민 제보의 현장을 가다
인천시 월미도 일대 월미은하레일. 바다를 보며 달리는 모노레일이다. 그러나 시험운행 중 잇따른 사고로 8개월째 개통도 못한 채 방치돼 있다. [변선구 기자]
인천시 월미도 일대 월미은하레일. 바다를 보며 달리는 모노레일이다. 그러나 시험운행 중 잇따른 사고로 8개월째 개통도 못한 채 방치돼 있다. [변선구 기자]세금 1100억원이 날아갈 판이다. 안전성 때문에 개통식도 못해보고 고철 덩어리로 전락한 853억원짜리 인천 월미은하레일 얘기다. 부수려면 또 250억원이 든다. 무리수와 불법이 빚은 거대한 세금 낭비의 현장이다.
2일 오전 인천시 중구 월미도. 고가 레일이 해안선을 따라 건설돼 있다. ‘월미도 바다 위를 달리는 신나는 모노레일’이라는 간판이 선명하다. 그러나 역에는 인적이 끊겼다. 일부 구조물은 바닷바람에 벌써 녹슬었다. 친구와 함께 이곳을 찾은 김윤성(47·인천시 갈산동)씨는 “자기 주머니 돈이라면 저 모양으로 썼겠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은하레일은 인천역을 출발해 월미도 해안을 돌아오는 6.1㎞ 길이다. 7∼18m 높이의 고가 레일을 따라 70인승의 궤도차량이 시속 25㎞ 이하로 자동 운행하는 방식이다. 월미공원역 등 4개의 역사가 있다.
은하레일은 지금 철거 위기에 놓였다.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탓이다. 시험주행에서 추돌, 바퀴 이탈 등의 사고가 잇따라 세 차례나 개통이 연기됐다. 시행자인 인천교통공단 스스로가 사업 중단을 선언했을 정도다.
인천시는 ▶보완 후 개통 ▶철거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을 지난달 발족한 시민검증위원회에 요청했다. 신규철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 사무처장은 “철저한 조사를 통해 책임자를 가려내고 낭비된 세금을 회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왜 이렇게 됐나=신 사무처장은 “인천 세계도시축전(2009년 8∼10월)을 위한 볼거리를 제공하자는 취지로 무리하게 추진된 공사였다”고 말했다. 사업 주체인 인천교통공사의 김익오 당시 사장도 “도시축전을 위한 볼거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시장 지시로 이 사업을 맡게 됐다”고 말했다. 시의회 안병배(은하철도시민검증위원) 의원은 “시장이 교통국이 아니라 도시재생과에 이 일을 맡겼고, 여기서 예산 문제가 생기니 인천교통공사에 떠맡겨 일이 진행됐다. 공사가 추진했기 때문에 투융자 심사 등 중앙정부의 심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안상수(2002년 7월∼2010년 8월 재임) 전 시장은 2일 이에 대해 “구도심에 즐길거리 인프라를 건설하려 했다. 교통보다는 관광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저렴한 노면전차를 시공비가 비싼 모노레일로 바꾼 것도 문제다. 김 전 사장은 “시장이 모노레일로 결정했다. 그 때문에 시간이 더 걸렸다”고 말했다. 은하철도는 공기가 1년1개월에 불과했다. 첫 도심용 관광 모노레일인 점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촉박한 일정이다. 축전 개막(2009년 8월)에 맞추려고 욕심을 낸 탓이다. 안병배 의원은 “옷에다 몸을 맞추는 격으로 개통을 서두른 것이 화근”이라고 말했다.
검증 안 된 신기술을 도입한 것도 무리수였다. Y자형 가드 모노레일은 미국에서 특허만 받았을 뿐 실제 시공, 운행된 적이 없었다. 감리사인 금호 ENC의 옥태준 전무는 “볼팅 기법으로 할 경우 공기를 맞추기 어려웠다. 용접 시공으로 Y자형 공법을 시험해보자는 시공사 의견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불법도 있었다. 정류장·차고지 설계 변경 때 관할구인 중구청에 인허가를 밟지 않고 공사를 강행했다. 역시 부족한 공기를 맞추기 위해서다.
결국 월미은하레일은 도시축전 기간에 완공하지 못하고 해를 넘겼다. 그러나 시험운행에서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서 8개월째 개통을 못하고 있다. 송영길 신임 시장은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개통 불가’라고 선언했다. 인천시는 일단 시민검증위의 활동 결과가 나온 뒤에 철거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그러나 박규홍 인천교통공사 사장은 “일본 기술자들도 보완해도 어렵다는 의견을 냈다”며 “설계부터 충분한 검토 없이 급조된 부실 덩어리다.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인천 시민 2명이 제보한 내용을 바탕으로 확인 취재한 기사입니다.
특별취재팀:탐사기획=권근영·채윤경, 인천=정기환 기자
'1. Dr. Sam Lee > 여행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과 함께하는 소수력발전소 (0) | 2011.05.12 |
---|---|
Dam Grazers - 댐 방목지 (0) | 2011.04.08 |
미국에서 기구한 삶을 살다가 20년 전 에반스톤에서 죽은 양경종 (0) | 2011.02.27 |
아빠와 아들 - 친한 친구가 되는 방법 2007 - 2010 후속편 첨부 (0) | 2010.12.21 |
안양의 맛집 - 흑산도 홍어 (0) | 201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