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 잡다한 지식저장창고
http://blog.naver.com/ssaengkal/40038070120
출처-- 내머리+네이버 지식인들의 글 정리
1.일단 기자실이란 무엇인가??
기자실이란 기자들이 기사를 쓰는 곳이 아닙니다!!!
기자 자신들의 편의시설입니다. 기자실에는 기사를 송고할 수 있도록 책상들과 취침이 가능한 시설까지도 있으며 그 안에 있는 모든 시설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용됩니다. 심지어 냉장 시설에 음식까지 있는 곳도 있습니다. 기자 자신의 의문점을 해소하기위해 시간에 상관없이 공무원을 불러, 기자실에서 면담하는 것이 다반사였고(공무원들을 취재할 수 있는 기자들의 요구는 그들에게 분명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시간 때우기나 쉬어가는 곳으로도 활용을 많이 했습니다.
2.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들.
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은 당연히 기자이지만 모든 기자들이 기자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후발 언론의 기자가 기자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들(물론 조선, 동아, 중앙 등의 유력지들의 기자들)의 허가를 받아야만합니다. 여기서 기존 언론의 독점권이 많이들 행사됩니다. 기자실을 상용 가능한 상주기자들이 있는 기자들에게만 브리핑이 허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론의 자유를 부르짖으면서 취재의 자유는???????
-현직 지방 언론사 기자 증언
사례 1
지난 4월, 서울시 경찰청 기자실은 투표를 통해 <매일경제>의 기자단 가입을 부결했다. 그동안 서울 경찰청 기자실은 가입조건으로 5개 이상의 경찰서에 기자가 상주하며, 1년 이상 상주상태가 유지할 것을 내걸었고, <매일경제>는 이를 지켰지만, 끝내 거부된 것이다. 이 사건은 한국기자협회 차원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지만, 며칠 뒤 <매일경제>의 서울 경찰청 기자실 가입은 다시 한번 부결됐다. 당시 서울경찰청 기자실 주변에서는 '매일경제가 기자단에 가입하면 정보를 빼내 광고 장사를 할 것'이라는 음해성 소문이 돌았고, 표결이 부결된 직후에는 "경찰 기자로서 자질이 모자랐기 때문에 부결됐다"는 식의 설명들이 흘러나왔다.
사례 2
부산시청 기자실은 부산 <불교방송>을 비롯해 <평화방송>, <교통방송>은 물론 <매일경제>와 <한국경제>, <서울 경제>, <파이낸셜 타임즈> 등 모두 13개 회사에 출입을 막고 있다.
가입을 막는 이유는 기자실 공간 부족. 현재 부산시청 기자실은 '중앙지 기자실'과 '지방지 기자실'로 나뉘어져 있는데, 대략 17개 회사가 사용하고 있다. 면적은 50여평이 넘는데, 칸막이가 된 널찍한 책상이 배정돼 있고, 지방지인 P일보와 K일보, 모 통신사는 2개의 책상을 사용하고 있다. 지방지 한쪽 벽면은 탁자와 함께 모니터와 프린터, 화분이 놓여져 있고, 또 한쪽 구석에는 사용하지 않는 책상이 파티션이 쳐진 채 놓여져 있다. 아무리 후하게 공간을 준다고 해도, 이 정도 공간이면 '공간이 없어서' 기자실 출입을 막는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사례 3
부산시청 기자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부산시청 공무원 H씨는 1년전 기자실 소파에 앉아 있는 한 기자에게 기자실에서 나가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다른 기자들이 싫어하시니 나가달라"라고 말했다. 기자단 명단에 포함돼 있지 않다는 이유였다. 또 한번은 기자단에 포함돼 있지 않는 기자가 "브리핑 시간을 알려주고, 보도자료도 보내달라"고 요구하자 "전에 그렇게 했다가, 기자단 소속 기자들에게 야단 맞았다"며 그 기자의 요구를 거절했다.
