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8_FaceBook_Twitter

2013년 6월25일 Facebook 이야기

忍齋 黃薔 李相遠 2013. 6. 25. 23:59
반응형
  • profile
    .... 제대로 알아듣지도 못했는데 스스로 추측하여 대답하다 운좋게 그 추측이 맞아 제대로 대답하면 그냥 정상이지만, 동문서답이라도 할라치면 당신은 졸지에 또라이가 되버리고 당신은 늘 심심풀이 땅콩으로 빙신의 대명사가 되는 겁니다.

    대답 못들어 답답한게 너지 내가 답답할게 뭐있냐는 마음가짐으로 얼굴엔 미소를 머금은체 활실하게 100% 이해하기 전에는 절대로다가 대답하지 마라! ....
    [영어 잘하는 비법 3]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 말에 절대 답하지 마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 말에 절대 답하지 마라! 
     
    가끔 중국신문을 보면 아는 한문들을 조합하여 대충 무슨 내용인지를 가늠하게 됩니다. 마치 어린시절 한문투성이던 한국신문을 보며 앞뒤가늠하여 통밥으로 신문의 내용을 헤아리던 기억이 나기도 하구요.  
     
    아마도 그런 훈련 때문인지, 처음 미국에 와서는 상대방이 하는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도 못하면서 앞뒤 정황과 들리는 단어들을 가늠하여 체면상으로다가 대화를 나누곤 했습니다. 하지만, 수업시간이나 실험실에서 그리고 교수님들과의 중요한 대화에서 단 한번의 통밥대답의 실패는 지옥이 따로 없는 시간이 길~게 이어지고 신뢰를 회복하기엔 그 댓가가 너무도 혹독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기는 하지만, 체면치례에 유독허니 목숨거는 한민족이기에 이 부분이 영어습득에 있어서 너무도 힘든 부분이기도 합니다.  
     
    I beg your pardon. Please say again.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이해가 될때까지 묻고 또 물어라! 그도 않되면 종이에 써달라하여, 사전을 찾아서라도 정확히 그 뜻을 이해한 후에 대화를 이어가라!  
     
    Did you mean that …? 그리고 상대가 물어본 내용을 복창하는 방법도 상대방에게 신뢰를 주고 내 자신이 상대방의 질문을 이해했다는 확인을 주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수첩크기의 폿켓 영한 사전하나를 꼭 들고 다녀라!  
    미국인들은 합리적으로 이해가 되질 않으면 도저히 용서를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므로 당당하고 뻔뻔하게 상대방을 이해시켜라!  
     
    내가 미국에 와서 초기에 자주 사용한 방법은 한국인이 원천적으로 구별할수 없는 발음을 설명하여 이해를 구하곤 했는데 아주 잘 먹혔던 것 중에 하나입니다. R과 L, P와 F, G와 Z, B와 V의 구분이 우리에겐 없으니 너는 나에게 천천히 이야기하여야 하고 복잡한 단어는 스펠링을 불러주어야 한다고 배짱좋게 요구하면 미국사람들 오히려 좋아합니다. 이건 거짓말 같은 진실입니다. 
     
    제대로 알아듣지도 못했는데 스스로 추측하여 대답하다 운좋게 그 추측이 맞아 제대로 대답하면 그냥 정상이지만, 동문서답이라도 할라치면 당신은 졸지에 또라이가 되버리고 당신은 늘 심심풀이 땅콩으로 빙신의 대명사가 되는 겁니다.  
     
    대답 못들어 답답한게 너지 내가 답답할게 뭐있냐는 마음가짐으로 얼굴엔 미소를 머금은체 활실하게 100% 이해하기 전에는 절대로다가 대답하지 마라!  
     
