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8_FaceBook_Twitter

2013년 3월7일 Facebook 이야기

忍齋 黃薔 李相遠 2013. 3. 7. 23:59
반응형
  • profile
    [Bulletin of Atomic Scientists: A US Nuclear Exit? (Part 1)]
    March 5, 2013
    By PennEnergy Editorial Staff
    Source: Bulletin of Atomic Scientists

    The Bulletin of Atomic Scientists (BAS) has released its third and final issue in its Nuclear Exit series, this time turning its expert focus o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two installments looked at Germany and France, countries that share a border but are - for historical,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 - answering the nuclear power question in different ways.

    The first editorial piece in this five-part installment to be presented on PennEnergy.com is an introductory overview from BAS deputy editor John Mecklin on the thought provoking and controversial analysis presented in this special issue.

    [Introduction: A US nuclear exit?]
    By John Mecklin

    In a 2012 progress report on federal energy initiatives, the Obama administration enthusiastically asserted that it was “jumpstarting” the nuclear industry. It noted that “the Department of Energy issued a conditional commitment for a loan guarantee to support the first US nuclear reactors in more than three decades. The project…will bring two new Westinghouse AP1000 reactors online, supporting 3,500 construction jobs and 800 permanent jobs” (White House, 2012: 12).

    The Southern Company is indeed building two new units at its Vogtle nuclear power plant in Georgia, but the administration’s rosy energy report omitted some key context: Those reactors, which likely wouldn’t be financed without a federal loan guarantee, are rare sunbeams in a dismal nuclear power landscape. Because of the nuclear industry’s long history of permitting problems, cost overruns, and construction delays, financial markets have been wary of backing new nuclear construction for decades. The supposed “nuclear renaissance” ballyhooed in the first decade of this century never really materialized.

    And then came Fukushima, a disaster that push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confront the same basic question: Should nuclear power be part of the energy future?

    In Japan and many European countries, that question has been the focus of significant public debate and policy making, but in the United States, it has scarcely been broached. The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has responded—and doubtless will continue to respond—to safety issues raised by the Fukushima accident. The overall US approach to nuclear power, however, remains roughly what it has been for decades. And that business-as-usual approach is exactly what could produce a US nuclear phase-out, former NRC Commissioner Peter A. Bradford writes in his engaging and somewhat counterintuitive essay, “How to close the US nuclear industry: Do nothing.”

    Even though the NRC granted a 20-year life extension to the Kewaunee Power Station in Wisconsin, its owner decided to shutter the plant anyway. This is just one of several recent industry moves that show nuclear power has entered a new phase in the United States—“one in which market forces challenge the economic viability even of existing nuclear plants, while making new reactors hopelessly unattractive as investments,” Bradford writes. In this new phase, some operating nuclear plants will be unable to compete with the cheaper power produced by coal, gas, and renewable sources. Financial markets will continue to shy away from funding new nuclear plants. And, Bradford writes, as existing reactors run out their licensed lifetimes, nuclear power will, likely, simply…disappear. “Absent an extremely large injection of government funding or further life extensions, the reactors currently operating are going to end their licensed lifetimes between now and the late 2050s,” he concludes. “They will become part of an economics-driven US nuclear phase-out a couple of decades behind the government-led nuclear exit in Germany.”

    Sharon Squassoni, a nonproliferation expert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lso uses a “slow slide into irrelevance” as the starting point for her analysis, “The limited 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civilian nuclear decline.” She writes that proponents of nuclear power have argued that the gradual US phase-out now seemingly underway would hurt national security, reducing America’s influence over other countries in regard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y argue that the government should therefore intervene to help civilian nuclear power survive.

    But a US nuclear exit will have relatively minor international implications, Squassoni writes, and any governmental attempt to buoy the US commercial nuclear industry for national security reasons runs the risk of blurring the distinction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nuclear programs—and undermining public backing for both.

    Because economics drives long-term decisions about energy, the Bulletin asked leading researchers from two notable institutions to analyze the entwined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a decision to phase out the US nuclear power industry. The assignment was, quite deliberately, open-ended and loosely defined. It was meant to elicit deep but not necessarily parallel analyses of the broad range of factual data policy makers would have to consider if they were to reassess the future of the commercial nuclear power industry.

    Henry D. Jacoby and Sergey Paltsev have played leading roles in MIT’s prestigious Joint Program on the Science and Policy of Global Change. Using the authoritative MIT Emissions Prediction and Policy Analysis model and other relevant data, they analyzed three scenarios: one in which the United States does not pursue a nuclear exit, essentially sustaining the current nuclear power system until mid-century; a second in which the government freezes nuclear licensing, leading to a phase-out in 2048; and a final scenario in which the government forces a nuclear exit by 2030.

    Jacoby and Paltsev note that their analysis focuses primarily on just one among many variables that could alter the consequences of a nuclear exit: differences in possible regulatory regimes relating to greenhouse gas emissions. Also, a nuclear phase-out could have many impacts, and Jacoby and Paltsev analyze three: on greenhouse gas emissions, on electricity prices, and on national economic performance. But even considering these and other limitations and uncertainties, they write, “the short answer to the large question is that a US exit from nuclear generation will impose costs on the environment, on electricity consumers, and on the national economy.”

    Amory Lovins is chairman and chief scientist of Rocky Mountain Institute, a nonprofit that focuses on efficiency and renewable resources. Starting from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US nuclear energy industry’s economic problems, Lovins draws on a comprehensive study that he and his institute authored, Reinventing Fire, to analyze three possible nuclear futures: a Base Case, in which the nuclear industry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current levels; a Scheduled Retirement scenario that assumes the NRC does not approve new nuclear licenses or increases in power ratings for existing plants; and a Transform projection, which posits that the US nuclear fleet would be retired by 2050 and replaced with a renewables-dominated energy mix.

