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윤장호 하사 애도 분위기속 맞은 3·1절인데… | |
일부 장군·장교들은 ‘나몰라라 골프’ | |
![]() |
![]() ![]() ![]() |
국방부 자제 주문에도 서울 2곳서만 100여명…개인일에 운전병 동원도 계속 지난달 27일 아프가니스탄에서 폭탄 테러로 ‘전사’한 다산부대 고 윤장호(27) 하사를 애도하는 분위기 속에 맞은 3·1절 휴일에 현역 장성들과 영관급 장교들이 내부 지시를 어기고 무더기로 골프장을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겨레> 취재진이 1일 서울 노원구 태릉 골프장을 찾아가 확인한 결과, 오후 1시 현재 현역 장성과 장교 68명이 입장 명부에 기록돼 있었다. 이 가운데 장성급은 신원이 확인된 것만 이아무개 준장, 김아무개 준장 등 3명이었다. 서울 송파구 남성대 골프장에서도 이날 50여명의 장교들이 골프를 즐겼으며, 이 가운데는 장성급으로 김아무개 소장, 박아무개 준장 등 3명이 있었다. 서울시내 2곳의 군 골프장에서만 적어도 100여명의 장교들과 6명 이상의 장성들이 ‘부적절한 골프’를 즐긴 셈이다. 이날 오전 6시께 태릉 골프장에 도착했다는 한 장군은 “오늘 고향 선배 3명과 골프를 같이 쳤다”고 말했다. 그는 윤 하사의 ‘전사’가 있은 지 이틀 만에 현역 장성이 골프를 치는 것이 적절한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대답을 피한 채 서둘러 자리를 떠났다. 일부 장성들은 군용차량에 운전병까지 데리고 온 것으로 확인됐다. ‘38육30**’, ‘02육10**’ 등과 같이 차량번호만으로도 군용차량임을 쉽게 알 수 있는 차량도 여러 대였다. 운전병들이 군 장교의 골프 가방을 트렁크에서 꺼내 클럽하우스까지 들어다주고, 골프가 끝난 뒤 다시 차에 가져다 싣는 장면도 여러 차례 목격됐다. 국방부는 장군들의 휴일 골프에 운전병을 동원하는 것은 병사들을 사병(私兵)화하는 것이라는 여론에 따라 이를 금지하고 있다. 이날 남성대 골프장에서 만난 운전병 ㄱ 상병은 “운전과 개인 시중, 골프채를 직접 챙기는 것에 익숙하다”고 말해, 장성들이 휴일 골프를 위해 운전병을 부리는 것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내비쳤다.
국방부 공보관실은 “골프 금지는 장군급에만 해당되는 것이며 영관급 장교들은 대기 차원에서 지시가 내려가지 않았다”며 “(골프를 친 사람 가운데는)군 연수기관인 국방대 안보과정 학생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베트남 전쟁 이후 외국에서 공격을 받아 한국군이 숨진 경우는 윤 병장이 처음인 셈”이라며 “아직 시신조차 한국으로 운구가 안 된 상황에서 책임 있는 장성들이 고통받는 유가족들을 뒤로 한 채 골프를 즐긴 것은 국민들이 보기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글·사진 전진식 기자, 정옥재 수습기자 seek16@hani.co.kr
고 윤장호 하사 유해 서울공항 도착 아프가니스탄에서 폭탄테러로 사망한 고(故) 윤장호(27.다산부대) 하사의 유해가 2일 오전 경기도 성남의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윤 하사의 유해는 부친 윤희철(65)씨와 어머니 이창희(59)씨 등 유족과 유해인수단(단장 류홍규 합참 인사부장), 6개월 근무를 마친 자이툰 부대원 300여명과 함께 아시아나 전세기편으로 이날 오전 7시15분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공항 활주로에 안착했다.
박흥렬(朴興烈) 육군참모총장과 윤 하사의 원소속부대인 특전사 장병 100여명이 공항에 도열해 군악대의 조악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엄숙하고 침통한 분위기 속에 싸늘한 주검을 맞이했다.
다산부대 장병이 윤 하사의 영정을 앞세우고 유족들이 뒤를 따라 비행기에서 내렸다.
육군은 박 참모총장 주관으로 윤 하사의 유해 영접행사를 가진 뒤 운구차량에 실어 경기도 분당 국군수도병원에 안치했다.
합참은 윤 하사의 원소속부대인 특전사부대장(葬)으로 5일께 장례를 치르고 국립현충원에 안장하는 방안을 유족과 협의하고 있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 (서울공항=연합뉴스) |
'4. ETIC > 41_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바라기 (0) | 2007.06.13 |
---|---|
[스크랩] 나원...참나...워쳐... 미쳐.. (0) | 2007.05.18 |
놀 줄 아는 브라질 (0) | 2007.03.01 |
아나운서연합회장 강재형 "20분의1몸값 박탈감은 당연” (0) | 2007.02.28 |
[스크랩] 마지막 황실, 잊혀진 대한제국 (0) | 2007.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