    그리하면, 당신의 영어 실력은 이제 99.5% 완성단계에 있는 거시다~~ 
     
    역시 댓글 잘 달아서 낼로 하여금 신바람나게 하므는 [영어 잘하는 비법 4] "DETAIL 하라!"도 이어집니다 하하하 
     
    <사용한 만화 출처: 참~ 사용한 만화는 인터넷에서 하나 주어다가 달아놓은 겁니다. 어느사이트인지 생각도 않납니다. 내가 그린 만화가 아니란 말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ㅎㅎㅎ
  • profile
    → Samuel Lee 이 글에 정말 공감을 합니다
  • profile
    [[[살인마 전두환을 처형하라!!! 무궁화 대훈장을 치탈하라!!!]]]
    전두환 처남이 사들인 땅이… 의혹 확산 - 1993년 이창석씨가 투자한 새로운 땅 발견 /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 2013.06.24 09:51:00

    [사진] 전두환 전 대통령. 한국아이닷컴 자료사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처남 이창석씨가 투자했던 또 다른 부동산이 발견됐다. 이씨가 땅을 사들인 시기가 절묘해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을 분산 투자해 은닉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씨는 1993년부터 2007년까지 경기도 이천시 3번 국도변의 땅 8,700m²을 순차적으로 사들였다고 23일 TV조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씨는 부인 홍정녀씨와 함께 문제의 땅을 공동소유하고 있었다. 이 땅은 도로와 인접해 있는 데다 주변 토지처럼 농지도 아니라 투자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이씨 부부는 이 땅을 24억원에 팔았다. 1990년대에 3.3m²당 3만원 정도였던 공시지가가 2009년에는 60만원대로 훌쩍 뛰어 오른 만큼 이들 부부는 10배가 넘는 차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이 땅이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 은닉 용도로 의심을 받는 건 투자 시기 때문이다. 이씨 부부가 처음 땅을 사들인 시기는 금융실명제 도입을 목전에 둔 1993년 7월이다. 전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 여론이 들끓었던 때였다.

    한편 이씨는 이 땅의 매각 대금인 24억원을 어디에 썼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이씨는 재산세를 미납해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까지 압류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
    image
  • profile
    → Samuel Lee 전두환은 이미 죽었습니다. 형님이 죽였고 저 또한 그를 죽였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전대통령은 무신...전 대도둑....
  • profile
    [2002년도 화제의 도서 - 지금이야 전업주부남편이 제법있지만 그때는 천연기념물이었지^^]
    한국 아줌마들의 삶과 남편들의 삶 /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읽고
    [2002-02-26 오전 4:44:51]

    지난 주에 작가 '김전한'선생의 친필서명이 들어있는 수필집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항공우편으로 받았다.

    그리 많은 분량의 글은 아니었지만 상당히 많은 부분의 글을 읽고 또 읽으며 내가 미처 생각하거나 경험하지 못한 살림의 모습을 김전한 선생의 글에서 나마 간접 체험하여 보려고 애쓴 며칠 간이었다.

    내가 결혼하던 1988년 7월, 나의 아내는 간호장교 육군중위였다. 더군다나 전후방교체랍시고 우리도 한때 졸병으로 군에 가면 '인제가면 언제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 하던 '인제'와 '원통'을 지나도 한참이나 지나 있는 최전방인 '양양'의 '동해경비사령부 '산하 '동해병원'으로 전출되고 우리 신혼부부는 힘겨운 주말부부 노릇을 하여야 했으니 그 고통(?)의 나날들이 나를 5개월만에 학문 연마라는 미명아래 미국유학이라는 거창한 핑계를 만들어 도망(?) 치게 만들었다.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꽁짜로 배운 덕에 나의 아내는 6년간이나 군대 병원에 묶여 있어야 했고, 난 내아들의 씨만 뿌리곤 미국으로 튀었으니 혼자서 아들을 낳고 키우며 1992년 군문을 떠날 때까지 내 아내의 육체적 고생과 마음 고생이 어디 나의 세치 입과 서울 깍쟁이 남편의 마음으로 헤아릴 수 있었겠는가.