    Lovins’s detailed analysis is also carefully qualified. In the end, however, he comes to a sweeping conclusion: As the US electricity system ages, most of its power plants and transmission grid will need to be replaced by 2050. The cost of doing so, he writes, will be roughly the same, whether the rebuilt system is fed by new nuclear power plants and “clean coal” facilities or centralized and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plants: “The inevitable US nuclear phase-out, whatever its speed, is…just part of a far broader and deeper evolution from the remarkable electricity system that has served the nation so well to an even better successor now being created.”

    This is the third and final issue in the Bulletin’s Nuclear Exit series. The first two installments looked at Germany and France, countries that share a border but are—for historical,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answering the nuclear power question in different ways. Germany has made itself into a proof of concept for countries considering an exit from commercial nuclear power, embarking on an ambitious Energiewende, or energy turnaround, that includes a quick nuclear phase-out and an enthusiastic embrace of renewable energy. Just next door, France is taking a more cautious approach. The country’s new president, François Hollande, advocates reducing nuclear power use, and his government is organizing an extensive, multi-stakeholder debate on the country’s energy future. Even so, history and the sheer amount of nuclear infrastructure in France—three-quarters of the country’s electricity comes from nuclear power—would seem to militate against a fast or total phase-out.

    In the United States, policy makers, the press (in general), and the public at large have yet to focus significantly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untry might be better or worse off if reliance on nuclear power were curtailed or eliminated.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data and analysis presented by the authors in all three Nuclear Exit issues make clear that this question has no simple, one-size-fits-all answer. They make something else clear, as well: The question deserves a serious, considered answer in every country with a commercial nuclear power industry.
  • profile
    → Samuel Lee 핵을 줄여가며 신생에너지의 확대... 어렵네요
  • profile
    故 홍남순 변호사 님 사무실 겸 댁
    광주 광역시 궁동 15번지 한국민주화 운동의 대부 故 홍남순 변호사 님 께서 생전에 기거 하셨고 사무실로도 쓰셨던 은행나무 집 입니다 지금은 다른기관에서 인수 해 빈집상태로 있습니다 지붕위를 보니 지난여름 상태 그대로 입니다 올 겨울도 무척 눈 많이 내려서 집 안 내부 는 형편 없을 것으로 사료 됩니다 어느 누구하나 신경쓰지 않습니다 몇 십억씩들여 폴리를 하고 인권관련 프로젝트를 운영 하지만 정작 민주화 의 상징적인 은행나무 집에 대해서는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곳을 지나 다닐때마다  
    가슴아픕니다 몇번 글도 올렸지만 소용 없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한국 곳곳이 큰일이군요. 저아이들에게 희망이 보이지 않아서 일까요? 아니면 너도 나도 이루기 힘든 과한 욕심만 품게 만들어서 그럴까요? 대학공부 말고도 할일이 많을텐데. 무엇이 저아이들을 저모양으로 만들었을까요?]

    아래 내용은 호남지역 언론인 윤사현 선배님이 자식같은 젊은 대학생들의 잘못을 지적하다 봉변을 당하신 이야기 입니다. 한국의 어른들 겁먹지 말고 야단도 치고 해야합니다.
    4 minutes ago ·
    " 방금,새벽두시에 일어난일..
    대학가는 오티니 엠티니..선배들이 후배들을 불러 훈육하는 술자리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토하는 신입생들은 부지기수고,만취해 쓰러져있는 여학생들도 요즘은 하루도 빠짐없이 발견합니다. 여러 걱정으로 늦게 잠을 이루다 제가 관리하는 건물 지하실에 두 학생이 비틀거리며 들어서 토하는 모습을 cctv로 확인하고 이들을 대면하게됐습니다. 소변을 보고 있더군요.앞으론 화장실을찾아 일을 보라며 주의를 줬더니 니가 뭔데 이 개개끼 뭘 상관하냐며 겁을 주더군요. 내가 이집 주인이라했더니 주인이면 다냐며 더한 욕설까지..패주고싶은걸 꾹 참고 <학생들을 건조물침입죄와 경범죄처벌법위반으로 112에 신고하겠다 하니 수그러지더군요. 우리나라 세계 제일의 교육공화국인데..뭘 교육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 부모들과 그 교수들과 그 선배란 사람들이 모두 개들이 아닌가 의심스러웠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총체적으로 부실한 나라의 이름이 하필 대한민국.
  • profile
    → Samuel Lee 홍준식 선생님 말씀. 더 슬퍼지고 우울해 지네요.
  • profile
    → Samuel Lee 저기가 화순이던가요?
  • profile
    → Samuel Lee
  • profile
    → Samuel Lee 광주 광역시 궁동 15번지 한국민주화 운동의 대부 故 홍남순 변호사 님 께서 생전에 기거 하셨고 사무실로도 쓰셨던 은행나무 집 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이런~~~~
  • profile
    → Samuel Lee 그냥 신고하시는 게 그들을 위한 참교육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학교에서 선생님들도 고소를 당하는데... 어떻게 남의 자식들에게 야단을 칠수 있을까요? 잘못해서 아이들에게 맞아죽는 사람도 종종 나옵니다... 잘못된 세상이지만,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나을듯... 미래가 암을합니다...ㅠㅠ
  • profile
    → Samuel Lee 미국에서 아이들을 야단치단 큰일 나겠지요... 미국보다야 좀 낫기는 하지만, 미래가 걱정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미국에서는 청소년에 대해 Zero Tolerance Policy를 도입한 이후에는 아이들이 정말 공손해 지고 속으로는 어찌 생각할지는 모르지만 어른들 훈계에 속죄하는 모습을 잘 보입니다. Zero Tolerance Policy, 무관용원칙이지요. 잔인한듯 보이지만, 어린시절부터 한번의 잘못이 인생을 확실하게 망치는걸 제대로 가르쳐 주는 셈이지요.
  • profile
    → Samuel Lee 잘 올리셨어요, 이런 악한 습관은 나라를 짊어질 젊은이들 에게서 반드시 근절 되어야 합니다. 1. 어린 나이에 혈관 속의 알콜이 중독을 일으켜 사망 하는 예가 부지기 수이고, 2. 술을 상습적으로 마시면 오장육부의 피해는 물론 뇌까지 쫄아 들어 그회복 기간이(두뇌가 정상크기로 돌아올수있는 시간이) 6주가 걸립니다. 3.그러나, 자의나 타의로 그걸 지키지 않고 자주 마시면 양심을 일깨워 주는 전두엽 이라는 대뇌 밑에 자리한 작은 뇌가 아예 없어져 버려서 4. 술에 중독 걸린 사람들은 남녀 노소를 막론 하고 광폭 해지고 윤리 개념도 없어지게 되므로 범죄도 쉽게 저지르게 되는것 이지요.
  • profile
    [2008년 SBS 5.18특집방송 2부작 '인연'에 호스트 겸 나레이터 겸 방송작가로 소설가 은미희 선생님이 1주일간 방송팀과 오셔서 다큐를 찍고 돌아가신뒤 방송이외에 문화일보 칼럼에 제 이야기를 쓰신건데 지금 읽어보니 갑지기 눈물이 울컥 쏟아질것 같군요.]