3. 세계 각국의 기자실현황
OECD가입국 22개국 중에 기자실이 있는 곳은 우리나라를 포함 4개국입니다. 미국, 일본, 이탈리아 ,한국입니다. 하지만 이들 언론의 자유 순위는 상위권이 아닙니다. 상위 30위안에 드는 나라에서는 기자실이란 존재가 아예 없습니다. 오직 “프레스룸”이라고 하는 브리핑룸만 있을 뿐입니다. 미국은 언론정치로 유명하며, 일본은 폐쇄언론으로 유명하고, 이탈리아도 역시 정치와 언론의 투명성은 낮습니다. 기자실은 언론의 자유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기자들이 무료로 이용하는 편익시설일 뿐입니다.
- 국경없는 기자회(RSF)가 해마다 선정하고 있는 언론자유 순위 -
N° Country (국가) Score (점수/낮을수록 자유보장)
1 Finland 0,50 (기자실 없음)
- Iceland 0,50 (기자실 없음)
- Ireland 0,50 (기자실 없음)
- Netherlands 0,50 (기자실 없음)
5 Czech Republic 0,75 (기자실 없음)
6 Estonia 2,00 (기자실 없음)
- Norway 2,00 (기자실 없음)
8 Slovakia 2,50 (기자실 없음)
- Switzerland 2,50 (기자실 없음)
10 Hungary 3,00 -
- Latvia 3,00 -
- Portugal 3,00 (기자실 없음)
- Slovenia 3,00 (기자실 없음)
14 Belgium 4,00 (기자실 없음)
- Sweden 4,00 (기자실 없음)
16 Austria 4,50 (기자실 없음)
- Bolivia 4,50 -
- Canada 4,50 (기자실 없음)
19 Bosnia and Herzegovina 5,00 (기자실 없음)
- Denmark 5,00 (기자실 없음)
- New-Zealand 5,00 (기자실 없음)
- Trinidad and Tobago 5,00 (기자실 없음)
23 Benin 5,50 -
- Germany 5,50 (기자실 없음)
- Jamaica 5,50 (기자실 없음)
26 Namibia 6,00 (기자실 없음)
27 Lithuania 6,50 (기자실 없음)
- United Kingdom 6,50 (기자실 없음)
29 Costa Rica 6,67 -
30 Cyprus 7,50 -
31 South Korea 7,75 (기자실 없음!)
32 Greece 8,00 (기자실 없음)
- Mauritius 8,00 -
34 Ghana 8,50 -
35 Australia 9,00 (기자실 없음)
- Bulgaria 9,00 -
- France 9,00 (기자실 없음)
- Mali 9,00 -
39 Panama 9,50 -
40 Italy 9,90 (기자실 있음)
41 El Salvador 10,00 -
- Spain 10,00 (기자실 없음)
43 Taiwan 10,50 -
44 South Africa 11,25 -
45 Cape Verde 11,50 -
- Macedonia 11,50 (기자실 없음)
- Mozambique 11,50 (기자실 없음)
- Serbia and Montenegro 11,50 (기자실 없음)
49 Chile 11,63 -
50 Israel 12,00 -
51 Japan 12,50 (기자실 있음)
52 Dominican Republic 12,75 -
53 United States of America 13,00 (기자실 있음)
- Croatia 13,00 -
- Tonga 13,00 -
- Botswana 13,00 -
4. 공무원의 면담 제한.
세계 그 어느 선진국에서도(일본은 경제만 선진국일 뿐 정치, 언론은 후진국이므로 제외) 공무원을 언제나 상시면담 가능한 곳은 단 한군데도 없습니다. 물론 이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취하고 있던 공무원의 상시면담가능부분에서는 장점도 있습니다. 기자들이 좀더 쉽게 정책의 요소요소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부패, 비리 등은 대부분이 익명의 제보에 의해 밝혀지기 때문에 공무원면담과는 직접적 관련이 적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점입니다.
정책추진과정이 도중에 오용될 가능성으로 이부분에서 정부정책에 관한 정보들이니 상당한 비리들이 발생 가능합니다. (예를 들자면 신도시 개발에 관한 정책을 알아낸 기자가 복부인들에게 그 정보를 판다면???) 그리고 당연히 정책의 추진진행속도를 늦추며 업무 방해적인 측면이 상당히 강합니다.
