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2년 1월 13일 한인들이 노동 이민자로 미국의 하와이 섬에 처음 도착한 날이다. 게릭호를 타고 입항, 검역을 마치고 하와이 땅을 밟은 첫 한인들은 93명이었다. 이후 일본의 강압으로 숙원의 이민이 막혀버린 1905년까지 3년여에 걸쳐 입국한 한인 수는 65차의 선편으로 들어온 6.965명 이었다. 이들은 하와이의 여러 농장으로 나뉘어 뜨거운 뙤약 볕에서 고달픈 농장 노동 이민생활을 시작했다. 응당 기억할 이 날 재미동포들은 2003년 1월 13일을 전후하여 이민 100주년을 대대적으로 기념했고 미국 정부도 합께 축하해 주었다. 당연하고 경하할 일이었다.
또 하나는 1883년 9월 2일 한미수호조약과 미국의 푸트 주한미국전권공사를 한국에 파송한 답례로서, 고종이 민영익을 대표로 하는 보빙사절단을 보내어 이들이 미국의 본토 서부 관문인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날이다. 아라빅호를 타고 온 대표 민영익과 전권부대사 홍영식, 종사관 서광범, 수원 유길준, 변 수, 최경석, 고영철, 현홍택 등 8명과 2명의 외국인 고문 로우웰, 통역 우리탕 등이 도착하던 날, 미 국무장관 프렐링하이젠은 재무장관에게 사절들을 일급 외국공사의 예우로 무관세통관토록 부탁하였고 항만청엔 미 육군소장 스코필드 장군등이 나와 영접했다. 그리고 미 주요 언론들은 한인사절에 큰 관심을 가지고 보도하며, 아더 대통력과 미 정계 재계 인사들은 정중하게 환영했다.
아마 이들이 다 귀국했다면 한국정부 사절의 미국방문 정도로 기억될일이었다. 그러나 뜻이 있어 한국사절의 대표 민영익의 배려와 미국정부의 인준 협조로 사절의 한 젊은 수행원 유길준이 남아 유학하게 되었다. 이어 1885년엔 갑신정변의 주역들이 미국으로 망명하여 왔다가 서재필과 서광범은 미국에서 공부하며 정착하게 되었다. 1885년 이후에도 계속하여 이계필, 변수, 윤치호, 박에스더 유학생들과 박정양 공사 일행, 1890년대엔 박희병, 임병구, 이희열, 안정식, 김헌식, 이볌수, 여병현, 이하영, 백상슈, 안창호, 하란사, 김규식, 의친왕 이강. 신성구, 이대위, 1900년대 초반엔 윤병구, 신흥우, 이승만, 박용만, 민찬호, 정한경, 유일한, 박일규, 림두와, 리원익, 강영송, 강영애, 하의식, 송헌주, 임정구, 양주삼 등 한국의 애국애족적인 망명 정치인들과 유학생들이 미국에 입국하여 유학하거나 정착하며 반일구국운동을 펼치며 또한 이 보다 더 많은 상인 약재상 노동자들이 미국에 입국하여 정착하고 활동했다.
바로 이런 1883년 이후의 유학 망명 정치가 등의 선각적인 민족의 지도자들과 1903년의 이민자들이 합류하게 되었기에 재미한인사회는 한측 더 힘있는 동포사회를 이룩하게 되었기에, 이 두 날은 국내외의 한민족에게 잊을 수 없는 날들이 된것이다. 그러나 재미사회가 이민 100년만을 기억하는 동한 그 이전 20여년의 민족 선각자들의 역사를 망각하게 되었기에 이제부터라고 우리 선각자들의 정신과 역사를 되찾고 이를 후손과 미국인들에게도 알리는 것은 마땅한 도리라 믿기에, 2008년 9월 2일을 125주년 재미한인의 날로 기리려 한다.
‘재미한인의 날’에 대한 역사적 증언과 선언문
우리 ‘재미한인의 날’선언은 제안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사실과 이야기에 대한 역사적 증언이며, 후손된 재미한인들이 이를 기억하고 축하하며 더 나은 재미한인사회로 발전하는 귀한 계기로 삼자는 결의이다.
