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미얀마)는 70% 정도를 차지하는 버마족과 토착 및 외국계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연방국가로서 1948년 1월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습니다. 대표적인 소수민족으로는 샨족(중국 접경 지역, 9%), 카렌족(태국 접경 지역, 7%), 카친족(중국/인도 접경 지역, 약 110만 명), 친족(인도/방글라데시 접경 지역, 약 60만 명) 등이 있으며, 중국계(3%)와 인도계(2%)도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버마는 전통적으로 소승불교 문화가 공공업무와 일반생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카렌족, 카친족, 친족 등과 같은 소수민족들은 기독교를 수용하기도 하며, 대체로 각기 고유 언어와 토속종교를 신봉하고 있습니다.
.
18세기 버마족의 꼰바웅(Konbaung) 왕조가 통일을 이룬 이후 세력 확장해서 인도에 진출했던 영국과 3차례(1824년, 1852년, 1885년) 전쟁을 벌였습니다. 전쟁 결과 버마는 1886년 인도의 한 주로 편입돼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영국의 식민통치는 다양한 민족 간 분열 정책을 바탕으로 했는데, 버마족은 영국의 소수민족 우대정책에 반발했으며, 여타 소수민족들은 버마족을 또 다른 식민통치자로 여겼습니다.
.
버마는 60여 년의 식민통치를 극복하고 독립을 쟁취했는데, 독립투쟁은 아웅산(Aung San)과 우누(U Nu) 등이 지도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과 제휴해 대영국 독립투쟁을 수행했습니다. 아웅산 장군은 일본의 도움으로 영국군을 축출했으나, 일본이 식민지배 야욕을 드러내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을 결성해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버마는 일본 패망 이후 영국 의회의 독립법안 가결을 거쳐 공식적으로 1948년 1월 독립을 이루었습니다.
.
1949년 카렌족이 토옹구(Toungoo) 독립국을 선포한 이래 동부 국경 지역(중국, 태국, 라오스 접경)에서 10여 개 소수민족들이 각기 독립을 주장하며 정부군과 무장투쟁에 돌입했습니다. 소수민족들이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배경에는 독립 이후 버마족 중심 군사정권의 압박이 심화하면서 식민통치시대보다 열악한 상황이라는 인식이 팽배했기 때문이었습니다. 1949년부터 1962년까지 정부군은 2만여 명에 달하는 주요 반군 세력(카렌족 1만4천 명, 카친족 8천 명)과 싸워야 했습니다.
.
1962년 3월 네윈이 이끄는 군부가 쿠데타로 집권하면서 버마의 소수민족분쟁은 무장 독립운동의 성격에 반독재투쟁의 성격이 가미된 양상으로 변모되기 시작했습니다. 1988년 국정 실패에 따른 무정부적 혼란 속에서 네윈이 사임하는 등 이른바 ‘양곤의 봄’이라는 짧은 민주화 진통 기간(1988. 3.~9.)을 거쳐 군부가 재집권하게 되었습니다. 군사정부의 지도부인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 SLORC)는 전권을 장악하고 사회주의 포기와 자본주의 시장경제 도입을 천명하면서 1989년 6월 국호도 ‘미얀마 연방’으로 변경했습니다.
.
.
1990년 5월 총선에서 아웅산 수지(Aung San SUU Kyi)여사의 야당(민주 국민연맹,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이 압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군부가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민정 이양을 거부하면서 반독재투쟁은 격화되었습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버마 정부는 반정부 단체에 대한 소탕 작전을 벌이는 한편, 평화협상도 병행 추진해 왔습니다. 2011년 들어설 테인 세인 대통령 아래에서 반군과의 평화협상은 보다 추진력을 얻어 2013년 8월 기준 약 13개 반군과의 평화협상이 체결되었으며, 2014년 2월부터는 십여 개 반군단체들과의, 이른바 전국 휴전협정(National Ceasefire Agreement, NCA)을 추진하여 2015년 10월 15일 체결을 완료했습니다. 그러나 당초 NCA에 합의했던 15개 반군 단체 중 7개 단체가 협상 대상의 확대 등을 주장하며 최종 서명을 거부했으며, 이들은 차기 정권과의 평화협상을 희망했습니다.