    <봄날은 온다>

    일 때문에 미국을 다녀왔다. 한 사람을 취재하는 일이었는데, 문득 산다는 게 무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저런 경험과 추체험들로 삶에 대한 비의를 눈곱만큼이나마 깨우쳤다고는 하나 여전히 종잡을 수 없고, 속내를 잘 보여주지 않는 삶의 어지러운 운행에는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체스게임을 보는 듯 사람의 삶이 참으로 변화무쌍하다.

    어쨌든 이제 쉰을 바라보는 나이가 된 문제의 그 사람은 저 엄혹했던 지난 시절에 고문으로 으깨진 몸을 이끌고 황급히 이 나라를 도망쳤다. 너무 무서워 한동안 사람을 만나는 것도 피했단다.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해 밤마다 몸을 웅크리며 악몽에 시달려야 했고, 급기야 병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라는 병명을 진단받기도 했다.

    그때 의사는 같은 인간으로서 그가 당한 정신적 상처와 육체적 테러에 함께 분노했다고 하던가. 당시 그는 신체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체형이나 고통에 차라리 죽기를 원했노라고 기억해냈다. 그 지옥 같은 상황은 그의 마음속으로 깊이깊이 숨어들어 무의식 속에서 그를 조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쨌든 역설적이게도 그를 살린 것은 특정인에 대한 증오심이었다.

    한데, 20여년이 지난 지금의 그는 그때의 상처에서 많이 벗어난 듯 보였다. 미국에서 다시 공부해 최고 학위도 받고, 직장도 잡아 지금은 한국인으로서는 드물게 고위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나름대로 실력을 인정받고 있었다.

    그에게는 살아가야 할 분명한 목표가 있었다. 증오심이든, 복수심이든 아니면 숨기 위해서든 그날의 끔찍했던 기억에서 벗어나기 위해 오로지 공부에만 몰두했었단다. 그 상처를 잊기 위한 몸부림이 오늘의 위치에 다다르게 만든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정말, 그 증오심이 없었더라면, 그 끔찍한 고문이 없었더라면, 그는 지금쯤 한국에서 평범한 중년 남자로 살아가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평범한 삶도 좋지 않겠느냐고 말할 때는 어쩔 수 없이 그는 코맹맹이 소리를 냈다. 그리고 한국에 대한 기억과 정서는 아직 20대에 머물러 있다고 고백했다.

    그를 남겨두고 돌아오면서 나는 우울했다. 왜 자신이 태어난 땅에서 가족들과 함께 오순도순 살지 못하고 남의 땅에서 남의 말을 쓰면서 그렇게 살아가야 할까. 알게 모르게 가해지는 차별의 그늘 속에서 마음 졸이며 살아야 할까. 무시로 떠오르는 생각들 가운데 어느 한 가지도 명쾌한 답을 내릴 수 없었다. 그리고 홀로 남겨진 그를 생각하니 참으로 짠한 마음이 들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그는 정의로운 사람이었다. 나쁜 것을 나쁘다 말하고, 좋은 것을 좋다 말하는 아주 상식적인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는 무사한 삶을 보장받지 못했다.

    비행기를 타고 오는 내내 사는 것에 대해, 살아가는 것에 대해, 사람에 대해 생각했다. 당장에라도 죽임을 당할 것처럼 자신을 괴롭히는 일이 세상에는 너무 많다. 그 힘듦에 매몰돼 감히 내일을 생각할 수도 없다. 아무도 자신의 미래를 알지 못한다. 다만 관성처럼, 습관의 힘으로 어쩔 수 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나 또한 그렇다. 죽음을 떠올릴 만큼 힘든 삶이, 그 고통이, 훗날 자신을 밝고 희망찬 내일로 인도해줄 지팡이가 된다면, 자신의 삶의 물줄기를 더 큰 줄기로 바꾸어 놓는다고 생각한다면, 기꺼이 그 아픔을 받아들이고 견뎌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찌 그 고통 속에서 고난 끝에 낙이 온다는 진리를 욀 수 있을까.

    주변을 둘러보면 불안한 현실과 암울한 미래로 불만을 터트리는 사람이 많다. 당장에 세상이 끝장날 것처럼 도무지 참을성이라고는 없어 보인다. 나 역시 예측할 수 없는 미래 때문에 몹시 불안하다. 하지만 전망 부재의 시간 속에서도 하루가 가고, 내일은 온다. 그의 삶이 증거하듯 다가올 미래의 시간들 속에 예상치 못한 기쁨이 마련돼 있을지도 모를 일. 다만 살아가야 할 분명한 목표 하나쯤 붙잡고 있으면 당장에 견디기가 쉬울지도 모른다.