1)금년 9월 2일은 125년 전인 1883년 9월 2일 민영익을 대표로 하고 최초 유학생이 된 유길준과 홍영식 서광범 변수 최경석 고영철 현흥택 등의 보빙사절 8명이 샌프란시스코를 통해 미국 대륙을 처음 밟은 날이다. 외세를 막으려던 고종은 미국과의 외교를 돈독히 하며 발달한 서구문명을 배워 오기를 원했다. 미국 정부와 언론들은 사절들에게 깊은 관심을 보이며 열렬히 환영했고 뉴욕탐임스도 십수차나 사절과 한국에 관한 폭 넓은 기사를 게재했다.
2)뜻이 있어 민영익은 총명한 유길준을 유학생으로 남겨 1883년부터 관비장학생으로 공부하게 했고 한국의 정변으로 1884년 12월 말 부득이 귀국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길준은 미국과 서구문명을 소개하는 ‘서유견문’을 를 출판하여 한국인 청장년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3)그를 이어 1885년에는 박영효 서재필 서광범 등이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하여 왔다. 박영효는 곧 일본으로 돌아갔으나 서재필과 서광범은 미국에서 유학 정착하며 마침내 미국 시민권자 1,2호가 되었다. 서재필은 재미한인의 귀감이 되는 애국애족적인 생을 살았고, 서광범은 1891년 미국 정부 간행물에 한국을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조선 교육론 Education in Korea” 이라는 귀중한 영문논문를 발표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4)1885년 이후부터는 박정양 공사와 변수 윤치호 박에스더 등의 많은 한국의 애국적인 유학생들이 미국에 몰려오기 시작했다. 1890년대에는 박희병 임병규 김한식 백상규 안창호 하난사 김규식 의친왕 리강 공, 신성구 이대위 등과, 1900년대 초반엔 윤병구 신흥우 이승만 박용만 민찬호 정한경 유일한 양주삼 외 수십명의 한국의 애국청년 학생들이 미국으로 망명 유학하며 이들 선각자들은 미국에서 구국운동을 전개했다. 이들 외에도 샌프란시스코를 통해 대륙에 들어온 약재상 인삼상 상인 등도 200여명이나 되었으며 이들은 인종차별이 심한 미국에서 생존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 했다.
5)특히 서재필의 미국인들과 더불어 전개한 독립운동. 불화음이 있었으나 이승만의 외교를 통한 구국운동, 안창호의 국민회의와 교육 생활개선을 통한 민족운동, 박용만의 재미 사관학교라 할 ‘소년병학교’를 통한 군사적 반일운동, 기독교회와 민중운동을 통한 이대위의 구국애족운동 등은 초기 재미한인 선각자들의 눈부신 구국운동들이었다. 여러 해 뒤 귀국했으나 재미 시절 미국 교계나 기독자들, 재미동포들과 더불어 구국운동을 전개한 윤치호나 김규식 신흥우 등의 활동은 다 잊을 수 없는 것들이었다.
6)바로 이런 유학 망명의 선각자들이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농장에 정규 이민자로 도착한 8,000 여명과 합류하게 되었기에 이는 재미한인사회가 도약하는 귀한 계기가 되었다. 하와이의 ‘한인기독교회보 Korean Christian Advocate’의 주필 윤병구 목사를 대표로 하고 미국 정치의 심장부 워싱턴 DC 에서 정치학을 공부하던 이승만을 통역으로 하여 1905년 8월 4일 새가모어힐의 사저에 머물던 루스벨트 대통령을 만나 일본의 한국 침략과 한일합방 저지를 도와달라는 정치적 활동은 재미선각자들과 하와이 노동 이민자들의 첫번 째 합작의 사건이었다. 1965년의 혁명적인 새 이민법으로 대량의 한인들이 미국으로 이민하여 오면서 오늘의 재미한인사회를 이룩한 것이다. 따라서 9월 2일과 1월 13일은 재미동포들이 기억할 중대한 두 날이나 이민 백주년만 기념되고, 1883년 9월 2일 이후의 재미한인들의 초창기 역사에 대해선 잘 알려지지 않고 아직껏 잊혀진 상태다.
이에 2008년 9월 2일 재미한인의 날 125주년을 처음으로 기념하는 우리는
다음과 같이 다짐하며 선언한다.
