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 포기 출구전략을 핵무장을 포기하여 살아남은 유일한 지도자 - 데클레르크 남아공 대통령에게서 찾는다!]
.
많은 전문가가 북한의 핵무장 포기에 '리비아 모델'을 이야기한다. 그 이야기는 긴이야기 짧게 하면 카다피처럼 죽으라는 이야기니 현실성이 없는 이야기다.
.
.
국가적으로 핵무기 보유 선언을 하지 않았지만, 국제사회에서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암묵적으로 인정한 이스라엘은 1979년 벨라 사건을 통해 탄두 80여 기를 보유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던 국가로는
(1) 나치 독일, (2) 리비아, (3) 브라질, (4) 아르헨티나, (5) 알제리, (6) 일본 제국, (7) 이라크, (8) 이란 등 모두 8개 국가이다.
.
핵무기 개발이 의심되지만 확인하지 못한 국가로는
(1) 미얀마, (2) 사우디아라비아, (3) 시리아, (4) 대한민국 등 4개국이다.
.
또 과거에 핵무기를 개발했다가 핵무장을 포기하고 폐기한 나라는 (1) 남아프리카 연방공화국, 구소련치하의 (2) 벨라루스, (3) 우크라이나, (4) 카자흐스탄 등 4개국이다.
.
핵무기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에 성공하지 못한 나라의 지도자들은 한결같이 미국식 민주주의라는 형식을 통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였다.
.
그러함에도 핵무장에 성공하고도 자진하여 핵무장을 철회하고 완전폐기한 남아프리카 연방공화국의 실례를 통해 북한의 핵무장 폐기문제에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
전 세계적 저항에 봉착한 남아프리카 연방공화국의 극심한 인종차별과 인권운동가들에게 가했던 잔인한 학대의 보복에서 무사 하고자 했던 남아공의 데클레르크 정권의 출구전략에 만델라가 부흥했고 구소련의 앙골라 철군 등이 남아공 백인 정권에게 면죄부 주었고 또 만델라와 함께 데클레르크가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기에 가능했던 핵무장의 완전폐기의 사례인 것이다.
.
+++
'2. Humanities > 26_北韓과中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발굴 - 티베트와 중국 그리고 미국, 그 복잡한 관계] (0) | 2019.04.06 |
---|---|
Bolton’s Illegal War Plan for North Korea/New York Times (0) | 2018.06.08 |
이 시국에도 누군가는 평양을 드나든다. 박경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UBC) 한국학연구소 소장도 그중 한 명이다. (0) | 2017.12.07 |
What Is North Korea Actually Realistically Capable Of? (0) | 2017.08.10 |
[국제: 日 암약 중국 간첩 5만명] (0) | 2017.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