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0. 韓山李氏/07_芳園(李盛粲)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3] 방원 이성찬 선생과 운초 정영호 선생

忍齋 黃薔 李相遠 2015. 3. 6. 08:26
반응형


좌로부터 2번째가 고 운초 정영호 선생, 3번째가 옥산 김옥진 화백, 그리고 오른쪽이 방원 이성찬 선생이다. 옥산선생의 개인전을 축하해주고 있다.



방원 이성찬 선생(http://blog.daum.net/enature/15852876)과 운초 정영호 선생은 만주국 미곡검사관으로 중국을 오가던 독립운동가들에게 독립자금을 지원하던 방원선생의 선친 이성구 선생과 운초 선생의 선친 독립운동가 정봉주 선생과의 인연으로 어린시절부터 죽마고우의 인연을 이어온 분들입니다. 3살 위인 운초 정영호 선생은 해방전 최연소 광복군으로 활약하다 해방을 맞은 특이한 이력이 있으십니다.


두분의 인연은 운초 정영호 선생이 서울대에서 식물을 전공하고 서울대 식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자연보호협회를 만들고, 은퇴하고 1994년 작고하실때 까지 방원선생이 운영하던 한남동 식물원과 소사의 방원식물원은 서울대 식물학과 지정 실습실험농장의 역활을 하였고 평생 바늘과 실같은 관계를 유지하셨습니다. 운초 선생이 작고하셨을때 방원 선생의 상실감은 10년은 더 늙어보이실 정도로 크셨습니다.  


평생 절친한 친구셨던 고 운초 정영호 선생의 공식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 운초 정영호 선생


운초 정영호 (鄭英昊) 선생은 1924년 8월 19일에 평남 평양 기림리에서 정봉주(鄭奉周)와 길정운(吉正運)의 장남으로 출생하여 평북 선천과 신의주에서 중등과정을 마치으며, 1943년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 정봉주님이 머물고 있던 중국 난징의 국립중앙대학 생물학계에 진학 (2년 수료) 하는 동시에 대한민국 광복군 징모처 제3분처 환남분실 공작원으로 활약하다가 조국 독립 후 귀국, 1950년 5월에 서울대 문리대 생물학과를 졸업하였습니다. 그해 5월부터 51년 9월까지 서울대 약대 조교로 근무하고, 1951년 10월부터 1953년 11월까지 진주농과대학 조교수로 근무하고, 1953년 10월부터 1989년 8월까지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그간, 1970년에 서울대에서 이학박사학위를 수령하고, 그 후 서울대 자연대 식물학교수로 재직하면서 관속식물과 식물성플랑크톤본류학에 정진하였습니다. 1969~71년에는 한국육수확회장을 역임하였고, 1974~76년에는 한국식물학회장, 1980~83년에는 한국식물분류학회장을 역임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조류학회 명예회원이며, 한국환경생물학회장, 1986~1988년에는 한국생물과학협회장, 1992~1994년에는 자연보호중앙협의회장도 역임하였습니다. 또한 학술원 정회원이며 내무부 정책자문위원, 환경부 정책자문위원이기도 하였습니다.  

 

운초 정영호 선생의 업적을 추려보면:

 

1952. 독도 식물 채집 보고서

1954; 소흑산도의 식물상 생물학연구 1(1);19~29()홍순우와 공저

1955; 황해 2.3도서의 식물  생물학연구 2(1);99~126()홍순우와 공저

1958; 19세기 한국식물연구의 회고 서울대문리대학보 6(2);99~108

1966; 본대학석엽표본관소장 식물석엽표본목록(1) 서울대논문집 생농계 17;223~257

1969; 전자계산기에 의한 식물분류학(1) 식물분류학회지 1(1);37~43

1971; 전자계산기에 의한 식물분류학(2) 비수치적 제원의 수치적 취급 서울문리대학보 17;259~283

1971 오대산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연구조사보고서 4울릉도, 오대산 및 소금강종합학술조사보고서

       pp. 99~115(유광일과 공저)