.
NCA에 합의한 단체는 카렌 민족 연합(Karen National Union, KNU), 버마학생민주전선(All Burma Students' Democratic Front, ABSDF), 샨주 남부군(Shan State Army-South, SSA-S) 아라칸 자유당(Arakan Liberation Party), 친 민족전선(Chin National Front, CNF), 카렌민주자선군(Democratic Karen Benevolent Army, DKBA), 카렌 민족 해방군평화위원회(Karen National Liberation Army Peace Council), Pa-O 국가해방조직(Pa-O National Liberation Organization, PNLO)의 8개 조직으로, 평화협상 체결에 앞서 버마 정부는 불법조직 및 테러리스트 조직 명단에서 이들을 삭제했습니다.
.
한편, NCA에 조인하지 않은 반군에는 와주연합군(United Wa State Army, UWSA), 카친독립기구(the Kachin Independence Organization, KIO), 카렌 민족 방위기구(the Karen National Defence Organization, KNDO), 카레니 민족진보당(the Karenni National Progressive Party, KNPP), the Kayan New Land Party(KNLP), 민족연합군(the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 NDAA), 新몽주당(the New Mon State Party, MNSP), 샨주진보당/샨주 북부 군(the Shan State Progress Party/Shan State Army-North, SSPP/SSA-N), 아라칸군(Arakan Army, AA), 탕 민족해방군(Ta'ang Nationa Liberation Army, TNLA), 미얀마민족민주연합군(the Myanmar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 MNDAA) 등이 있습니다.
.
AA, TNLA, MNDAA 등은 애초에 NCA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버마 최대 반군 조직인 UWSA 및 KIA 등은 이들 역시 평화협상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NCA 체결 후 非조인 조직들은 버마 정부군에 대해 NCA 非조인 단체에 대한 공격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차기 정부와의 대화할 의지가 있음을 피력하는 한편, 중국이 평화협상에 참여해야 함을 역설했습니다.
.
한편, 테인세인 대통령은 군사정권 시절의 총리 출신이면서도 아웅산 수지의 가택 연금을 해제하고, 아웅산 수지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선거 참여를 허용했으며, 언론의 자유를 인정하고, 수차례에 걸쳐 정치범을 석방하는 등 버마의 민주화를 위한 상징적·실질적인 조처를 해왔습니다. 국제사회는 이를 높게 평가하여 2012년 11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버마를 방문했으며, 2013년 EU는 버마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했습니다. 2015년 11월 9일에 실시된 총선에서 야당인 NLD는 상·하원 의석의 59%를 차지하며 승리했고, 이로써 2016년의 정권 교체를 했지만 2020년 선거에서 압승하여 재집권하게 되자 군부는 부정선거를 빌미로 2021년 2월 1일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이에 반대하는 주민들을 학살하고 있습니다.
.
감금된 아웅산 수지를 비롯한 버마 민주진영 인사들은 반군과 연대하여 버마 군부에 대한 무장 투쟁에 나설 것을 시사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민주 정부가 반군 민병대들과 연대를 시작하면 버마는 복잡한 전반적인 내전 상황으로 돌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 점에서 버마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소수민족 무장세력의 자료를 파악해서 나누고자 합니다.
.
버마는 군부로부터 각 부족이 자신의 부족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민병대를 조직하여 70년간 내내 내전 중인 나라입니다. 현재 민병대를 조직하여 버마 군부에 저항하는 소수민족 민병대는 15개 정도 되는 거로 파악됩니다.
.
우선 첫 번째로는 기독교를 믿는 서쪽 인도 접경 지역 카렌족은 정규군 수준의 7개 지역의 12,000명 규모의 카렌 민족해방군 (Karen National Liberation Army)'를 통해 버마 군부와 내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카렌 민족해방군은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1949년에 결성하여 자체적으로 특수 부대까지 보유하고 있습니다. 불교를 믿는 카렌족이 갈라져 나와 민주 카렌불교도 군(DKBA)의 이름 아래 미얀마 군부를 도와 기독교도 카렌족 민병대 몰살에 가담하기도 했습니다.