    그러니 하늘이 허락하는 것은 둘째치고, 자식을 더 가지고 싶은 마음이 내 아내에게 어디 눈꼽만큼이나 있을까 절절하게 이해가 된다. 도저히 면목이 없어 '우리 아들이 외로운 것 같으니 하나 더'가 후환(?)이 두려워 목구멍에서 맴돌기만 했던 지난 세월이다.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통하여 그 펑퍼짐한 한국 아줌마들의 삶이 극명하게 이해되는 순간이었다. 굵어질수 밖에 없는 팔뚝과 다리, 뱃살들이 이제는 조소의 대상이 아니라 경외의 대상일 수 밖에는 없다. '된장', '고추장'하며 수다의 극치를 보이는 우리 아줌마들의 입심은 지혜로운 삶의 경연으로까지 이해가 되는 순간이며 '일일 연속극', '주말연속극' 등의 TV 프로그램들은 군대 졸병시절 국가에 감사하며 접했던 '문선대' 위문공연에 버금가는 고마움들이 아닐수 없다. '무엇이든지 물어보세요?' 라든가 '아침마당'은 삶의 지혜를 한국 아줌마들에게 선사하는 평생교육의 장으로 일조함도 깨닿게 되었다.

    두번 세번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음미하며 자식을 다섯 씩이나 낳으신 내 어머님을 포함한 한국여인네들의 '속아리'를 능히 감지해낼수 있었고 내 아버지를 비롯한 철없는 한국 남정네들의 '허허로움'도 분노해 볼수 있었다.

    기실 나역시 미국에서 네 곳의 대학원을 전전하며 8년 반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소비한 그 막막하고 끝도 보이지 않던 석사 박사학위 기간동안 능력없어 보이던 남편을 냅다 거더차지 않고 보살펴 준 내 아내의 은혜에 감사하기 보다는 주제에 남자라고 남자다움(?)의 감정을 건드렸던 사소한 말들을 가슴에 품으며 '두고보자'며 이를 갈던 '배은망덕'이 생각나 고개를 들수 없을 지경이다.

    지금도 미국이라 어쩔수 없이 하는 '50:50'의 가사분담 조차도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에 비추어 본다면 나는 가사일을 하는 사람으로서의 '정신자세'가 덜 되었다고 고백하지 않을 수가 없다. 소가 꼬삐에 끌려가 듯 하는 살림살이이니 내 아내가 어찌 행복할 수 가 있겠는가.

    비록 기름기 투성이고 뻑뻑한 미국식(?)식탁을 차릴 지라도 잠들기 전에 미리 준비물을 생각해보고 조리의 순서를 음미하여 보아야겠다고 반성하여 본다.

    변기와 욕조도 정성스럽게 교본(?)대로 청소할 것이고 결혼 전에 약속(?)했던 행복하게 해주겠다는 마음으로 카펫청소도 하여야겠다고 다짐하여 본다.

    꼭 미국에 살아서만이 아니라, 우리 한국 남정네들 부디 대오 각성하여 잘 되지도 않는 '치국평천하'에 침 튀기지 말고, '수신제가'라도 제대로 하자고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읽어 본 이 사람, 강력하게 주장하는 바이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7536
    image
    [2002년도 화제의 도서 - 지금이야 전업주부남편이 제법있지만 그때는 천연기념물이었지^^]
    한국 아줌마들의 삶과 남편들의 삶 /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읽고
    [2002-02-26 오전 4:44:51]

    지난 주에 작가 '김전한'선생의 친필서명이 들어있는 수필집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항공우편으로 받았다.

    그리 많은 분량의 글은 아니었지만 상당히 많은 부분의 글을 읽고 또 읽으며 내가 미처 생각하거나 경험하지 못한 살림의 모습을 김전한 선생의 글에서 나마 간접 체험하여 보려고 애쓴 며칠 간이었다.

    내가 결혼하던 1988년 7월, 나의 아내는 간호장교 육군중위였다. 더군다나 전후방교체랍시고 우리도 한때 졸병으로 군에 가면 '인제가면 언제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 하던 '인제'와 '원통'을 지나도 한참이나 지나 있는 최전방인 '양양'의 '동해경비사령부 '산하 '동해병원'으로 전출되고 우리 신혼부부는 힘겨운 주말부부 노릇을 하여야 했으니 그 고통(?)의 나날들이 나를 5개월만에 학문 연마라는 미명아래 미국유학이라는 거창한 핑계를 만들어 도망(?) 치게 만들었다.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꽁짜로 배운 덕에 나의 아내는 6년간이나 군대 병원에 묶여 있어야 했고, 난 내아들의 씨만 뿌리곤 미국으로 튀었으니 혼자서 아들을 낳고 키우며 1992년 군문을 떠날 때까지 내 아내의 육체적 고생과 마음 고생이 어디 나의 세치 입과 서울 깍쟁이 남편의 마음으로 헤아릴 수 있었겠는가.