이번 기자실 통폐합은 노무현 참여정부의 일관된 개혁의 연장선입니다. 거대한 기득권세력, 특권 세력인 언론을 견제하자는 것입니다. 한나라당이 이 사건에 대해 기자들과 뜻을 같이 하는 이유는 둘 다 함께 대한민국에 군림해온 기득권세력이기 때문입니다.
주요 신문사의 기자세력과 한나라당의 권언유착에 대해 예를 들어봅니다. 대선후보로 50%의 지지를 받고 계신 전 서울시장인 모 후보는, 서울시장 재직 당시 미국 방문할 때 우리나라 신문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신문사 기자 9명을 '홍보단'으로 이끌고 나가 많은 질타를 받았었습니다. 기자 1인당 400만원이라는 서울시민 세금을 사용해야 했다네요.
http://news.media.daum.net/snews/society/affair/200603/24/segye/v12148185.html
얼마 후 나란히 이해찬 전 총리의 골프사건과 이 모 후보의 황제테니스 사건이 터졌을 때, 이해찬 총리 3.1절 골프 관련 비판 기사 113건/ 만평 24건, 이 모 후보 황제 테니스 관련 기사 27건, 만평 7건. 결국 이 전 총리는 사퇴했고, 이 모 후보는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해외여행 때문이라고 딱잘라 말하긴 힘들지만 위의 수치는 분명히 의도가 있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언론에서 가장 반발하는 부분은 기자실통폐합이고, 언론자유를 탄압한다는 것은 부처 사무실 무단출입금지입니다. 기자실통폐합이야 사실 자기들이 별 할 말 없습니다. 기자실이 없어지면 죽치고 앉아있는 기자들이 없어지고, 그 시간에 발품 팔아 좋은 기사 만들어야하니 언론의 질이 향상될 것입니다.
사무실 무단출입금지는 이건 아주 상식적인 것입니다. 조직이 존재하고 있는 곳에 조직원이 아닌 사람이 맘대로 출입 가능하다는 게 말이 될 일이 없습니다. 선진국 어느 나라도 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하여 부처 사무실 무단출입을 허용하고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지금까지는 기자들이 자기 마음대로 정부부처에 들어가서 일하는 공무원 불러내 취재하고 함께 쉬는 시간을 가짐으로 인맥을 형성하는 등등 특별한 권한이 있었는데 이제 그 특권이 사라지게 되니까 국민들의 의견과 다르게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언론탄압 소리 밖에 하지 않는 것입니다.
실제로 기자실 통폐합이 알려졌을 때 신문 및 방송에서 언론침해다 유린이다 말이 많았는데 언론보도가 실제 여론과 다르다는 것은 아래의 수치로 알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22일부터 실시 중인 뉴스폴에서 네티즌 62.05%는 “취재시스템 개선”을 이유로 기자실 통폐합을 ‘찬성’했고 36.52%는 기자실 통폐합은 “국민의 알 권리 침해”라며 ‘반대’ 의견을 밝혔다. 야후 코리아 뉴스폴의 결과는 찬성 의견이 압도적이다. 야후 코리아의 누리꾼들은 ‘기자실 통폐합’에 ‘찬성’의견 72.5%, ‘반대’의견 27.5%의 입장을 나타냈다. 포털 사이트들의 뉴스 폴은 표본오차와 신뢰수준은 없다.
간단히 생각하더라도 선진국에서는 무단출입 안 되는데 그것이 모두 언론탄압, 언론유린일까요? 기자실 폐쇄가 언론탄압, 언론유린이라면, 단지 규모가 작다고, 혹은 기존의 언론 매체와 다른 형식의 매체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다른 기자들의 기자실 출입을 막는 기자들은 비주류 기자들에 대한 언론탄압, 언론유린 아닙니까?
만약, 그래도 '기자실 폐쇄'를 '언론탄압, 유린'이라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수구 보수 기득권세력의 제 밥그릇 싸매는 일이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http://blog.naver.com/ssaengkal/40038070120
출처-- 내머리+네이버 지식인들의 글 정리
1.일단 기자실이란 무엇인가??
기자실이란 기자들이 기사를 쓰는 곳이 아닙니다!!!
