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외국인 학생 국비 초청해놓고 "○○대학 가세요" 멋대로 배정최종석 기자 c

忍齋 黃薔 李相遠 2009. 9. 24. 12:20
반응형

외국인 학생 국비 초청해놓고 "○○대학 가세요" 멋대로 배정

입력 : 2009.07.29 03:10

지한파(知韓派) 만든다며 500명 선발한 뒤
강제 배정으로 원성 사

인도 네루대학을 졸업한 헤먼트 듀베이(21)씨는 작년 8월 한국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국내에 들어왔다. 1년간 한국어 연수를 받은 뒤 한국 대학에서 국제협력학 석사 과정을 밟을 계획이었다.

입국 직후 듀베이씨는 국립국제교육원측으로부터 "당신은 정부가 학교를 배정하는 '위탁장학생'이라 마음대로 학교를 골라 갈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국제교육원은 ▲한국인 국비장학생 해외 파견과 ▲외국인 국비장학생 한국 초청 등을 주관하는 정부 기관이다. 듀베이씨는 "한국 대사관에서 그런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항의했다. 국제교육원측은 "재외공관에서 제도를 잘 몰라서 벌어진 일"이라며 "이미 정해져서 바꿀 수 없다"고 했다.

듀베이씨는 지난 6월 다시 한번 좌절했다. 희망했던 서울대 대신 국제협력학 과정이 아예 없는 지방대에 배정된 것이다. 국제교육원은 "전공을 바꿔서라도 그 대학으로 가라"고 했다. 듀베이씨는 "그렇게는 못하겠다"며 한 달 넘게 국제교육원과 갈등을 빚고 있다.

해외 지한파(知韓派)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도입된 정부초청 '위탁장학생 제도'가 외국인 학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정부는 1967년부터 국내 대학에 유학 오는 외국인 학생에게 학비와 생활비를 대주는 '한국정부 초청장학생 제도'를 운영해왔다. 2005년까지 연간 70여명 선이던 초청장학생은 '2006년 133명→2007년 133명→2008년 245명'으로 급증했다. 이들은 '자율장학생'이라 전공과 대학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정부는 '지한파도 키우고 지방대도 살리겠다'며 지난해 위탁장학생 제도를 신설하고 500명을 선발했다. 위탁장학생은 1년간 한국어 연수를 받은 다음, 국제교육원이 지정한 35개 대학 중 한 곳에서 학위 과정을 밟게 되어 있다.

문제는 지원자를 모으는 과정에서 외국 학생에게 자율장학생과 위탁장학생의 차이점을 정확히 설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재외공관에서 나눠주는 초청장에도 명확한 설명이 없다. 인도 출신 위탁장학생 A(23)씨는 "서울에 와서야 내가 학교를 선택할 수 없다는 걸 알았다"고 했다.

국제교육원이 위탁장학생을 배정하는 35개 대학 가운데 25곳이 지방대라는 점도 불만을 사고 있다. 남미 출신 B(27)씨는 "지방대는 외국인 학생이 드물고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영어 강의가 적다"며 "장학생 대부분이 한국에 오기 전까지 한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인데, 한국어 연수만 받고 지방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치라는 건 무리"라고 했다.

국제교육원은 학교 배정에 앞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1지망부터 5지망까지 희망 학교를 적어내게 했다. 지난 6월 이뤄진 첫 배정에서 위탁장학생(500명) 중 57명이 1지망에 배정되지 못했다. 이 중 13명은 여태 진학할 학교를 정하지 못하고 국제교육원과 씨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부차적인 목적(지방대 육성)을 만족시키느라 본질적인 목적(지한파 육성)을 손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대 입학관리본부 김경범 교수는 "학생의 의사를 무시하고 정부의 편의에 따라 일방적으로 대학을 결정하면서 어떻게 그 학생이 지한파가 되길 바라겠느냐"고 했다.

국제교육원은 "내년에 입국하는 3기 위탁장학생부터는 초청장 배포 단계부터 제도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학생들이 어느 대학에 갈지 최대한 예측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1~2기생들에 대해서는 "뚜렷한 대책이 없다"고 국제교육원은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