    그러니 하늘이 허락하는 것은 둘째치고, 자식을 더 가지고 싶은 마음이 내 아내에게 어디 눈꼽만큼이나 있을까 절절하게 이해가 된다. 도저히 면목이 없어 '우리 아들이 외로운 것 같으니 하나 더'가 후환(?)이 두려워 목구멍에서 맴돌기만 했던 지난 세월이다.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통하여 그 펑퍼짐한 한국 아줌마들의 삶이 극명하게 이해되는 순간이었다. 굵어질수 밖에 없는 팔뚝과 다리, 뱃살들이 이제는 조소의 대상이 아니라 경외의 대상일 수 밖에는 없다. '된장', '고추장'하며 수다의 극치를 보이는 우리 아줌마들의 입심은 지혜로운 삶의 경연으로까지 이해가 되는 순간이며 '일일 연속극', '주말연속극' 등의 TV 프로그램들은 군대 졸병시절 국가에 감사하며 접했던 '문선대' 위문공연에 버금가는 고마움들이 아닐수 없다. '무엇이든지 물어보세요?' 라든가 '아침마당'은 삶의 지혜를 한국 아줌마들에게 선사하는 평생교육의 장으로 일조함도 깨닿게 되었다.

    두번 세번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음미하며 자식을 다섯 씩이나 낳으신 내 어머님을 포함한 한국여인네들의 '속아리'를 능히 감지해낼수 있었고 내 아버지를 비롯한 철없는 한국 남정네들의 '허허로움'도 분노해 볼수 있었다.

    기실 나역시 미국에서 네 곳의 대학원을 전전하며 8년 반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소비한 그 막막하고 끝도 보이지 않던 석사 박사학위 기간동안 능력없어 보이던 남편을 냅다 거더차지 않고 보살펴 준 내 아내의 은혜에 감사하기 보다는 주제에 남자라고 남자다움(?)의 감정을 건드렸던 사소한 말들을 가슴에 품으며 '두고보자'며 이를 갈던 '배은망덕'이 생각나 고개를 들수 없을 지경이다.

    지금도 미국이라 어쩔수 없이 하는 '50:50'의 가사분담 조차도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에 비추어 본다면 나는 가사일을 하는 사람으로서의 '정신자세'가 덜 되었다고 고백하지 않을 수가 없다. 소가 꼬삐에 끌려가 듯 하는 살림살이이니 내 아내가 어찌 행복할 수 가 있겠는가.

    비록 기름기 투성이고 뻑뻑한 미국식(?)식탁을 차릴 지라도 잠들기 전에 미리 준비물을 생각해보고 조리의 순서를 음미하여 보아야겠다고 반성하여 본다.

    변기와 욕조도 정성스럽게 교본(?)대로 청소할 것이고 결혼 전에 약속(?)했던 행복하게 해주겠다는 마음으로 카펫청소도 하여야겠다고 다짐하여 본다.

    꼭 미국에 살아서만이 아니라, 우리 한국 남정네들 부디 대오 각성하여 잘 되지도 않는 '치국평천하'에 침 튀기지 말고, '수신제가'라도 제대로 하자고 '김전한의 살림하는 남편일기'를 읽어 본 이 사람, 강력하게 주장하는 바이다.

  • profile
    → Samuel Lee 10여년이 지난 요즈음도 부엌에서 똑같은 마음이신가요?
  • profile
    → Samuel Lee 이젠 제법 이런 저런 요리도 잘 한다우 하하하
  • profile
    → Samuel Lee 광주...공민의 자격...사람의 꼴값, 저기 무슨!
  • profile
    Korean War

    Korean War, conflict between Communist and non-Communist forces in Korea from June 25, 1950, to July 27, 1953. At the end of World War II, Korea was divided at the 38th parallel into Soviet (North Korean) and U.S. (South Korean) zones of occupation. In 1948 rival governments were established: The Republic of Korea was proclaimed in the South and the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in the North.