기자 자신들의 편의시설입니다. 기자실에는 기사를 송고할 수 있도록 책상들과 취침이 가능한 시설까지도 있으며 그 안에 있는 모든 시설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용됩니다. 심지어 냉장 시설에 음식까지 있는 곳도 있습니다. 기자 자신의 의문점을 해소하기위해 시간에 상관없이 공무원을 불러, 기자실에서 면담하는 것이 다반사였고(공무원들을 취재할 수 있는 기자들의 요구는 그들에게 분명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시간 때우기나 쉬어가는 곳으로도 활용을 많이 했습니다.
2.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들.
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은 당연히 기자이지만 모든 기자들이 기자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후발 언론의 기자가 기자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자실을 사용하는 사람들(물론 조선, 동아, 중앙 등의 유력지들의 기자들)의 허가를 받아야만합니다. 여기서 기존 언론의 독점권이 많이들 행사됩니다. 기자실을 상용 가능한 상주기자들이 있는 기자들에게만 브리핑이 허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론의 자유를 부르짖으면서 취재의 자유는???????
-현직 지방 언론사 기자 증언
사례 1
지난 4월, 서울시 경찰청 기자실은 투표를 통해 <매일경제>의 기자단 가입을 부결했다. 그동안 서울 경찰청 기자실은 가입조건으로 5개 이상의 경찰서에 기자가 상주하며, 1년 이상 상주상태가 유지할 것을 내걸었고, <매일경제>는 이를 지켰지만, 끝내 거부된 것이다. 이 사건은 한국기자협회 차원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지만, 며칠 뒤 <매일경제>의 서울 경찰청 기자실 가입은 다시 한번 부결됐다. 당시 서울경찰청 기자실 주변에서는 '매일경제가 기자단에 가입하면 정보를 빼내 광고 장사를 할 것'이라는 음해성 소문이 돌았고, 표결이 부결된 직후에는 "경찰 기자로서 자질이 모자랐기 때문에 부결됐다"는 식의 설명들이 흘러나왔다.
사례 2
부산시청 기자실은 부산 <불교방송>을 비롯해 <평화방송>, <교통방송>은 물론 <매일경제>와 <한국경제>, <서울 경제>, <파이낸셜 타임즈> 등 모두 13개 회사에 출입을 막고 있다.
가입을 막는 이유는 기자실 공간 부족. 현재 부산시청 기자실은 '중앙지 기자실'과 '지방지 기자실'로 나뉘어져 있는데, 대략 17개 회사가 사용하고 있다. 면적은 50여평이 넘는데, 칸막이가 된 널찍한 책상이 배정돼 있고, 지방지인 P일보와 K일보, 모 통신사는 2개의 책상을 사용하고 있다. 지방지 한쪽 벽면은 탁자와 함께 모니터와 프린터, 화분이 놓여져 있고, 또 한쪽 구석에는 사용하지 않는 책상이 파티션이 쳐진 채 놓여져 있다. 아무리 후하게 공간을 준다고 해도, 이 정도 공간이면 '공간이 없어서' 기자실 출입을 막는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사례 3
부산시청 기자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부산시청 공무원 H씨는 1년전 기자실 소파에 앉아 있는 한 기자에게 기자실에서 나가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다른 기자들이 싫어하시니 나가달라"라고 말했다. 기자단 명단에 포함돼 있지 않다는 이유였다. 또 한번은 기자단에 포함돼 있지 않는 기자가 "브리핑 시간을 알려주고, 보도자료도 보내달라"고 요구하자 "전에 그렇게 했다가, 기자단 소속 기자들에게 야단 맞았다"며 그 기자의 요구를 거절했다.
3. 세계 각국의 기자실현황
OECD가입국 22개국 중에 기자실이 있는 곳은 우리나라를 포함 4개국입니다. 미국, 일본, 이탈리아 ,한국입니다. 하지만 이들 언론의 자유 순위는 상위권이 아닙니다. 상위 30위안에 드는 나라에서는 기자실이란 존재가 아예 없습니다. 오직 “프레스룸”이라고 하는 브리핑룸만 있을 뿐입니다. 미국은 언론정치로 유명하며, 일본은 폐쇄언론으로 유명하고, 이탈리아도 역시 정치와 언론의 투명성은 낮습니다. 기자실은 언론의 자유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기자들이 무료로 이용하는 편익시설일 뿐입니다.