1) 먼저 1883년 이후 우리 초기 재미한인 선조들의 정신과 역사를 바로 기념하지 못하고, 후손들이 125년 동안 이를 망각했던 못남을 자인하며 사죄한다. 이에 2008년 9월 2일 재미한인들은 처음으로 이 땅의 선구적인 조상들을 기념하며 역사적인 이날을 ‘재미한인의 날’로 선언하며 국내외 7천만 겨레와 온누리에 선포한다. 우리 선각자들의 정신과 역사를 밝히고 후대에 알리며, 재미사회 발전의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
2) 우리 후손된 재미한인들은 새삼스럽게 역사의식의 소중함을 느끼며, 훌륭한 선조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오늘은 지나온 날을 돌아보고 나아 갈 내일을 바라보는 날이다. 열려진 새 세기는 세련된 재미한인사회와 새로운 한국, 변화된 미국과 새누리를 요청하고 있다. 우리는 더 이상 미국 사회의 유약한 변두리인으로 살기를 거부하고, 이제 미 주류사회에 참여하는 당당한 코리언-어메리칸으로 살기를 새롭게 결의한다. 땀과 눈물로 오늘을 이룬 선구자들의 족적을 기리며 긍지를 가지고 내일을 향해 전진하려 한다.
3) 더욱이 분단된 한반도와 난국에 처한 미국, 하나 뿐인 지구와 온누리가 어느 때보다 더 다국적 기업과 강대국들의 전쟁과 테러의 죽이는 세력에 신음하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고난의 여왕’이라 불리는 한민족의 후예인 재미한인들은, 역경에서 얻은 예지와 용기로서 이를 능히 대응하며 새 희망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결코 자신들의 안위와 복리만이 아니라 한반도의 통일, 변화된 미국, 정의 평화 창조보전과 모든 생명을 살리는 상생의 새누리를 위한 씨알들이 되기를 다짐하며 선언한다.
2008년 9월 2일
125주년 ‘재미한인의 날’ 기념행사와 포럼 참석자 일동
===============================================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American Day”
This Proclamation of the “Korean-American Day” is a celebration of the historical witnes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nd a resolve of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to contribute to its future progress.
1) 125 years ago on Sept. 2, 1883, the first Korean delegation to the United States led by Minister Min Young-Ik landed in San Francisco. The eight-man embassy included the first “foreign student” Yu Kil-Jun, Hong Young-Sik, Soh Kwang-Bom, Pyun Soo, Choi Kyung-Sok, Koh Young-Chol and Hyon Heung-Taik. In sending this embassy, King Kojong wished to strengthen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embrace advanced Western civilization in order to defend against foreign interference in Korea. The American government and media displayed deep interest in this embassy and welcomed them. The New York Times carried over ten articles about the embassy and Korea.
2) Given the purpose of the embassy, Minister Min allowed Yu Kil-Chun to remain in the United States as a student on government scholarship from 1883 to December 1884 when the latter had to return to Korea with the Coup d’Etat of 1884. However, his book, “Soyu kyonmun” (Observations on a Journey to the West) had great influence on Korean youth and adults with its positive introduc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culture.
3) In 1885, after the failure of the Coup d’Etat of 1884, Park Young-hyo, Soh Jae-Pil, Soh Kwang-Pom and others fled to the United States by the way of Japan. While Park Young-hyo soon went back to Japan, Soh Jae-Pil and Soh Kwang-Pom settled in the US as students and later became the first two American citizens of Korean descent. Soh Jae-Pil lived an exemplary life as a Korean patriot, while Soh Kwang-Pom wrote an article in English titled “Education in Korea” for an American government publication which provided a comprehensive overview of Korean life.
4) After 1885, many patriotic students came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Park Chung-Yang, Kong Sa-Wa, Pyong Soo, Yun Chiho, Park Esther and others. During the 1890s, other students joined them: Park Hee-Pyong, Lim Pyong-Kyu, Ahn Changho, Ha Nan-Sa, Kim Kyu-Sik, His Excellency King Uichin Li Kang, Shin Song-Ku, Yi Dai-Ui, etc. In early 1900, tens of patriotic youths sought asylum in the US as students and carried out Korea liberation movement from the United States: Yun Pyong-Ku, Shin Heung-U, Syngman Rhee, Park Yong-Man, Min Chan-Ho, Chung Han-Kyung, Yu Il-Han and Yang Ju-Sam. Besides these, there were over 200 merchants selling oriental medicine and ginseng who entered the continental US through San Francisco. They began to settle down in the United States, which at that time strongly discriminated against Asians.