    Relations between them became increasingly strained, and on June 25, 1950, North Korean forces invaded South Korea. The United Nations quickly condemned the invasion as an act of aggression, demanded the withdrawal of North Korean troops from the South, and called upon its members to aid South Korea. on June 27, U.S. President Truman authorized the use of American land, sea, and air forces in Korea; a week later, the United Nations placed the forces of 15 other member nations under U.S. command, and Truman appointed Gen. Douglas MacArthur supreme commander.

    In the first weeks of the conflict the North Korean forces met little resistance and advanced rapidly. By Sept. 10 they had driven the South Korean army and a small American force to the Busan (Pusan) area at the southeast tip of Korea. A counteroffensive began on Sept. 15, when UN forces made a daring landing at Incheon (Inchon) on the west coast. North Korean forces fell back and MacArthur received orders to pursue them into North Korea.

    on Oct. 19, the North Korean capital of Pyongyang was captured; by Nov. 24, North Korean forces were driven by the 8th Army, under Gen. Walton Walker, and the X Corp, under Gen. Edward Almond, almost to the Yalu River, which marked the border of Communist China. As MacArthur prepared for a final offensive, the Chinese Communists joined with the North Koreans to launch (Nov. 26) a successful counterattack. The UN troops were forced back, and in Jan., 1951, the Communists again advanced into the South, recapturing Seoul, the South Korean capital.

    After months of heavy fighting, the center of the conflict was returned to the 38th parallel, where it remained for the rest of the war. MacArthur, however, wished to mount another invasion of North Korea. When MacArthur persisted in publicly criticizing U.S. policy, Truman,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removed (Apr. 10, 1951) him from command and installed Gen. Matthew B. Ridgway as commander in chief. Gen. James Van Fleet then took command of the 8th Army. Ridgway began (July 10, 1951) truce negotiations with the North Koreans and Chinese, while small unit actions, bitter but indecisive, continued. Gen. Van Fleet was denied permission to go on the offensive and end the "meat grinder" war.

    The war's unpopular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idential victory of Dwight D. Eisenhower, who had pledged to go to Korea to end the war. Negotiations broke down four different times, but after much difficulty and nuclear threats by Eisenhower, an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July 27, 1953). Casualties in the war were heavy. U.S. losses were placed at over 54,000 dead and 103,000 wounded, while Chinese and Korean casualties were each at least 10 times as high. Korean forces on both sides executed many alleged civilian enemy sympathizers, especially in the early months of the war.

    Bibliography
    See R. E. Appleman, South to the Nakong, North to the Yalu (1961); D. Rees, Korea (1964); B. I. Kaufman, The Korean War (1986); I. F. Stone, The Hidden History of the Korean War (1988); C. Blair, The Forgotten War (1989); S. Weintraub, MacArthur's War (2000); D. Halberstam, The Coldest Winter (2007); B. Cumings,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2 vol., 2004) and The Korean War: A History (2010).

    The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6th ed. Copyright © 2012, Columbia University Press. All rights reserved.
    More on Korean War from Infoplease:
    Korean War: meaning and definitions - Korean War: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Korea, South - Information on Korea, South — geography, history, politics, government, economy, population statistics, culture, religion, languages, largest cities, as well as a map and the national flag.
    Korea, North - Information on Korea, North — geography, history, politics, government, economy, population statistics, culture, religion, languages, largest cities, as well as a map and the national flag.
    America's Wars: U.S. Casualties and Veterans - America's Wars: U.S. Casualties and Veterans The table below has information about the total ...
    Military Conflicts in U.S. History - Military Conflicts in U.S. History This page provides information about military conflicts ...


    Read more: Korean War | Infoplease.com http://www.infoplease.com/encyclopedia/history/korean-war.html#ixzz2XAaEStMX
    www.infoplease.com  
    Korean War, conflict between Communist and non-Communist forces in Korea from June 25, 1950, to July 27, 1953. At the end of World War II, Korea was 
  • profile
    The Korean War, June 1950 - July 1953
    Introductory Overview and Special Image Selection

    on 25 June 1950, the young Cold War suddenly turned hot, bloody and expensive. Within a few days,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brought about a United Nations' "police action" against the aggressors. That immediately produced heavy military and naval involvement by the United States. While there were no illusions that the task would be easy, nobody expected that this violent conflict would continue for more than three years.
    Throughout the summer of 1950, the U.S. and the other involved United Nations' states scrambled to contain North Korea's fast-moving army, assemble the forces necessary to defeat it and simultaneously begin to respond to what was seen as a global military challenge from the Communist world.