    이 흉흉한 소문의 세상 속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밝은 내일을 믿기 때문이다. 그러니 기다려 보련다. 봄날은 온다.

    <문화일보:푸른광장>기사 게재 일자 2008-03-27

    [[은미희 / 소설가 http://ko.wikipedia.org/wiki/은미희 ]]
    ko.wikipedia.org  
    은미희(殷美姬, 1960년9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작가이다. 전남 목포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성장하였다. 광주문화방송 성우를 거쳐, 《전남매일》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이때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소설작가임을 깨닫게 되고1996년 단편《누에는 고치 속에서 무슨 꿈을 꾸는가》로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고, 1999년 단편 《다시 나는 새》로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소설가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image
  • profile
  • profile
    → Samuel Lee 아....
    동영상보니 저곳도 가고 샆네요
  • profile
    → Samuel Lee 그렇지 않은 젊은이들도 많답니다.
    요즘 제 주변을 보면 군 복무를 끝내고
    6개월 단기 하사관 해서 등록금 마련하는
    친구들도
    자기집이 100억원이 넘는 재산을 가져도
    알바하면서 공부하는 친구들도있고
    전 부산이지만 수능치고 서울에 있는 대학 장학생으로 간다고 올라가기전에 인사하러오는 멋진 제자들도 있고
    예의와 성실과 검소가 몸에 베인 많은 젊은이들도 있답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도 우리선배님들이 우리를 믿어주신것처럼 저도 믿습니다.
    따뜻한 나라로
    힘있는 나라로 발전하리라는것을.
  • profile
    → Samuel Lee 과한 욕심 만 품게하고, 남을 죽여 야 살 수 있 다는 정치인들, 특정인들의 행동을 보고. 뭘 생각 하겠습니까? ///////////////당연 한 결과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눈녹은 물이라서 엄청나게 찹니다... 발한번 담궜다가 발 빠지는줄 알았습니다... 보기에는 좋은데, 위험하죠.
  • profile
    → Samuel Lee ??? 궁동요? 궁동은 광주 도심에 있지 않나요? 궁동에 있는 홍안과를 가 본 일이 있습니다. 또 화순에 있는 홍남순변호사님댁을 가 본 일이 있습니다. ^^
  • profile
    → Samuel Lee Samuel Lee 님, 제가 긴 문장 앞에서는 덤벙대는 성격에 제목은 잘 않 읽고 읽어 내려 가는 습관에 읽다가 어!? 이글이 꼭 이 사무엘님 같은데! 하는 생각이 들어 그제서야 제목을 읽어보니 맞군요. 제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왜 그때 갑자기 불 분명한 이유로 한국을 떠나셨을까?' 하는 의문점이 있었는데, 과연 그러셨군요. 존경 스럽습니다. 그때 고문으로 입은 부상과 상처는 다 회복 되셨나요? 궁금 하네요.
  • profile
    → Samuel Lee 홍남순 변호사님과 친하셨군요^^ -꾸벅- 위사진음 사진가 Hyang Deuk Kim님이 광주시 궁동 가옥 지붕을 찍어 올린 것을 링크한 겁니다^^ :)
  • profile
    → Samuel Lee 이 박사님 ........
  • profile
    → Samuel Lee 사무엘님...ㅠㅠ 존경합니다
    아침부터 그리운 사람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언제 이 다큐 방송 볼수있나요? 꼭 시청하고 싶습니다. 저는 5.18항쟁이 군사 독재정권에 의해서 다 끝마치는 때쯤 TV 뉴스에서 보았습니다. 신발도 없이 팬티만 입은 젊은이들을 마구 패서 새끼줄같은것으로 묶어 짐승처람 끌고가던 그모습. 공포의 질린 그 젊은이들의 얼굴들이 떠오릅니다. 끌려가서 당해야할 무시무시한 고문! 전 상상만해도 끔찍하고 무서웠고 분노가 치밀었고 그리고 아주 많이 슬펐습니다. 여기 이페북에서 33년이 지난후에 이렇게 그 젏은이를 만나뵙게 되네요. 한국사람들은 Samuel Lee님께 빚을 졌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정의의 빚. 그리고 민주주의의 빚.
  • profile
    → Samuel Lee Eun Sook Kim님~ http://ko.wikipedia.org/wiki/이상원_(학자) 에서 다 볼수 있어요^^
  • profile
    → Samuel Lee 유튜브에도 있구요^^ 80518 - 5.18 Democratic uprising South Korea 1/4 http://youtu.be/61_KXXelkI8
  • profile
    → Samuel Lee 0518 - 5.18 Democratic uprising South Korea 2/4 http://youtu.be/0a9nHzwfTPY
  • profile
    → Samuel Lee 80518 - 5.18 Democratic uprising South Korea 3/4 http://youtu.be/4CTeMBvjaWc
  • profile
    → Samuel Lee 80518 - 5.18 Democratic uprising South Korea 4/4 http://youtu.be/5TrqcTpmRJc
  • profile
    → Samuel Lee 저두 이뻐해 주세여~~ 박사님^^
  • profile
    → Samuel Lee 아~ 하나더 있어용^^ 노란장미의 광주일기 - 5.18 http://www.youtube.com/watch?v=n6dXuYS_9CE&feature=share&list=UUk1vl64gYdsLDz5-56KbbIg
  • profile
    → Samuel Lee Mikyung Han님 고맙습니다! 제 페북으로 퍼갑니다.
  • profile
    → Samuel Lee 과한 애정을 주셔서 감사의 마음 어찌 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구요^^ 제 처지와 행색을 둘러보도록 더 긴장하겠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이상원박사님 진정으로 멋있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아이고 머리숙여 감사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Nanga Kim, 히말라야를 바라보며 살면서 캐나다 록키산맥도 가보고 싶다하니 산신령이 환생을 했구나^^ :)
  • profile
    → Samuel Lee Byeongok Song님, 그러게 말입니다. 북비대륙엔 1년치 강우량이 겨울에 눈으로 내려서 눈녹은물이 홍수까지 불러오지요. 차가운데다가 말입니다 하하하
  • profile
    → Samuel Lee 봄이 서울에도 왔습니다
    오늘은 봄비 살짝 내리네요
    힘찬 삶에 박수 드립니다
  • profile
    → Samuel Lee 이박사 자랑스러워~!!
  • profile
    → Samuel Lee 심히, 공감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청우야 고맙다. 쑥쓰럽기도 하고 하하하
  • profile
    → Samuel Lee 박사님~~ 걔들 "개"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젊은이들이 커서 공부 잘 하면 고시 합격해서 판검사되고 고위 공무원되고 의사되고 나라 지키는 군인이 되고 그리고 자신의 가족은 만들고 제도 민주주의를 한다고 합니다. 아이들 훈육하면 교사한테 육두문자쓰고, 힘센 사람에게 비굴할 정도로 굽신대는 것이 요즘 아이들입니다. 이런 아이들이 지금 젊은이(학생)들의 주류입니다. 언제부턴가 어른들이 젊은이들의 비행에 꾸중을 할 수 없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현장 학교는 학생 비행에 비행 행동 교정을 위해서 교사가 나서면(체벌이나 교육훈육을 상대방이 악의적으로 받아들여서) 되려 고소를 당합니다. 학교 교육 현장이 망가졌기때문에 이런 젊은이들이 생산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런 젊은이들이 주류인 우리시대를 보면서 "희망"을 찾기보다는 "절망"을 많이 느낍니다. 그래도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으로 꿋꿋하게 자신의 인생을 가꾸어나가는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세상 곳곳에 보석처럼 있습니다. 힘찬 하루 시작하겠습니다. 박사님~~
  • profile
    → Samuel Lee 싸가지 없는 아그들도 많지만 못지않게 차칸 아이들도 많습니다. 술이 싸가지 많이 잡아먹고 있는데..학교주변에선 술장사 못하게했으면 좋겠습니다.주민들과 선량한 학생들의 피해가 심각합니다.우리동네는 초중고등학교 대학교들로 둘러싸였는데 온통 술집입니다. 아무리 음주가무를 즐기는 민족이라지만 학생들 등하교길이 술집 영업쓰레기와 소음에 시달려서야 되겠습니까..
  • profile
    → Samuel Lee lol....
  • profile
    → Samuel Lee I remember attorney Hong....Oh!! How many lives he touched....
  • profile
    [년전에 한국 인터넷 서핑중에 한국고전번역원이라는 곳에 연결이 되어 회원등록을 하니 지속적으로 좋은 고전을 번역하여 보내주어 감사히 잘 읽고있다. 우리의 선조들이 중국의 글과 형식을 빌려 금과 옥조 같은 그분들의 생각을 남기셨으니 후손된 우리가 알아 먹을 려면 지금의 우리글로 번역이 필요할 것이고 나라에서는 고전번역원을 만들어 그 본분을 다하고 있으니 조상님들 보시게에도 이 어찌 대견하지 않을수 있으랴.]