- 국경없는 기자회(RSF)가 해마다 선정하고 있는 언론자유 순위 -
N° Country (국가) Score (점수/낮을수록 자유보장)
1 Finland 0,50 (기자실 없음)
- Iceland 0,50 (기자실 없음)
- Ireland 0,50 (기자실 없음)
- Netherlands 0,50 (기자실 없음)
5 Czech Republic 0,75 (기자실 없음)
6 Estonia 2,00 (기자실 없음)
- Norway 2,00 (기자실 없음)
8 Slovakia 2,50 (기자실 없음)
- Switzerland 2,50 (기자실 없음)
10 Hungary 3,00 -
- Latvia 3,00 -
- Portugal 3,00 (기자실 없음)
- Slovenia 3,00 (기자실 없음)
14 Belgium 4,00 (기자실 없음)
- Sweden 4,00 (기자실 없음)
16 Austria 4,50 (기자실 없음)
- Bolivia 4,50 -
- Canada 4,50 (기자실 없음)
19 Bosnia and Herzegovina 5,00 (기자실 없음)
- Denmark 5,00 (기자실 없음)
- New-Zealand 5,00 (기자실 없음)
- Trinidad and Tobago 5,00 (기자실 없음)
23 Benin 5,50 -
- Germany 5,50 (기자실 없음)
- Jamaica 5,50 (기자실 없음)
26 Namibia 6,00 (기자실 없음)
27 Lithuania 6,50 (기자실 없음)
- United Kingdom 6,50 (기자실 없음)
29 Costa Rica 6,67 -
30 Cyprus 7,50 -
31 South Korea 7,75 (기자실 없음!)
32 Greece 8,00 (기자실 없음)
- Mauritius 8,00 -
34 Ghana 8,50 -
35 Australia 9,00 (기자실 없음)
- Bulgaria 9,00 -
- France 9,00 (기자실 없음)
- Mali 9,00 -
39 Panama 9,50 -
40 Italy 9,90 (기자실 있음)
41 El Salvador 10,00 -
- Spain 10,00 (기자실 없음)
43 Taiwan 10,50 -
44 South Africa 11,25 -
45 Cape Verde 11,50 -
- Macedonia 11,50 (기자실 없음)
- Mozambique 11,50 (기자실 없음)
- Serbia and Montenegro 11,50 (기자실 없음)
49 Chile 11,63 -
50 Israel 12,00 -
51 Japan 12,50 (기자실 있음)
52 Dominican Republic 12,75 -
53 United States of America 13,00 (기자실 있음)
- Croatia 13,00 -
- Tonga 13,00 -
- Botswana 13,00 -
4. 공무원의 면담 제한.
세계 그 어느 선진국에서도(일본은 경제만 선진국일 뿐 정치, 언론은 후진국이므로 제외) 공무원을 언제나 상시면담 가능한 곳은 단 한군데도 없습니다. 물론 이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취하고 있던 공무원의 상시면담가능부분에서는 장점도 있습니다. 기자들이 좀더 쉽게 정책의 요소요소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부패, 비리 등은 대부분이 익명의 제보에 의해 밝혀지기 때문에 공무원면담과는 직접적 관련이 적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점입니다.
정책추진과정이 도중에 오용될 가능성으로 이부분에서 정부정책에 관한 정보들이니 상당한 비리들이 발생 가능합니다. (예를 들자면 신도시 개발에 관한 정책을 알아낸 기자가 복부인들에게 그 정보를 판다면???) 그리고 당연히 정책의 추진진행속도를 늦추며 업무 방해적인 측면이 상당히 강합니다.
이번 기자실 통폐합은 노무현 참여정부의 일관된 개혁의 연장선입니다. 거대한 기득권세력, 특권 세력인 언론을 견제하자는 것입니다. 한나라당이 이 사건에 대해 기자들과 뜻을 같이 하는 이유는 둘 다 함께 대한민국에 군림해온 기득권세력이기 때문입니다.