    Though America's Armed Forces had suffered from several years' of punishing fiscal constraints, the end of World War II just five years earlier had left a vast potential for recovery. U.S. materiel reserves held large quantities of relatively modern ships, aircraft, military equipment and production capacity that could be reactivated in a fraction of the time necessary to build them anew. More importantly, the organized Reserve forces included tens of thousands of trained people, whose World War II experiences remained reasonably fresh and relevant.

    In mid-September 1950 a daring amphibous invasion at Inchon fractured the North Korean war machine. In the following two months UN armies pushed swiftly through North Korea. However, with victory seemingly in sight, China intervened openly, and the Soviet Union not-so-openly, on the side of their defeated fellow Communist neighbor. The UN was thrown back midway into South Korea. Early in the new year, the Chinese army was in turn contained and forced to retreat.

    By the middle of 1951, the front lines had stabilized near where the war started twelve months earlier. Negotiations began amid hopes that an early truce could be arranged. But this took two more frustrating years, during which the contending forces fought on, with the U.S. Navy providing extensive air and gunfire support, a constant amphibious threat, relentless minesweeping and a large logistics effort.

    Finally, on 27 July 1953, with a new regime in the USSR and the blunting of a final Communist offensive, negotiations concluded and fighting ended. However, the Cold War, considerably warmed up by the Korean experience, would would maintain its costly existence for nearly four more decades.

    This page contains a selection of Korean War views, chosen from the more comprehensive coverage presented in the following pages:
    Preliminary Activities, up to 25 June 1950
    North Korean Offensive, 25 June - 15 September 1950
    United Nations' Offensive, 15 September - 25 November 1950
    Inchon Invasion, September 1950
    Wonsan Operation, October 1950
    Chinese Offensive, 25 November 1950 - 15 January 1951
    Hungnam Evacuation, 10-24 December 1950
    The War Stabilizes, 25 January - 30 June 1951

    Logistics and Support Activities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Miscellaneous Shipboard Activities
    Ships at Sea off Korea
    United Nations and Republic of Korea Forces

    Additional Resources
    on-line Books - James A. Field's official history of the U.S. Navy in the Korean War,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Korea
    Artwork related to the Korean War at the Navy Art Gallery Remembering the Forgotten War: Korea, 1950-1953

    http://www.history.navy.mil/photos/events/kowar/kowar.htm
    www.history.navy.mil  
    introduction and special image, photographs, selection on the Korean War, 1950-1953 
  • profile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provided the first confrontation between two nuclear powers. And as the war progressed the conflict demonstrated how difficult it would be for either side to use atomic bombs decisively in battle.

    The war broke out on June 25, 1950 when North Korean troops crossed the 38th parallel, invading South Korea.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launched the attack once he had received a promise of support from Soviet leader Joseph Stalin. In January 1950, U.S.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haddelivered a speech in which he said South Korea and Taiwan were not part of the American "defensive perimeter," which seemed to indicate the U.S. would keep out of a Korean conflict. And it's clear that Stalin only agreed to support the invasion after being convinced the U.S. would not get involved.

    However, Acheson's comments were misleading. The United States reacted to the news of the invasion by immediately taking steps to convene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on June 27th the Security Council asked UN members to provide military assistance to help South Korea repel the invasion. U.S. forces went in on June 30th, by which time the North Koreans had taken the South Korean capital of Seoul. on September 15th, a UN force landed at Inchon and by September 29th, the UN troops had returned Seoul to the South Korean President. But by the end of the year the Chinese had intervened on behalf of the North Koreans halting the UN advance.