    [쉰 다섯 번째 이야기-2013년 3월 7일 (목)]

    존재에 대하여[有物]

    존재가 나고 또 나도 다함이 없어
    다하였나 싶은 때에 어디선가 또 나오네.
    시작도 없이 나고 또 나거늘
    그대는 아는가, 어디에서 오는지를?

    有物來來不盡來
    來纔盡處又從來
    來來本自來無始
    爲問君從何所來

    - 서경덕(徐敬德, 1489~1546)
    「유물(有物)」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화담(花潭) 서경덕이 우주 만물을 형성하는 본원에 대해 탐구한 시입니다.

    화담은 사물을 관찰하고 이치를 궁구하기를 좋아했는데, 이와 관련한 어린 시절의 일화가 있습니다. 한번은 부모가 나물을 캐 오라고 하였는데, 매일같이 늦게 돌아오면서도 광주리를 다 못 채웠습니다. 이를 이상히 여겨 아들에게 묻자, “나물을 캐러 갔을 적에 새가 날아오르는 것을 보았는데, 하루는 땅에서 한 치, 다음 날엔 땅에서 두 치, 또 그 다음 날엔 땅에서 세 치 뜨더니, 점차 위로 날아갔습니다. 제가 이 새가 나는 것을 보고 그 이치를 생각해 보았지만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늘 늦게 돌아오게 되었고, 광주리도 채우지 못했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또 18세에 『대학(大學)』을 읽고, “아는 것을 지극히 함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함에 있다.[致知在格物]”는 대목에 이르러 마음에 크게 느끼는 바가 있었습니다. 화담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못한다면 독서를 한들 무엇하겠는가?”라고 하고, 천지 만물의 명칭을 써서 벽에 붙여 두고, 날마다 온통 여기에만 정신을 쏟으며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였습니다.

    화담 선생은 후에 이러한 공부 방법을 두고 어려서 훌륭한 스승을 만나지 못해 헛된 노력을 했노라며, 이러한 공부 방법을 본받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화를 통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데 치중했던 화담의 학문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시에 이어 한 수가 더 있습니다.

