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1. Dr. Sam Lee/15_80년5월18일

[경향 2015-05-17 사설] 5·18 정신을 그렇게도 지우고 싶은가

忍齋 黃薔 李相遠 2015. 5. 18. 04:44
반응형


1980년 5월 부상한 뒤 공수부대원들에게 사살당한 채수길씨 등의 끔찍한 사연이 오늘자 경향신문에 보도됐다. 당시 미니버스에 총격을 가해 시민 17명을 죽인 공수부대원들은 아직 살아있던 채씨 등 2명을 끌고가 ‘안락사시키자’며 사살한 뒤 시신을 암매장했다는 것이다. 은폐됐던 이 사건은 2007년에야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보고서에 담겼다. 채씨의 동생은 최근에야 ‘학살의 비밀’을 알게 됐다. 누구도 진상을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채씨의 사연은 5·18 민주화운동 35년이 지난 지금에도 미해결로 남아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채씨와 같은 억울한 사연을 간직한 피해자와 피해가족들이 남아 있는데 처벌을 받거나 혹은 최소한 용서를 구한 가해자가 얼마나 되는가. 

여전히 역사의 포폄이 무서운 이들이 있다. 얼마 전에는 북한군 600명 침투설과 같은 터무니없는 허위사실을 유포함으로써 5·18 민주화운동을 논쟁의 난장으로 끌어들여 역사평가에 ‘물타기’를 꾀하는 세력까지 나왔다. 그런 가운데 5·18 행사를 주관하는 보훈처는 여전히 5·18 정신의 무력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제35회 5·18 정부 기념식에서도 보훈처는 “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 형식으로 불러야 한다”는 5·18 단체의 요구를 거부했다. “북한의 영화 배경음악에 사용된 노래를 제창할 경우 국민통합을 저해한다”는 이유를 댔다. ‘임을 위한 행진곡’이 5·18과 민주화운동의 상징곡이라고 아무리 외쳐도 보훈처는 막무가내다. 제창은 안되고, 합창은 되는 국민통합이 어디 있냐고 줄기차게 항변해도 오불관언이다. 보훈처는 심지어 여당을 포함한 국회가 의결한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촉구 결의안’까지 2년 동안이나 무시하고 있다. 

그 결과 오늘 5·18 기념식도 정부 행사와 5·18 단체 행사 등 두 갈래로 찢어졌다. 더욱이 정부 기념식은 박근혜 대통령은 물론 공석인 총리까지 불참하는 초유의 모습을 연출하게 됐다. 과연 누가 국론의 분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인가. ‘임을 위한 행진곡’에 종북의 색깔을 입혀 5·18 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를 지우려는 것이 박 대통령이 추구하는 대통합이었나. 그러나 지우면 지울수록 더욱 선명해지는 것은 5·18 정신이다. 그것은 바로 3·15 의거, 4·19 혁명, 6월항쟁을 잇는 민주주의의 혼과 맥이기 때문이다. 더 이상 민주주의의 역사를 모독하지 마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