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최근 기밀 해제된 상원 외교 관계위원회 문서에 따르면 'CIA 티베탄 프로그램'이라는 게 보인다. 티베트는 중국의 속국이었다가 1912년 청나라가 망하자 13대 달라이 라마가 독립을 선언하지만, 중국은 인정하지 않았다. 티베트에는 중국인민해방군이 완전 점령할 때까지 영국인이 상주하여 운영하던 통신소가 있었을 정도로 세계열강의 각축장이었다.
.
공식적으로는 1940년에 집권한 14대 달라이 라마 이후, 1945년에 독자적인 외교권을 확보하여 인민해방군이 12만명의 티베트인을 학살하고 6000여개의 사원을 파괴하여 무력접수한 1959년까지 19년간 독자적인 국가형태를 운영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원 기밀문서에 의하면 그도 역시 미국의 도움으로 가능했다.
.
1950년 미국 CIA SAD 그룹은 인도에 와 있던 달라이 라마의 둘째 형 가얄로 돈돕 (Gyalo Thondop)을 통해 대중국 게릴라전을 수행할 티베트 전사훈련 ST CIRCUS 프로젝트, 대공수침투와 장비 조달 ST BARUM프로젝트 그리고 대중국 선전선무활동 ST BAILEY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
정경 일치된 티베트의 승려는 공무원이자 성직자이고 지도자들이다. 이 승려들을 사이판에서 정신교육을 해서 해발 만피트 콜로라도 Camp Hale에서 5년간 고도의 게릴라 훈련을 받아 1기생 259명의 배출을 시작으로 1972년 닉슨의 핑퐁외교로 미국이 티베트 이용에서 손을 털 때까지 22년간 수천 명의 정예 요원을 배출하며 티베트의 준군사조직 지도자, 때로는 대중국침투 스파이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
이들은 한때 티베트에 1만8천 정예군을 양성할 정도까지 발군의 실력을 보였고 냉전 시대 중국 내에 고공낙하로 침투하여 중국인민해방군의 중요문서를 노획하여 미국이 죽의 장막을 들여다보는 통로로 사용하기도 했다.
.
그러나 1955년 대중국 저항을 위해 무장봉기를 계획하고 SAD 그룹의 총력지원을 받아 1956년 티베트에 파견된 수백명의 중국 공무원과 한족 중국인을 살해하고 관공서를 장악했지만, 그해 2월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총반격에 나선 중국인민해방군은 중요사원을 폭격하고 수천 명의 티베트인을 학살했다.
.
1959년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동남아의 공산화를 막는데 티베트가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출구전략 방안 모색에 돌입한다. 3월 위기감을 느낀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독립 왕국'을 선포하면서 중국공산당의 염장을 지르고 만다. 중국인민해방군은 남부군을 대거 동원하여 티베트인 12만을 학살하고 6000여개의 사원을 파괴한다.
.
1959년 3월 17일 사살 명령이 떨어진 사선을 뚫고 시아이에이 SAD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최고 수준의 호위병 2명의 신변경호를 받으며 인도로 망명하였고 10만의 추종 티베트인들이 인도와 네팔로 따라 도망 나왔다.
.
1972년 닉슨은 중국으로부터 미국이 'CIA 티베탄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대신 중국개방이라는 핑퐁외교를 선물 받으면서 'CIA 티베탄 프로그램'의 출구전략이 이루어졌고 'CIA 티베탄 프로그램'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
1972년 이후 'CIA 티베탄 프로그램'으로 훈련된 승려조직은 자발적이거나 철저히 가려진 블랙 작전으로 중국의 심기를 어지럽히고 있다. 바로 이런 점이 중국이 티베트라는 단어조차 스트레스를 부리는 이유이다.
.
+++
달라이 라마 둘째형 가얄로 돈돕
달라이 라마 둘째형 가얄로 돈돕 젊은시절
콜로라도 캠프 헬에서 받았던 특수훈련은 수행정진에도 사용된다.
콜로라도 캠프 헬에서 받았던 특수훈련은 수행정진에도 사용된다.
콜로라도 캠프 헬에서 받았던 특수훈련은 수행정진에도 사용된다.
아직도 'CIA 티베탄 프로그램'으로 훈련된 승려조직은 중국의 목에 가시다.
반응형
'2. Humanities > 26_北韓과中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창준 목사 (0) | 2019.07.30 |
---|---|
복한 노동신문 2019년 7월1일자 보도 (0) | 2019.07.01 |
Bolton’s Illegal War Plan for North Korea/New York Times (0) | 2018.06.08 |
북한의 핵무장 폐기? (0) | 2018.04.10 |
이 시국에도 누군가는 평양을 드나든다. 박경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UBC) 한국학연구소 소장도 그중 한 명이다. (0) | 2017.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