    존재가 가고 또 가도 다함이 없어 有物歸歸不盡歸
    다하였나 싶은 때에도 다 간 적이 없어라. 歸纔盡處未曾歸
    끝도 없이 가고 또 가거늘 歸歸到底歸無了
    그대는 아는가, 어디로 가는지를? 爲問君從何所歸

    첫 번째 수가 존재가 생겨나는 곳에 대한 것이라면, 두 번째 수는 존재가 돌아가는 곳에 대한 것입니다. 각각 생겨나는 곳과 돌아가는 곳이라고 하여 말은 바뀌었지만 본질적으로 한 바탕인 존재의 뿌리에 대해 화두를 던진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작도 없이 나고 또 나는 곳은 어디일까요?
    끝도 없이 가고 또 가는 곳은 어디일까요?
    나는 곳과 가는 곳은 같은 곳일까요, 다른 곳일까요?
    그곳과 지금 여기 이곳은 같은 곳일까요, 다른 곳일까요?
    어디서부터를 삶이라 하고 어디서부터를 죽음이라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16세기 조선의 철학자가 우리에게 ‘끝까지 알아내야 할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글쓴이 : 하승현(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image
  • profile
    → Samuel Lee 그 질문을 끝까지 겸허히 생각하고 살아야겠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Lee Daehyung 선생님은 직접 아이들을 가르치고 계시니 감정고르기 쉽지는 않겠군요. 희망이 있다고 믿어보고 싶습니다.
  • profile
    → Samuel Lee 윤사현 형님이 늘 보고 대하고 치루는 일상이라 뭐라 따로 드릴 위로가 생각나지 않는군요.
  • profile
    → Samuel Lee 헉교다니기 쉬워서 그래요
  • profile
    → Samuel Lee 미국은 학생들 술문화가 어떤가 궁금하네요 이곳 대학가는 학생회비니 학회비를 따로 걷어서 예산을 소진은해야겠고 신입생들 술로 지옥훈련을 한답니다.이번학기에도 여러명 죽어나갔어요. 놀랄일인데 노라는 사람 별로 없어요. 해마다 되풀이되는 죽음의 술판인지라..
  • profile
    → Samuel Lee 미국서 한국처럼 술을 먹었다가는 졸업못하고 중도탈락하고 말지요. 미국대학 평균졸업율이 60%를 넘지 못합니다. 에로 유시버클리 같은 경우는 40%이니 살벌하게들 공부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그러니 말입니다. 저도 한국에서 학생할때는 술 많이 하고 박정권 시절이라 학교도 별로 못갔고. 캐나다에는 3년간 밥잠을 제대로 못하고 학교를 다녔답니다. 생각도 하기 싫어요
  • profile
    한국에서는 너무 공수표를 남발하지요. 미국말로 모든 일은 deliverable 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그렇치 않으면 일하지 않은걸로 간주합니다. 한국도 그런걸 빨랑 배워야 합니다.
    리더의 언어 
     
    리더는 명확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조직 구성원에게 뚜렷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지, 알아서 잘 하겠지하고 놔두거나 그 의중을 찾아서 일을 하게 하는 순간부터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군비경쟁을 하던 소련에서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자 온 미국인들이 경악했다. 아마 우리나라 정부 같으면 그 이후 "우주과학을 선진화 하겠습니다", "미래한국을 위한 과학인을 양성하겠습니다", "미래먹거리 사업인 우주항공 산업육성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겠습니다" 같은 뜬구름 잡은 이야기를 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케네디는 국민들에게 이렇게 이야기 했다. 
     
    "지금부터 10년 이내에 달에 사람을 보내겠습니다" 
     
    리더의 언어는 이래야 한다. 미국은 케네디가 사망하고 10년 후인 1973년 아폴로 13호를 발사하여 달에 인간을 착륙시킨다. 
     
    현 대통령은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바꿔야 한다. 
    image
  • profile
    프로는 deliverable 해야 한다.
    프로는 결과로 말한다 
     
    과거 백수시절때 늘 가지던 불만이 있었다. 나는 사람도 좋다하고 자타에서 실력도 있다고 하였지만 소속이 없다는 이유로 인정을 받지 못하던 일을 참기 힘들어 했다. 실제로 이후 번듯한 직업을 가지고 난 후 달라지는 사람들의 태도를 보며 '정작 지난 달의 나와 이번 달의 나는 변한게 없는데 그런 명함 하나로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이렇게 달라질 수 있나?'하고 개탄했었다. 
     
    그런데 나이를 한살 한살 먹어가고 사회생활을 해가면서 느끼는 점은 그게 아니었다. 사람은 자신의 실력에 대해 증명할 수 있어야 그것이 진정한 프로라는 것을 깨닳고 있다. 
     
    예를 들어, 학벌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혐오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명문대 나온 사람보다 나는 실력도 있고 경험도 많은데 단지 학벌때문에 밀리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그런 사람에게 그럼 그 사람들보다 나은 실력과 경험을 객관적으로 증명해보시오라고 했을 때 보여줄 것이 없다면 그것은 허풍에 불과할 것이다. 물론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명문대를 나오지 않아도 그들을 뛰어넘는 실력은 얼마든지 증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다던지, 공모전을 휩쓴다던지, 세계적인 저널에 논문을 발표한다던지, 몇백만부 팔린 책을 쓴다던지, 탁월한 사업수완으로 큰 돈을 벌었다던지 하는 그런 성과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내가 봐오던 많은 허풍쟁이들은 그런거 하나 없이 그냥 학벌주의, 성과주의만 비판하면서 이런 세상이 싫다고 한다.  
     
    이런 객관적인 지표는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기준이다. 명문대를 졸업했다는 것은 학창시절 치열한 성적 경쟁을 뚫었다는 것이고, 전문직종에 근무한다는 것은 전문자격을 얻기위한 치열한 경쟁에서 이겼다는 것을 말한다. 최소한 그걸 얻기 위해 노력한 근거도 없이 그들을 비판하는 것은 너무 무책임한 것은 아닐까. 
     