.
.
두 번째로는 악명높았던 '황금의 삼각지대'의 마약왕 쿤사(장치푸, 張奇夫)가 지도자이기도 했던 샨족 국가 군대 (Shan State Army)가 있습니다. 샨족은 중국 원난성 출신으로 대부분 불교도로 버마 북부와 태국과의 국경지대, 치앙마이 등 버마 전역에 넓게 분포하여 살고 있어서 버마 군부와 9곳에서 자주 전투를 치르며 10,000명 정도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세 번째로는 중국의 56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기도 하고 인도 북부에도 넓게 분포하는 카친족(징포景頗족)이 운영하는 카친 독립군 (Kachin Independence Army)입니다. 2차 대전 당시 영국군 편에서 싸우면서 독립 후 자치를 약속받기도 했습니다. 1961년 공화정이 네윈 장군이 이끄는 군부의 쿠데타로 무너지자 카친족은 카친 독립기구(KIO)를 결성하고 독립을 위한 게릴라 투쟁에 나섭니다.
.
대부분 기독교도인 카친족은 버마 북부의 풍부한 철광석을 중국이나 인도, 태국, 라오스 등으로 밀매하고 벌목을 통해 민병대 자금을 마련합니다. 다른 소수민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편 등 마약 거래를 자제하여 도덕성을 확보하였습니다. 약 5,000명 정도인 카친독립군은 독자적인 사관학교와 포병대대 등을 갖추어 무장 수준이 다른 민병대에 비해 뛰어납니다. 카친 독립군 사관학교는 다른 소수민족 학생들도 받아드려 각 민족의 민병대 지도자를 양성해오고 있습니다. 카친 독립군은 5곳의 지역에서 버마 군부와 내전을 치르고 있습니다.
.
.
네 번째로는 버마 동부 중국과의 국경지대에 사는 와족이 설립한 연합 와족 국가 군대 (United Wa State Army. 聯軍)가 있습니다. 중국계 유민인 와족은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 사냥을 하는 원시 부족이었고, 1989년 학생시위가 실패한 후 결성되었습니다. 1990년대 중반 와족은 버마 군부와 휴전협정을 맺고 버마 군부의 지원을 받아 경쟁 부족인 샨족 토벌 작전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버마 군부가 2010년 총선 참여를 조건으로 한 무장해제를 명령하자 이를 거부하고 같은 중국계인 코캉족과 함께 군부의 토벌 작전에 대항해 싸우고 있습니다.
.
미 국무부가 와족을 주요 아편, 메스암페타민 등 각종 향정신성 약물의 주요 생산자들로 지목한 바 있어 국제적으로 몰락 위기에 몰렸습니다. 아무튼 와족은 중국으로부터 상당한 무장을 공급받고 태국과 캄보디아의 암시장에서 마약과 무기를 밀수해서 상당한 무장을 축적했습니다. 약 20,000명의 와족이 5개 사단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실제 미얀마 군부와 이렇다 할 전투가 없어서 미얀마 군부가 미얀마 군사독재에 연합 와족 국가 군대를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
.
다섯 번째로는 17세기 중반 명나라가 멸망할 무렵 버마 북부의 샨족 지대로 피신한 명나라 유민들의 후손인 코캉족이 운영하는 미얀마 민족 민주 연합군 (Myanmar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Army)'에 있습니다. 코캉족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한족 문화와 풍습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습니다. 코캉족은 아편, 헤로인, 메스암페타민, 대마 등 마약 거래나 매춘, 밀매 등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민병대 운영자금으로 활용해 왔습니다. 1989년에 지도자 펑자셩(彭家聲)이 가장 먼저 군부와 휴전협정을 맺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도 했습니다. 30,000명의 코캉족 난민들이 중국으로 피신하기도 해서 미얀마 민족 민주 연합군을 매개로 중국과 미얀마 군부의 모종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기도 합니다.