1971 강영무와 공저 한국미기록종 도랭이냉이 

1971; 강화도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학술원논문집(자연과학편) 10;91~299(강영무와 공저)

1975; 비무장지대인접지역의 식물구계 한국자연보전협회조사보고서 7;124~151

1979;서울대학교석엽표본관소장 식물석엽표본목록(2) 식물학회지 22(보유호) 1~193(박종욱,선병윤과 공저)

1981; 한강의 수생식물 구계와 분포 식물분류학회지 11;43~52(최홍근과 공저)

1982; 한국산 비비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자연대논문집 7;87~122(정영철과 공저) 

1982; 덕적군도의 녹지자연도 및 식물목록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1;179~225(정영철과 공저) 

1982; 완도인근도서에 대한 녹지자연도 사정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2;271~312(김기중과 공저)

1982;시설개발예정지의 녹지자연도에 관한 연구 자연보전연구지 4;155~186(선병윤과 공저)

1982; 서산해안국립공원내 만리포 및 자연학습원 예정지인 주금산일대의 녹지자연도 사정 서울대자연대

        논문집 7;93~120(선병윤,강인구와 공저) 

1982;서울대학교석엽표본관소장 식물석엽표본목록(3) 식물학회지 25(보유호) 201~341(선병윤, 정영철과

        공저)

1983; 국제자연연맹의 "레드 데이타 북.카테고리" 한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관한 워크샵 pp. 9~23

       한국식물학회

1983; 한국산 고유식물의 종속지 1 병꽃나무속식물의 분류와 종간 유연관계 서울대자연대논문집 8'53~70

        (최홍근과 공저)

1983; 건설중인 삼천포화력발전소 인근지역의 녹지자연도와 식생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 1;29~40

       (이해복, 김기중과 공저)

1983 낙동강 하구의 습생식물 및 수중식물의 구계와 분포 식물학회지 26:197~206 (최홍근과 공저)

       한국산 피나무속에 대한 화분 외부형태의 분류학적 적용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14;14~32(김기중과

       공저)

1983; 한국산 고유식물의종속지(3) 노루오줌속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 식물학회지26;73~90(선병윤,

       정영철과    공저) 

1984; 거문도 일원의 녹지자연도와 식물상, 거문도 및 백도의 자영실태종합조사, 자연보호중앙협의회,

        (김기 중과 공저)

1984; 태화산권역의 식물구계와 식생, (신현철과과 공저)

1984; 한국관속식물학의 성장과 전개 , 분류학의 돌담불, 운초 정영호박사 화갑기념논집 p. 13~171. 서울 

1984; 낙동강하구둑 인근지역의 식물구계,   (정영철과 공저)

1984, 충청남도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1984; 댕강나무속식물의 종류와 종간유연관계,(선병윤과 공저)

1986. 한국식물분류학사개설, 아카데미서적 서울

1984; 낙동강 수계의 수생관속식물상,  (최홍근과 공저)

1984; 피나무속식물의 개화과정과 수분기작에 관한 연구  (김기중과 공저)

1985; 터리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김기중과 공저)

1985; 터리풀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김기중과 공저)

1985; 터리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1986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최홍근과 공저)

1986; 피나무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김기중과 공저)

1985; 한국산 터리풀속의 분포에 관한 연구,(김기중과 공저)

1985; 한국산고유식물의 종속지 터리풀속식물(김기중과 공저) 

1986, 한국산 물부추속의 1신종, 참물부추 Isotes coreana Chung et Choi(최홍근과 공저)

1986. 국제식물명명규약정해, 아카데미서적 서울

1986; 말발도리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신현철과 공저)

1987; 근대한국관속식물학의 발전과 전망 대한민극 학술원논문집(자연과학편) 26;33~54.