    프로는 결과로 말해야 한다. 계획이나 자신의 거짓 인맥만 가지고 자신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나는 그런 사람들을 경계하고 나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지 않아야겠다고 항상 신경쓴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말도 정제된 언어만 사용하게 된다. 20대의 나는 젊은 혈기에 뜨거웠지만 30대가 되고 나서는 점점 성숙해지고 있는 것을 느낀다. 오늘도 묵묵히 나의 길을 가는 중간에 남겨본다. 
    image
  • profile
    → Samuel Lee 저도 공유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광주 C모 대학교 후문쪽 골목길 새벽에 길을 걷다보니 간밤의 장렬한 흔적들에 비둘기들과 길고양이들만이 몰려 배고픔을 달래고 있고 이게 과연 대학가라고 할수 있나 싶더군요. 서점들은 죄다 사라지고 커피숍, PC방, 술집만 널려있습니다.
  • profile
    서광욱 박사님 의사말고 작가가 되셨어야 하하하
    안동 사는 박 대감네는 내노라하는 부자였다. 조상 대대로 물려내려오는 문전옥답이 수 만평에, 일년 농사로 거두어드리는 쌀만 천섬이 넘었다... 일제 강점기말엽에 박대감이 상처하시고 홀로 되시더니, 도박에 빠져 재산을 탕진하시고 급기야 집한 채 달랑 남게 되었다... 박 대감은 한 달에 두,세번, 전문 도박단을 집으로 불러들여, 하룻밤을 꼬박새워 놀음을 하신다...첨에는 돈을 따시는 듯하시다가도, 결국 새벽이 되면 홀라당 잃어버리고 마시는 것이다...전문 도박단을 어찌 이길 수 있으랴.....그래도 사람이 좋아서인지, 집 한채 남았는데도 허허 웃는다.....동네 사람들은 도박에 빠져 재산을 탕진한 어리석은 노인네로 기억하고 있을 즈음, 그러니까, 박 대감이 돌아가시고 수십년이 흐른 후,노인 몇 분이 박대감의 묘를 찾아 절을 올리고 가는데, 노인들 모두 독립유공자 배지를 달고 계신다...광복군 군자금으로 온 재산을 헌납하신 박대감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함이다... 
    image
  • profile
    → Samuel Lee 옛날엔 책방들도 있고 그랬는데 모두 장렬히 전사했더군요.술집들만 공짜 안주 쿠폰뿌리며 신이 나있습니다..술외에는 밥먹을 곳도 마땅히 없습니다 .
  • profile
    → Samuel Lee 흐뭇한 반전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김용환이라고. 나중에밝혀져서 훈장받으셨대요 ~
  • profile
    [영어 잘하는 비법 10] - 저맥락(Low Context) Culture와 고맥락(High Context) Culture를 비격식과 격식간의 Communication으로 보기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서로다른 문화권간에 차이가 나는 것을 보여줍니다.

    다음의 사례는 격식에 관한 비교상황입니다. 미국사람 Sam은 LA 본사에서 세계에서 모인 기업가들과 협상을 하는 상황입니다. 한국인 홍길동과 아랍인 모하메드와 협상을 하기에 앞서 미국인 Sam은 우선 자기부터 소개하기 시작합니다.

    Sam: Good afternoon everyone. I'm Samuel Smith Director of Marketing and Sales for Goodman and Smith, please call me Sam.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굳맨과 스미스사의 마켓팅과 판매이사인 사무엘 스미스입니다. 샘이라고 불러주세요.

    Gildong: Thank you very much. I'm sorry for my English. I am with the Handai Motor Corporation. I work in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Seoul office. 대단히 감사합니다. 영어를 못해서 미안합니다. 저는 한대회사의 국제부 서울사무소에서 일합니다.

    Mohammed: I come from Saudi Arabia from the Mohammed Ah family, and I'm the president of my company. I have a Ph.D. from Stanford University. If you come to Saudi Arabia, please visit our home and have dinner with us. 저는 모하메드 아가문출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왔고 내 회사의 사장입니다. 난 스탠포드대학에서 박사를 했어요. 여러분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온다면 제집에 방문해서 저녁식사를 함께하길 부탁드립니다.

    Sam: Great, please call me Sam. It's getting very warm in here. (All the Americans immediately follow Sam's advice and take off their coats. Other participants, waiting for an indication from their senior member, do not.) 대단합니다, 절 샘이라고 불러주세요. 여기가 아주 더워지기 시작했네요. (모든 미국인은 샘의충고에 따라 잽싸게 코트를 벗는다. 다른나라 참석자들은 자신들의 윗사람 눈치를 보느라고 가만히 있는다.)

    Bob: Sam, could you tell me how many of those you could produce in month? 샘, 한달에 몇개나 물품을 공급해줄수 있는지 이야기해주시겠어요?

    Sam: Two thousand, Bob. (Looks around room) Do our associates from Korea have any questions? (They nod their heads, "yes, yes", but don't say anything, so Sam continues with his presentation, assuming they do not have any questions. From the silence, Sam assumes no one does, so he thanks everyone for their time, and closes the presentation. Afterward, Sam is curious how his presentation went, so he decides to ask Mr. Gildong Hong for his opinion.) 2천개입니다, 밥. (방을 둘러본다.) 한국에서 오신 우리의 조력자분들께서는 질문없나요? (고개를 끄덕이며 예스, 예스는 하는데 다른말은 없다. 그리하야 샘은 다른 질문이 없다고 가정하고 자신의 발표를 이어간다. 침묵속에서, 샘은 질문이 없나보다하고는 발표를 들어주어 고맙다고 하고는 발표를 마쳤다. 이후 샘은 자신의 발표가 어떠했는지 궁금하여 홍길동에게 물어보기로 마음먹는다.)

    Sam: Do you think your company would have an interest in buying some of our products? 당신네 회사가 우리 물품을 좀 사는데 관심이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Gildong: Yes, yes. 예, 예.

    Sam: That's wonderful. I'm sure you'll be happy with them. Dr. Mohammed, do you think you would be interested in buying some of our items. 그거 근사합니다. 그 물품에 만족하리라 내 장담합니다. 모하메드 박사, 당신네도 우리 물품을 좀 사는데 관심이 있나요?

    Mohammed: Insha Allah (god willing), we will do a great deal of business with your company. However we have to see you in Saudi Arabia first. 인사 알라(신이시여), 우린 당신네 회사와 대단한 거래를 할겁니다. 좌우지당간에, 우덜은 당신네를 우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봐야 쓰것습니다.

