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g fish in a little pond [한국이라는 우물 안 개구락지들에게] . '우물 안 개구락지'는 고사성어로는 후한서(後漢書)에 마원(馬援)이 촉(蜀)나라 자칭 황제(皇帝) 공손술(公孫述)을 보고 '정저와(井底蛙)'라 했던 데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속담으로는 'A big fish in a little pond (작은 .. 1. Dr. Sam Lee/10_영어잘하는비법 2019.02.22
정저와(井底蛙) 이서윤 박사께서 '한국국민 자신이 어찌사는지 모른다'는 댓글에 '정저와'를 다셨습니다. 함께 배워 볼까요?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지요..이 이야기는 후한서(後漢書)에서 나와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왕망(王莽)이 .. 1. Dr. Sam Lee/12_Biography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