1987; 작살나무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김현과 공저)

1987; 마름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최홍근, 신현철과 공저)

1988; 괭이눈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김영동과 공저)

1989; 정영호식물학논선 (1) 한강의 미소식물구계 운초서율 서울

1989; 정영호식물학논선 (2) 한국고유식물지,  운초서율,  서울

1989; 정영호식물학논선 (3) 자연늪의 식물, 운초서율, 서울

1988; 장구채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이은주와 공저)

1988; 산앵도속식물의 분류와 종간유연관계,(현진오와 공저)

1995, 아름다운 마음(유고문집)

2005. 아름다운 식물 이야기, 도서출판   우리글               

      ; 한국동식물도감 9; 담수조류편, 문교부         

 

 수상 경력                

1963, 대한민국 독립 유공 표창       

1976, 제8회 하은 생물학상 수상

1980, 교육근속 30년 공로 표창

1982, 국민훈장 동백장

1984, 서울대학교 근속 30주년 표창

1988, 국민훈장 모란장

1990, 국민훈장 애족장

        한국출판문화상

        한국과학기술도서상

 

  위와같이 왕성한 활동을 하던 중 1994년 3월 17일에 천수를 다하고 대전 국립묘지 독립유공자 묘역에 영면하셨습니다.


2010년에는 고 운초 정영호 선생님의 미망인이신 박양숙 여사의 선행이 언론에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박양숙 여사는 부군 고 운초 정영호 박사를 대신하여 집안경제를 꾸리고 부군이 학문연구에만 매진 하도록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과학실습 부자재를 공급하는 과학사를 운영하여 자식들을 키우고 공부시켰습니다. 사업은 성공하여 2007년에는 고려대학교 발전기금으로 100억을 기부하셨고 2010년12월 13일에는 국제아동기금 유니세프에 또 100억을 기부하셨습니다. 고 운초 정영호 박사님과 미망인 박양숙 여사의 성품으로 보아 더 많은선행이 있으셨을 것이나 절대 드러내지 않으셨을 겁니다.


2007년 고려대 발전기금 기부나 2010년 유니세프의 기부도 절대 신분을 밝히지 말라고 당부하는 등 박영숙 여사는 얼굴없는 천사로 활동해 오셨습니다. 이 사연이 알려지게 된것은 의사를 하는 못난 자식 하나가 재산 욕심에 치매라는등 노령을 구실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세간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부모님의 고귀한 뜻을 자식들이 이해하고 마음에 세기었을 것이라 여겨 집니다. 2010년 당시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박양숙 여사, 이번엔 유니세프에 100억 기부
2007년엔 고려대에 100억 쾌척
기사입력 2010.12.29 17:19:01 | 최종수정 2010.12.29 17:29:57

 

고 운초 정영호 선생의 미망인 박양숙 여사


 

"아시아 지역의 아이들을 위한 교육사업에 써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지난 2007년 고려대에 발전기금 100억원을 기부한 박양숙 여사(84)가 지난 13일 유니세프(국제아동기금) 한국위원회에 또다시 100억원의 거액을 쾌척해 화제를 낳고 있다. 

유니세프 관계자는 29일 "박양숙 여사가 평소 아동복지 분야에 관심을 갖고 기부처를 찾다가 우리 측에 100억원을 기부했다"며 "절대 기부 사실이나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박 여사는 2007년 후학 양성에 써달라며 고려대에 100억원을 쾌척할 당시에도 절대 신분을 밝히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는 등 얼굴 없는 천사로 활동해왔다. 

고려대는 당시 발전기금으로 지난 2월 사범대 신관 옆에 교육관을 세워 박 여사 남편의 호인 `운초`와 박 여사의 호 `우선`을 합친 `운초우선교육관`으로 명명했다. 

박 여사의 남편 고 운초 정영호 선생은 국내 담수조류 연구의 권위자이자 식물학자로 지난 1953~1989년 서울대 교수로 재직했다. 유니세프 관계자는 "법인이 아닌 개인 기부액으로는 이번이 역대 가장 큰 규모"라며 "기탁자의 뜻을 살려 소중하게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임영신 기자]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