    위 사례에서 한국인 홍길동은 아랍인 모하메드와 비슷하게 수직적인 위계서열의식에 따라 격식을 갖추어 대화에 참여는 합니다. 하지만, 코트하나 벗는데도 윗사람 눈치를 볼정도로 의사결정을 자신이 독단으로 내리지는 못하는데도 샘에게 나중에 실망과 불신을 줄지도 모를 예스를 남발합니다. 실제 결정권이 없는 자신의 처지를 은폐하는데 망설임이 없는 은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거지요. 이에 반해 미국인 Sam은 자유롭게 대화에 참여하지요. 실내가 더우면 격식을 따져 지위나 나이에 따라 서열순으로 코트를 벗는 한국문화권 사람과는 달리 자유스럽게 상의를 벗습니다. 아주 꺼리낌 없이 자신의 처지를 표현하는거지요.

    문화배경이 다른 주체와 소통과 거래를 하는 경우에 이런 단순한 경우 말고도 다양하고 아주 난처한 사례가 생길 겁니다. 즉 표현적 미국문화와 은폐적인 한국문화 간 차이로 인해 국제적인 영업거래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를 유발할겁니다. 앞서 살펴보았던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문서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이런 얼굴을 마주한 접촉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문화 간에 극심한 이해의 차이가 생깁니다. 일반적인 소통도 이러할진데 큰 이권이 오가는 국제비즈니스에 있어서는 상대 문화권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없다면 난리가 날수도 있겠지요.

    상대 문화권의 습성을 이해하는 길만이 갈등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거래 성사에 결정적인 관건이 된다는 말입니다.

    자 [영어 잘하는 비법 4]에서부터 시작된 Low(저) and High(고) Context(맥락) 문화에 대한 이야기는 이정도면 충분할것 같고, 영어를 잘하는 비결 11은 무엇인지 궁금하지요? 궁금하면 오백원!
    image
  • profile
    → Samuel Lee 비 추적추적 내리는 아침부터 518 다시한번 돌려보았네요 1월 아직 어린 아이들에게 민주주의를 가르치기 위해 눈길을 뚫고 광주에 다녀왔었답니다 ^^
  • profile
    → Samuel Lee 오백원 드릴께요.ㅎㅎ. 재밋게 보았습니다. 감사^^
  • profile
    → Samuel Lee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profile
    → Samuel Lee 재미있어요^-^
  • profile
    → Samuel Lee 이 선생님! 초면에 댓글 쓸가 고민하다가, 제가 연재하시는 글과 관련하여, 독일에서 공부할 때, cross culture 모듈로 공부한 적이 있어서, 평소 관심 분야여서 몇자 적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사실 회사일로 바빠서 선생님의 모든 글을 정독을 하지 못하고 있지만, 펫북에 업로드 하시는 내용은 제 펫북에도 팝업되니, 종종 속독하며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한국에 계시면, 글로 적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만나뵙고 좀 대화라도 나누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한국사람들을 글보다는 face-to-face communication를 선호하니까요^^). 오늘 쓰신글에 대한, 제 의견을 좀 적자면, Low context culture는 "격식"이라는 표현보다는 "저맥락/문맥문화"로 High context culture "고맥락/문맥문화"롤 표현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저희가 앞뒤 "맥락" “문맥”을 읽는다고 하는 것처럼요. 말씀하신것처럼, 한글은 고맥락문화의 언어에 속하며, 유교문화와 한글이라는 언어자체에 존재하는 "나이, 연장(Seniority)자 문화"와 "격식과 예의"을 따지고 존중하는 “대우법/경어법”이 매우 발달되어, 언어상의 이유로도 “상하 위계질서(Hierarchy)”를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께서 포스팅 하신 내용에는 저도 전체적으로 동의하는 편이며, 용어나 표현이 좀 혼용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어 몇 자 적었습니다. ;-)
  • profile
    → Samuel Lee 윤사현 제가 있는곳에 살레시오초 여중고에 조대여고까지 위치하고 있습니다. 환경이 좋은 편이 아니지요 하지만 별 문제 없이 학교 잘다니는 학생들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어느 대학가든 마찮가지 인가 봅니다.
  • profile
    → Samuel Lee 참 멋있는분이셨습니다! '명품'인간이셨네요. 왜 '명품'들 좋아하며 제일 가치있는 명품을 모를까요? 늘 의문입니다.
  • profile
    → Samuel Lee Jun YK Shin 선생님 감사합니다^^ 한글로 설명하다보니 제 기능이 다시 High Context 모드로 돌아와 쩍하면 짝으로 이해될까나 하여 얼렁뚱땅 넘어 갈까했더니 딱 걸렸습니다 하하하 물론 [영어 잘하는 비법 1]부터 쭉 보신분들은 Low & High Context 문화에 대하여 그 유래와 사용되게된 배경을 다 이해 하셨겠지만 중간 뚝 짤라먹고 보면 제 무식의 수준이 거시기 해질밖에는 없군요^^ 하야~ 제목을 바꾸었습니다. 선생님처럼 하나 하나 따져야 영어를 잘할수 있다는 이야기도 앞글 어디에선가 언급했답니다^^ 요즘은 미국 컴뮤니티 칼리지에서 영어교육을 위해 Low & High Context 문화이해 접근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더군요. 수준 높은 반응을 보여주셔서 뭐 딱히 드릴건 없고 Close Friend로 페이스북 친구 setting을 올려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바보 도 통할수 있도록 많은 가르침 부~탁~해요! :) (y)
  • profile
    → Samuel Lee 김용환 어른 같은 분이 많이 필요할 때같아요^^ Hyokyung Katie Kim님 정보 고마워요^^ <3 내 아가의 노래선물입니다^^ http://youtu.be/J4gVgPDmzH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