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한국예술종합학교 사태...

忍齋 黃薔 李相遠 2009. 6. 2. 10:29
반응형


---------- [ Original Message ] ----------

Subject: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이정현입니다.

Date: Wed, 27 May 2009 21:17:31 +0900

From: 이정현<yavoxya@naver.com>

To: <ecoist75@kbedu.or.kr>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교사에 붙어있는 거대한 벽보

작은 글씨로 '예종아 사랑해' 라고 빼곡히 적혀있음

 

 

안녕하세요. 

갑작스레 이메일을 드리게 되었네요.

노 전 대통령 서거 이 후 아직 모두가 마음도 추스리지 못한 시국에 

용기내어 메일을 띄우게 된 것은, 여러분께 꼭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4학년입니다.

 

7개월만 지나면 저는 이 학교를 떠납니다. 그런데 요즘 저는, 며칠 째 울고 있습니다.

이 학교를 떠나는 것이 아쉬워서가 아닙니다.

학교가, 외부의 압력으로 곧 없어져 버릴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

 

정치적 이념 차이에 따른 무분별한 탄압이라고 밖에 보이지 않는 이 극단의 사태가

정치권 내부 뿐 아니라, 예술과 교육의 현장에까지 침범하고 있다는 것에 분노가 치밉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문화부 산하에 있는 국립 대학교입니다.

지난 3월부터 5월 중순까지, 한예종에는 유래 없는 국정감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감사 결과가 발표된 다음 날인 5월 19일에, 황지우 총장님이 자진사퇴를 하셨습니다.

(관련기사 1.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355770.html)

 

누군가는 현 정부에 대한 좌파 문인의 반항이라고 하였고,

누군가는 현 정부의 문화계인사 물갈이가 끝났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5월 19일 밤, 급속도로 건강이 악화된 황지우 총장님께서

분당 서울대병원에 입원하셨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스승의 날을 기념하여 감사 노래를 불러드리는 어린 제자들을 앞에서

눈물을 보이신지 불과 4일 뒤, 기자회견 이후 자진 사퇴를 하신 지 이틀 뒤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이상했습니다.

마치, 아주 오래 전부터 속고 있던 기분이었습니다.

 

작년부터 주요 신문 사설에 ‘한예종, 좌파교육의 온상’ 이니 ‘한예종 개편이 곧 한국예술교육의 혁신’ 등의 기사가

나올 때부터 이런 사태가 벌어지리라는 것을 눈치 챘어야 했습니다.

 

작년 8월에 문화미래포럼 -문화계 뉴라이트 인사들로 구축된 전국 예술대학 교수들의 모임. 대표 : 성균관대 연기

예술학과 정진수 명예교수(64)- 이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동국대 정재형 교수는 한예종의 축소 개편안을 개인적인

잣대에 비추어 발제했고, 내용의 골자는 한예종 6개원을 분할, 폐지하자는 내용이었습니다.

 

 발제문 중 결론 부분인 p.22~24 전재)

 

                                                  국가의 전문예술인 양성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비판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운영사례를 통하여-


대학시스템을 폐기한다는 의미에서 종합예술학교를 해체하고 각각의 학교로 독립시킨다.

1단계, 각 원에 있는 이론과 및 협동과정을 폐지한다.

2단계, 예술대학과 중복되는 전공은 폐지한다. 단일하고 축소된 형태의 영재 조기교육 학교로 남고 대학에서 하지 못하는 전공만을 특별히 하는 학교로 전환한다.


-영상원과 아카데미를 통합하여 국가영상교육기구를 최소화하고 더욱 기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 미술원도 영재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음. 폐지 내지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

- 연극원은 이론, 극작과를 폐지하고 연기원으로만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여기 원도 현장 재교육기관으로 운영하자는 것. 동문극단의 폐지. CEO과정도 폐지.

- 전통예술원은 연희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음악원(국악), 무용원(한국무용)과 통합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음악원과 무용원은 조기영재교육원으로만 운영한다는 의견.

 

한낱 농담 같던 계획들이, 지금 현실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3.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521030010)
(관련기사 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21809195&code=940401 )

아직도 ‘서사창작과 없어진다던데, 극작과는 괜찮지?’ 라고 묻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무지함이 답답하고 안타깝습니다.

 

사실, 이런 물음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문화부 측에서 언론에 표명하고 있는 입장은,

서사창작과 - U-AT 통합과정 폐지 정도에서 머무르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 계획은 한예종 축소/개편안의

시작일 뿐이며 앞으로 벌어질 끔찍한 상황은, 상상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이 것은 저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저는 곧 졸업이고,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현실을 외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한예종 사태는 대학의 자율성을 무시한 채 학과 폐지 및 축소를 지시하는 명백한 교권침해이며,

현 정권이 예술/문화/교육정책을 다루는 방식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런 끔찍한 상황 속에서 ‘정의’ 이니 ‘진실’ 이니 하는 유치한 단어를 읊조리며 울고있는,

무력한 한 사람이 되고 싶지않습니다.

 

이 이 메일을 더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주윗 분들에게 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조언이나 도움 주시고 싶은 분은, yavoxya@naver.com으로 연락 주십시오.

 

살면서, 누군가에게 이토록 절실하게 부탁해본 일은 없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05학번 이정현 드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