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8_FaceBook_Twitter

2012년 10월21일 Facebook 이야기

忍齋 黃薔 李相遠 2012. 10. 21. 23:59
반응형
  • profile
    "unfortunately, many will not see until ET herself comes down and shakes their hands."
    . (Oversight: name of the journalist is Claudia Bribach, instead of 'Claudia Briva', sorry) Compilation of photographs of most sophisticated agroglyphs: http... 
  • profile
    [한국을 먹여 살릴 과학자]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님이 나의 집에서 바다가제를 먹고있다.

    철도고 출신으로 역무원 하며 대학 입시 준비하고 美 캔트주립대서 4년 만에 석·박사 마쳤다.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 사용 투명하면서 휘어지는 트랜1991년 지스터·메모리 소자 개발 '탄소나노튜브의 응용 가능성'을 실증한 논문은 지금까지 1000회 이상 인용됐다. 2002년엔 수소 원자를 이용해 금속성 탄소나노튜브를 반도체성으로 바꾸는 기술을 역시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는 합성할 때 쓸모 적은 금속성과 쓸모가 큰 반도체성의 두 가지가 동시에 만들어져 골치였는데 그 난제를 이영희 교수가 풀어낸 것이다. 올해엔 수십억원 하는 전자현미경으로도 관찰이 어려운 그래핀 표면을 값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그래핀 합성 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창의성은 다양성에서 나와… 연구원 중 40%는 외국인"
  • profile
    → Samuel Lee WOW~~~ 맛잇게 드시저~~^^
  • profile
    "이영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혼자서 세 가지를 다 한다. 최근 이 교수는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로 투명하면서 잘 휘는 메모리 소자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휘어지는 메모리는 구기거나 접어도 다시 펴서 쓸 수 있는 태블릿PC를 만드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2005년엔 국가 석학으로 꼽히기도 했다. 그가 이처럼 두각을 나타내는 데는 이론을 연구했던 그의 배경이 톡톡히 작용했다. "
    news.hankooki.com 
  • profile
    경기도 수원의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의 연구실에서 이영희 교수가 죽(竹)부인을 들어보이고 있다. 이 교수는 “탄소나노튜브는 영락없는 죽부인 모양”이라며 “1학년 학생들 대상 수업 때도 죽부인으로 설명하면 쉽게 이해한다”고 말했다.
    biz.chosun.com 
  • profile
    → Samuel Lee 요새, 바뀌벌래 볶아서 먹는 대회가 있다더니~~
  • profile
    → Samuel Lee ㅎㅎㅎㅎ
  • profile
    → Samuel Lee 의미있는 Daniel Na님의 웃음이군요!
  • profile
    → Samuel Lee 식사가 더욱 맛잇을 듯~~~^^
  • profile
    → Samuel Lee 저 남자 딱 내스타일이네...입자물리 전공에 어려서 공부는 잘했으나 형편 않좋아 그어렵다는 철도고 진학에...미쿡에서 4년에 석박사 끝낸 영재성과 집념..글구 타고난 체력...콧수염을 기르는 스타일리쉬함과 씨~익 살인미소까지...나 갠적으로 젤중요한거..보조개!
  • profile
    → Samuel Lee 멋지십니다.
  • profile
    → Samuel Lee 오우! 대단하신 분이네요!
    기분 좋아,
    나도 니 나노!
    등이 휘어서 슬픈 가재도
    앗싸 가오리!
    그래 핀나?
  • profile
    → Samuel Lee 20년 전이나 똑같으신,,, 여전하시네요.
  • profile
    Sunrise Photography (일출사진) 
  • profile
    → Samuel Lee 세상 참 좁다는 게..

    이영희 교수님.. 잘 알죠.. 제가 전북대 물리학과 출신이니..

    제가 졸업하고 대학원 갈 때 즈음에 반도체 설비관련 문제로 지금의 자리로 옮기셨죠..

    게다가 같은 마을 분입니다.

    이영희 교수님 어머님께서는 아직도 제 어머니랑 한 동네서 살고 계십니다.

    물론 저도 고향 내려가면 항상 뵙죠..

    세상 참 좁네요 ㅎㅎ
  • profile
    → Samuel Lee 우와 멋있당^^!
  • profile
    → Samuel Lee 넘 멋있네요. 아저씨 ! 낙조 ~~~^^
  • profile
    → Samuel Lee 영희형이 전북대 유학의 물꼬를 텄지. 특히 물리학과 유학파는 죄다 켄트주립대 출신들이지 하하하
  • profile
    → Samuel Lee 세월 참 빠르게 흐른다. 모든게 다 어제일 같은데 ...
  • profile
    → Samuel Lee 그럼 승희형도 잘 아시겠군요 ㅎㅎ
  • profile
    → Samuel Lee 그럼 잘 알지 물리전공한 녀석이 지금 용케도 공대교수하고 잇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