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참고: 사진의 모델은 현재 남수단에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되어 평화유지업무에 여념이 없는 간호장교 박윤정 대위님이시고 제 각시의 한~참 후배님이십니다.]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자신을 내세우며 살기도 바쁜 세상입니다. 하지만 혹시 제 프로필을 유심히 보신분이 있다면 제가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의 명예동문임을 알고 고개를 까웃둥하신 분들이 있을겁니다. 위키벡과사전에서 국군간호사관학교를 보신다면 그 학교의 역사를 알게 되실텐데요.
IMF환란당시 군구조조정으로 김대중 정부에 의해 페교되었던 학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가 군복무시절 녹화사업으로 망가진 몸으로 대구통합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으며 간호장교분들의 간호의 손길에 너무도 감사했던 기억이 있었기에 선듯 간호사관학교 부활투쟁에 나설수 있었답니다.
그리고 제가 딱 2가지 살인마 전두환에게 고마운 점이 있습니다. 그 한가지가 녹화사업 덕에 대구통합병원에 입원할수 있었고 또 그덕에 병원 성당에서 당시 간호사관생도였던 제 각시를 볼수 있었다는 겁니다. 결국 살인마 전두환 덕에 제가 제 각시를 만날수 있었던 거지요.
국군간호사관학교는 인터넷 부활투쟁을 통하여 국민들이 그 학교의 필요성을 인정하여 자동페교 3개월전에 당시 정책위의장인 이해찬 의원님과 여성부장관인 한명숙 장관님의 당정협의회를 통해 부활합니다. 그 결과 여성장교단의 숙원인 여성장군을 배출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세상의 반인 여성의 몫을 인정받아 전국구 국회의원의 홀짝수 남녀동수의 배정을 받아내어 한국의 여성정치의 선진화를 이루어 냅니다. 마초의 세상에서 여성의 바른 위치를 인정받느라고 저는 xx띄어버려리라는 야유와 남자망신 다시킨다는 조롱을 원없이 들으며 페미니스트 반열에 올랐지요.
하지만 뭐 어떻습니까? 그덕에 독재자의 딸이긴 하지만 명실상부 민주적 선거를 통해 여성 대통령도 대한민국 역사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습니까? 아무튼 그덕에 저는 국군간호사관학교의 명예로운 명예동문이 된거지요. 백과사전에 나와있는 부활 투쟁의 내용을 소개하며 국민여러분의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부탁합니다.
『<국군간호사관학교 존속투쟁>
국군간호사관학교는 1998년 IMF 경제위기 극복과 군개혁의 일환으로 김대중 정부에 의해 폐교결정이 난 이후 1999년 가을부터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어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법률 제4839호'에 의거 3년연속 신입생을 받지 못하면 자동폐교가 결정된 상태였다. 미국에서 이 소식을 접한 이상원 박사는 간호장교 출신 아내 김영신(26기)에게 선물한 사이트[44]를 중심으로 '국군간호사관학교 폐교 반대 비상대책위원회'[45]를 조직하고 폐교 반대투쟁[46]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5개월간 온·오프라인 상에서 국민들에게 존속의 당위성을 인정 받았다[47],[48]. 2001년 5월 31일, 자동 폐교 3개월을 앞두고 건국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가가 집행한 행정행위를 뒤집고, 새천년 민주당 이해찬 정책위 의장과 한명숙 여성부 장관과의 당정협의회를 통해 존속을 결정하였다[49],[50],[51],[52]. 이 사건을 계기로 대한민국 여성장교단의 숙원인 여성장군[53]을 배출하기 시작하였고,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에 대한 홀짝수 남녀동수 배정을 이끌어 내어 대한민국에 여성 정치력 향상의 결정적 발판을 만들었다. 2009년 국군간호사관학교 총동문회[54]는 이 공로를 기려 이상원 박사를 명예동문에 위촉하였다.』 -
-
→ Samuel Lee 진짜 멋지시네요 홧팅^^
-
→ Samuel Lee ♥ do a great job :)
-
→ Samuel Lee 젊음은 올바른 목적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이 아름답다.
-
→ Samuel Lee HoungJoong Kim 박사님^^ 저 사진에 있는 분은 제 각시의 까마득한 후배님입니다^^ :)
-
→ Samuel Lee 명예동문이시니 간호장교 동문회 가시면 좋으시겟습니다. 다 여자분이라서 ㅎㅎ
-
→ Samuel Lee 멋지신분...^^
-
→ Samuel Lee 와우~사모님 멋있네요~^^
박사님 행운아시네~~~ㅎ -
→ Samuel Lee 아 그러시군요! 쿨! ㅎ
-
샌프란시스코 미국정신의학과 학회에 참석하러 오신 순천양대학 정신의학과 심세훈 박사님입니다. 제 사랑하는 후배이기도 하구요^^ :) 샌프란시스코 유명한 앵커호프라는 식당에서 점심먹는중이랍니다.