주요 신문사의 기자세력과 한나라당의 권언유착에 대해 예를 들어봅니다. 대선후보로 50%의 지지를 받고 계신 전 서울시장인 모 후보는, 서울시장 재직 당시 미국 방문할 때 우리나라 신문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신문사 기자 9명을 '홍보단'으로 이끌고 나가 많은 질타를 받았었습니다. 기자 1인당 400만원이라는 서울시민 세금을 사용해야 했다네요.
http://news.media.daum.net/snews/society/affair/200603/24/segye/v12148185.html
얼마 후 나란히 이해찬 전 총리의 골프사건과 이 모 후보의 황제테니스 사건이 터졌을 때, 이해찬 총리 3.1절 골프 관련 비판 기사 113건/ 만평 24건, 이 모 후보 황제 테니스 관련 기사 27건, 만평 7건. 결국 이 전 총리는 사퇴했고, 이 모 후보는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해외여행 때문이라고 딱잘라 말하긴 힘들지만 위의 수치는 분명히 의도가 있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언론에서 가장 반발하는 부분은 기자실통폐합이고, 언론자유를 탄압한다는 것은 부처 사무실 무단출입금지입니다. 기자실통폐합이야 사실 자기들이 별 할 말 없습니다. 기자실이 없어지면 죽치고 앉아있는 기자들이 없어지고, 그 시간에 발품 팔아 좋은 기사 만들어야하니 언론의 질이 향상될 것입니다.
사무실 무단출입금지는 이건 아주 상식적인 것입니다. 조직이 존재하고 있는 곳에 조직원이 아닌 사람이 맘대로 출입 가능하다는 게 말이 될 일이 없습니다. 선진국 어느 나라도 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하여 부처 사무실 무단출입을 허용하고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지금까지는 기자들이 자기 마음대로 정부부처에 들어가서 일하는 공무원 불러내 취재하고 함께 쉬는 시간을 가짐으로 인맥을 형성하는 등등 특별한 권한이 있었는데 이제 그 특권이 사라지게 되니까 국민들의 의견과 다르게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언론탄압 소리 밖에 하지 않는 것입니다.
실제로 기자실 통폐합이 알려졌을 때 신문 및 방송에서 언론침해다 유린이다 말이 많았는데 언론보도가 실제 여론과 다르다는 것은 아래의 수치로 알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22일부터 실시 중인 뉴스폴에서 네티즌 62.05%는 “취재시스템 개선”을 이유로 기자실 통폐합을 ‘찬성’했고 36.52%는 기자실 통폐합은 “국민의 알 권리 침해”라며 ‘반대’ 의견을 밝혔다. 야후 코리아 뉴스폴의 결과는 찬성 의견이 압도적이다. 야후 코리아의 누리꾼들은 ‘기자실 통폐합’에 ‘찬성’의견 72.5%, ‘반대’의견 27.5%의 입장을 나타냈다. 포털 사이트들의 뉴스 폴은 표본오차와 신뢰수준은 없다.
간단히 생각하더라도 선진국에서는 무단출입 안 되는데 그것이 모두 언론탄압, 언론유린일까요? 기자실 폐쇄가 언론탄압, 언론유린이라면, 단지 규모가 작다고, 혹은 기존의 언론 매체와 다른 형식의 매체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다른 기자들의 기자실 출입을 막는 기자들은 비주류 기자들에 대한 언론탄압, 언론유린 아닙니까?
만약, 그래도 '기자실 폐쇄'를 '언론탄압, 유린'이라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수구 보수 기득권세력의 제 밥그릇 싸매는 일이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 : 복사26회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2. Humanities > 22_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구라와 선관위의 공방. 재미있는. (0) | 2007.11.19 |
---|---|
[스크랩] 노대통령 평양 아리랑 공연 관람 (0) | 2007.10.14 |
탈레반에게 보내는 아프간에 파병되었던 요원의 호소 (0) | 2007.08.02 |
(장한기 포토칼럼)"소쇠골 사진인생 사진가 김수군의 삶" (0) | 2007.08.02 |
[스크랩] 이제는 사라진 서울의 소리. 서울의 풍경들.... (0) | 2007.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