5) In particular, many creative and effective forms of Kore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Soh Chae-Pil’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ncluded American citizens in its activities; Syngman Rhee’s at times conflicted independence work through diplomatic channels; Ahn Changho’s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ungminhoe) that emphasized education and self-improvement; Park Yong-Man’s anti-Japanese military training institute called “Youth Military School” (Sonyonpyong Hakkyo), and Yi Dai-Ui’s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rough Christian churches and Minjung activities. In addition, Yun Chiho, Kim Kyu-Sik, Shin Heung-U and others worked alongside the Korean community in the U.S. for national liberation before they returned to Korea.
6) When 8,000 immigrants landed in Hawaii to work on its sugar cane plantations on January 13, 1903, they joined forces with these early patriots and foreign students to develop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These two groups also worked together for Korean independence and liberation. The first of their cooperative political actions took place on August 4, 1905, when a delegation led by the editor of “Korean Christian Advocate” the Rev. Yun Pyong-Ku met with President Theodore Roosevelt who was resting at his home in Sagamore Hill (Oyster Bay, Long Island, NY). Syngman Rhee who at that time was studying political science in Washington DC served as the interpreter for the delegation which pleaded with Roosevelt to stop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oppose the 1905 Protectorate Treaty. Since then, the new immigration law of 1965 opened the doors for a massive movement of Koreans to the United States, creating a vibrant Korean-American community. Thus, September 2nd and January 13th are important dates for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While the centennial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S was celebrated in 2003, many people do not know about Sept. 2, 1883, when the first Koreans stepped on American soil.
Thus, we are gathered here today on Sept. 2, 2008, to commemorate the 125th anniversary of the arrival of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On this Korean-American Day, we gather to remember and to proclaim our resolve.
1) First, we confess that we have not rightly honored the memory, history and legacy of the first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past 125 years. So today Sept 2, 2008, we call to remembrance the earliest Korean pioneers in the United States and proclaim this day as “The Korean-American Day” to 70 million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We declare that we will remember their thought, action and history; teach them to our children; and do our part for the progress of the Korean American society.
2) As their descendants,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is proud of our pioneers and their heritage. Today, we look back to our past and look forward to a brighter tomorrow. The 21st century is calling on us all to work for a more mature Korean-American community, a new Korea, and a transformed United States and world. We will no longer consider ourselves to be marginal people in the American society; rather, we proclaim that we will contribute to the American society as proud Korean-Americans. Our pioneering ancestors have given us a proud legacy made through their sweat and tears. We will go forward, remembering and building on this invaluable legacy.
3) Moreover, Korea still remains divided, the United States faces challenges on many fronts, and the world’s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conflict between nations and their corporations as well as from deadly terrorists. As descendants of a people once known as “The Queen of Suffering,” we Korean-Americans can speak words of hope to our world. Out of the wisdom and courage that we have earned through our distress and ordeal, we declare that we will become the seed which will foster not only our own safety and prosperity, but also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ransform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so that justice, peace, the integrity of creation and bringing mutually all lives to life may become a reality in our time.
Sept. 2, 2008
The participants of the 125th Commemoration of “The Korean-American Day”
'2. Humanities > 22_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교회서 목회중심 민족운동 전개한 신흥우 (0) | 2023.06.20 |
---|---|
초기 유학생들의 목회와 이승만 이대위 (0) | 2023.06.20 |
<제6장> 1886년 이후 재미한인의 잡다한 양상 (0) | 2023.06.20 |
개화기 선각자 尹致昊의 영문일기〈2〉중인들이 쓰는 갓 쓰고 차관 임명장 받은 윤치호 (0) | 2023.06.20 |
개화기 선각자 尹致昊의 영문일기〈1〉“썩어빠진 조선사회에 넌더리가 난다”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