.
.
이 이외에도 10여 곳에서 지속해서 10개 이상의 소수민족 민병대가 미얀마 정부군을 상대로 자신들의 원주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내전을 치르고 있습니다.
.
[야비한 버마군부의 술수를 벗어날 수 있을까?]
.
아웅산 수지 세력과 버마 반 군부 무장세력의 연대가 80% 정도 진척되었다고 합니다. 한가지 우려가 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한나라당 국민의힘이 선거 때마다 돈을 주고 북한에게 총과 대포를 남한으로 쏘게 한 뒤, 긴장을 조성한 다음, 국민들이 한나라당 국민의힘이 북한의 위협으로 부터 자신들을 지켜주리라 믿게 만들어, 자신들을 지지하도록 하듯, 버마군부도 반군들을 지원하여, 자신들을 공격하게 한 뒤, 자신들이 반군으로부터 버마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지난 70년간 반군을 이용해 왔다는 점입니다. 버마군부는 생각 이상으로 교묘하고 야비하고 악랄한 집단입니다.
.
+++
버마: 미얀마 연방공화국(The Republic of the of Myanmar)
.
○ 면적: 677,000㎢(한반도의 약3배)
.
- 해안선 2,051㎞
- 접경국: 태국(1,800㎞), 라오스(235㎞), 중국(2,185㎞), 인도(1,463㎞), 방글라데시(193㎞)
.
○ 인구(2009): 5700만명
.
○ 인종/민족: 미얀마(버마)족 70%, 소수족(카친, 카렌, 친, 샨, 꺼야, 몬, 라카인 등) 25%, 기타(중국, 인도 등) 5%
.
○ 종교: 불교 89.5%, 기독교 5%, 회교 4%, 토속신앙 1.2%, 힌두교 0.5% 등
.
○ 언어: 미얀마어(공용어), 통용가능어(영어-양곤 일부, 중국어-중국 접경지역, 태국어-태국 접경지역)
.
○ 정체: 대통령 중심제 ※ 국가원수(국가평화발전위원회의장)
.
○ 국경일: 1월 4일(1948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기념일)
.
○ 수도: 내피도(Nay Pyi Taw, 99만명) ※ 2005년 11월 6일부터 미얀마 중부의 내피도로 행정수도 이전 개시, 2006년 2월 중순 일단락
.
○ UN 가입일: 1948년 4월 19일
.
○ 국내총생산(2009): $263억 ※ 1인당 국민소득 $552
.
○ 경제현황(2009): 경제성장율 1.8%, 인플레이션율 10.9%, 외환보유고 $35.6억, 교역액 $108.8억(수입 $40.2억, 수출 $68.6억), 외채 $73억
.
○ 주요 자원: 쌀, 티크, 원유, 천연가스, 구리, 납, 아연, 텅스텐, 다이아몬드, 루비 등 자원 풍부
.
○ 동시수교국
.
- 한국: 수교 1975. 5. 16. ※ 상주대사관 설치
- 북한: 수교(1975. 5.) 이후 아웅산 묘소 테러사건(1983. 10.) 관련 대북한 단교. 외교관계 재개(2007. 4.) 이후 군사협력관계 강화중
.
+++
'1. Dr. Sam Lee > 14_외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성이 있는 루핀(Lupin)콩을 식용으로 먹는다?] (1) | 2022.03.23 |
---|---|
[사라진 13층의 미스터리 - 'Baker's Dozen (제빵사의 한 더즌)'] (0) | 2021.07.28 |
[버마 쿠데타와 조현천] (0) | 2021.02.05 |
'사법 쿠데타로 좌절된 룰라의 꿈'과 '한국의 사법 개혁' (0) | 2020.05.09 |
Spanish flu: the killer that still stalks us, 100 years on -100년 전 1억 명 목숨 앗아간 스페인 독감 (0)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