    While the U.S. Strategic Air Command was well prepared to launch an all-out attack against the Soviet Union, it was less clear how it could use atomic weapons in a limited conflict like Korea. on August 1, 1950, the "decision was made to send the 9th Bomb Wing to Guam as an atomic task force immediately." Ten B-29s, loaded with unarmed atomic bombs, set out for the Pacific. on August 5, one of the planes crashed during take off from Fairfield-Suisun Air Force base near San Francisco, killing a dozen people and scattering the mildly radioactive uranium of the bomb's tamper around the airfield. The other planes reached Guam where they went on standby duty.

    At a press conference on November 30, President Truman confirmed that he had been actively considering using atomic bombs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the war. The comments provoked worldwide reaction and British Prime Minister Clement Attlee rushed to Washington to express his concern. Truman reluctantly reassured him that the U.S. had "no intention" of using atomic weapons in Korea except to prevent a "major military disaster."

    So while President Truman tried to use his atomic superiority to the United States' advantage in North Korea he was never able to. Ultimately, it was not even clear that atomic bombing in a war against peasant armies would produce decisive results. If the Americans used the bomb and the Chinese forces kept on coming, it would demonstrate the bomb's ineffectiveness and reduce its deterrent effect in other arenas.

    The war ended up being a see-saw affair that saw the UN forces retreat from North Korea to the Pusan perimeter in southeastern Korean and then forge forward again across the 38th parallel only to be driven south once more by the Chinese forces. In July 1951 after 13 months of fighting the two sides began armistice talks, which dragged on for more than two years. After Stalin's death in March 1953, the new leadership in Moscow moved more rapidly towards reaching an agreement. The cease-fire was ultimately signed on July 27, 1953.

    The human cost of the war was catastrophic. In the first month of their operation alone, the Strategic Air Command groups dropped 4,000 tons of bombs. Besides high explosives, the bombers used napalm. In retirement, Curtis LeMay described the devastation saying, "we eventually burned down every town in North Korea... and some in South Korea too. We even burned down [the South Korean city of] Pusan -- an accident, but we burned it down anyway." Estimates of the casualties vary widely, but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besides the three and a half million military dead, wounded and missing on both sides, more than two million civilians died in North Korea. In the end the border dividing the two countries remained exactly where it had been before the North Korean invasion.
  • profile
  • profile
    → Samuel Lee 임진왜란, 2차례 호란,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한국전쟁 ( 625사변) 이땅에서 벌어진 전쟁이지만 우리 민족 스스로 대처하고 수습한적 없는 슬픈 역사의 연속입니다. 한국전쟁도 잊혀져 가는 가물가물한 역사가 되어갑니다. 같은 민족끼리 싸우면서 정신적 에너지를 낭비하고 불필요한 다툼으로 젊은이들이 죽거나 다치는 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는 아직도 유효합니다. 박사님 인용글 잘 읽었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다음회가 궁금해집니다.
  • profile
    → Samuel Lee 공유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극 공감! 정말 재밌고 공감가요~
  • profile
    → Samuel Lee 저 사람은 살림이라도 할게 있어 좋지만.. 나는 할만한 살림도 없으니 쓰임새를 찾을 수가 없네..^^
  • profile
    → Samuel Lee 전대갈 혹은 문어대가리가 맞습니다. 어떤이는 전낙지라고도 하죠
  • profile
    → Samuel Lee 죽어서
    온 국민이 기뻐할 유일한 개새끼
  • profile
    [[[살인마 전두환을 처형하라!!! 무궁화 대훈장을 치탈하라!!!]]]
    `전두환추징법안` 국회 법사위 소위 통과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3&no=499791
    news.mk.co.kr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소위는 25일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 추징금을 환수하기 위한 `전두환 추징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앞서 여야는 전·현직 대통령 등이 취득한 불법재산에 대해 가족 등으로부터 몰수·추징할 수 있도록 
    image
  • profile
    → Samuel Lee 하하하 최원길 성님, 저양반 이제는 살림 안할겁니다^^ 그때는 직업이 집에서 글쓰는거라. 지금은 동아방송대 교수랍니다. 하하하
  • profile
    → Samuel Lee 나는 살림에 방해만 돼.. 청소나 하고.. 만물수리상처럼 이것 저것 고치기나 해야지.. 이 정도면 쓸모있는 건가?^^
  • profile
    → Samuel Lee 공유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