-
→ Samuel Lee 심세훈 박사님의 칼럼 http://news.donga.com/3/all/20130422/54604020/1
-
→ Samuel Lee Yun Sangjin, 요즘은 남자생도들도 뽑아~ 작년부터든가...
-
→ Samuel Lee Sungsu Kim님 사진의 간호장교님들은 제 각시의 한~참 후배님들이랍니다^^ :)
-
→ Samuel Lee 강력한 국방력의 보유와 유지를 위해 해외파병의 기회는 많이 가질수록 도움이 됩니다.
-
-
→ Samuel Lee 참 잘했어요.^^
-
→ Samuel Lee 그 사건에서 감동했던것은 국가도 잘못 집행한 일에 대하여 열린 마음으로 이미 집행한 행정행위를 번벅할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 겁니다. 그런 정부라면 그 정부의 백성으로 살아 볼만 한거지요. 그 중심에 인간 이해찬과 한명숙이라는 멋들어진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
→ Samuel Lee 헉~
이런 실례를~^^지송ㅎ -
→ Samuel Lee Sungsu Kim님 괜찬습니다^^ :)
-
→ Samuel Lee 몇몇분이 고마운 분에게 살인마가 뭐냐고 그러시는데요. 저도 고마운 분에게 살인마 운운하는게 가슴이 무~척 아프답니다. 고마운건 고마운것이고 살인마는 살인마입니다. 살인마 전두환의 따땃한 금일봉을 한번이라도 받았던 분들은 살인마 전두환이 얼마나 고맙겠어요. 하지만 살인마는 죽었다 깨어나도 살인마 입니다.
-
→ Samuel Lee Dust in the wind. 제행무상. 영원한 건 없다. 두환이가 이 생에서 총재비로 무고한 시민 국민을 죽이는 저승사자에 이어 왕 이란 복락을 누리고 천수를 다하고 있지만 그 도 또한 인과의 윤회를 벗어날 수 없다 라고 봅니다. 그로 인해 자유가 민주주의가 왜 소중한지 알 수 있게 했다고 봅니다. 아 광주 여. 호남이여. 약무호남 시무국가 라 했던가.
-
→ Samuel Lee 간호사관학교는 전세계에서 대한민국만이 보유하고 있는 최정예 초급간호장교 양성 사관학교입니다. 미국, 영국등 선진국 장성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대한민국의 국군간호사관학교를 무척 부러워합니다. 사관학교가 적국의 병력을 살상하고 무력화시키기 위한 사관양성의 저급한 철학의 바탕이 포함되었다면 국군간호사관학교는 나이팅게일의 정신의 고차원적 박애정신과 인류애와 인간애를 바탕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사관교육이라는 점에서 그 어떤 나라의 사관교육자체를 초라하게 만드는 대한민국만의 멋진 사관교육기관인 것이지요. 우쓱할때가 한두번이 아니랍니다^^ :) 또 실제로 국군간호사관학교 출신들이 전역후에는 전세계 의료기관에 광범위하게 퍼져 국위를 선양하고 있기도 하구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낭자군입니다^^ :)
-
→ Samuel Lee 감사합니다
-
→ Samuel Lee 심세훈 교수... 순천향대 천안병원 교수시지요?... 저는 순천향대 서울병원에서 근무한답니다.... ^^
-
→ Samuel Lee [참고: 사진의 모델은 현재 남수단에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되어 평화유지업무에 여념이 없는 간호장교 박윤정 대위님이시고 제 각시의 한~참 후배님이십니다.]
-
→ Samuel Lee ... 제 각시님의 존영은 ....... ^^ :)
-
→ Samuel Lee ㅋㅋ 제각시님의 존영~~
-
→ Samuel Lee Enzo Um님, 제 후배(심세훈 교수) 잘 좀 봐주셔요^^ :)
-
→ Samuel Lee 제 후배는 심 인가요? 엄 인가요? ㅋㅋ
따뜻이 반겨주셔 감사합니다~ -
→ Samuel Lee 원래 서울에 있는 사람헌테 시골(천안)있는 사람을 부탁하는 법이여 하하하
-
→ Samuel Lee Samuel Lee 어이쿠.. 제가 어찌...^^;
-
→ Samuel Lee 노란장미의 사는이야기 그리고 80518 책에서 뵌 사모님 정말 미인이시구요. 팩속의 그 불멸의 연애편지 정말 멋있구요. 나의 사랑 국군간호사관학교는 너무 너무 부러웠어요.
반응형
'1. Dr. Sam Lee > 18_FaceBook_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5월22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5.22 |
---|---|
2013년 5월22일 Twitter 이야기 (0) | 2013.05.22 |
2013년 5월21일 Twitter 이야기 (0) | 2013.05.21 |
2013년 5월20일 Twitter 이야기 (0) | 2013.05.20 |
2013년 5월20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