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4. ETIC/41_스크랩

Why Japan and South Korea Are Feuding Over a Cluster of Rocks

忍齋 黃薔 李相遠 2012. 9. 6. 14:51
반응형

Why Japan and South Korea Are Feuding Over a Cluster of Rocks

Sep 3, 2012 12:34 AM EDT

You Say Dokdo, I Say Takeshima...let’s call the whole thing off. A tiny clump of islets pushes two nations to the brink.


Takashi Yokota is NEWSWEEK’s correspondent in Tokyo and the editor-in-chief of NEWSWEEK Nihonban, NEWSWEEK’s Japanese-language partner.


The frenemies are at it again. Despite all their longstanding shared interests, Japan and South Korea just can’t find a way past their long and bitter history. At present they’re focusing their love-hate conflict on a desolate little cluster of volcanic outcrops jutting up from the Sea of Japan, roughly 210 kilometers across the water from either of the two countries’ mainlands. Collectively known in Japan as Takeshima (“bamboo island”), in Korea as Dokdo (“rock island”), and in the West as the Liancourt Rocks (named after a French whaling vessel that narrowly avoided being wrecked there in 1849), the islets total less than 19 hectares in area. But in the minds of Japan and South Korea, they’ve grown large enough to encompass decades of unresolved grievances.


 

This isn’t the first time the flyspeck islets have provoked a crisis. Back in April 2006, South Korea’s then-president Roh Moo-hyun threatened force, sending gunboats to prevent Japanese coast-guard vessels from mapping the nearby seabed. According to a U.S. State Department cable disclosed by WikiLeaks, Washington feared that Seoul might “do something crazy.” Thomas Schieffer, then America’s ambassador to Tokyo, told Japan’s vice foreign minister at the time that “the Koreans are behaving irrationally” and warned him that “everyone needs to back off.” The Koreans and Japanese finally did as he urged, and the situation cooled down.


This time, however, things have turned so messy that neither side may be able to back down from its nationalist posturings. In early August, South Korea’s President Lee Myung-bak crossed a red line for the Japanese when he became the first leader of his nation ever to visit the disputed islands. Japan’s resentment only worsened the next day, when South Korea’s national soccer team defeated the Japanese in the bronze-medal match at the London Games—and then, after the final whistle, a South Korean midfielder stood on the pitch and hoisted a sign declaring “Dokdo is our territory.” (Although the player was barred from the medal ceremony and his award was withheld pending an investigation of the incident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FIFA, soccer’s international governing body, he has since been exempted from compulsory military service and named to his country’s World Cup team.)


Four days after Lee’s surprise trip to the rocks, the president delivered an even more stinging slap to Japan. Out of the blue, he announced that if Emperor Akihito ever expects to visit South Korea, he should first apologize for Japan’s colonial rule of the peninsula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Many Japanese regarded Lee’s words as an insult to the emperor, and Japan’s legislators once again asserted their country’s claim to the islets. Last week Prime Minister Yoshihiko Noda infuriated the South Koreans on another sore topic, saying there’s no evidence that proves Japan’s imperial army forced Korean women to work as sex slaves. This week South Korea intends to hold military exercises on the disputed islets, and Japan is pondering whether to scrap a currency-swap deal with Seoul.


These volcanic outcrops pack a lot of trouble in a minuscule area. (Korea-pool / AFP-Getty Images)


The falling-out is cause for concern not only in Seoul and Tokyo but in Washington as well. Both are vital U.S. trading partners and America’s most important allies in Asia, but more than that: cooperation between them is essential in keeping North Korea in check. And yet their quarrel has grown downright juvenile. When Noda sent Lee a letter of complaint, the South Korean president declined to accept it, instead returning it via a Korean diplomat stationed in Tokyo. The Koreans later mailed Noda’s letter to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I’m sorry, but they’re behaving like kids in a scuffle,” said a disgusted Tsuyoshi Yamaguchi, Japan’s senior vice foreign minister. In the end, Tokyo accepted the letter’s return, rather than “tarnish the dignity of Japanese diplomacy,” as Noda put it—advising South Korean officials at the same time to cool their jets.


Japanese officials struggled to make sense of Lee’s actions. The Korean president had always been viewed as a pragmatist, more interested in building a “future-minded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s third-largest trading partner than in dwelling on past misdeeds. “What happened to the guy?” Noda blurted out during a parliamentary session. The most popular explanation points to Lee’s approval ratings, which had sunk to a pitiful 17 percent. There’s a vicious cycle that has prevailed ever since the advent of democratic rule in the late 1980s. Every five years, a new president sweeps into office, pledging better relations with Japan. But by his third or fourth year in office, the administration gets ensnared in a corruption scandal, and the president becomes a lame duck. (In July, Lee found it necessary to apologize publicly for a scandal involving his brother.) To rescue what’s left of his presidency, he resorts to anti-Japan rhetoric, and relations with Tokyo deteriorate—a trend that has grown stronger, especially in the past decade.


Lee, who happens to have been born in Osaka, may have felt a particular need to prove he’s not “pro-Japanese”—one of the most poisonous accusations in South Korea’s political vocabulary. As a measure of how deep that distrust runs, Lee’s national loyalties recently came into question because he seemed ready to sign off on a deal to help the two countries share military intelligence about their common enemy, North Korea. And in fact his standing in the opinion polls rose by roughly 10 points after his visit to the rocks. At the same time, however, Lee’s trip raises questions about his integrity as a statesman. With only six months remaining in his term, why would he jeopardize one of his country’s most important bilateral relationships in exchange for a mere blip in his approval ratings? Even members of his conservative Saenuri Party openly questioned whether his tactics were in South Korea’s national interest. “The president’s office is resorting to populism,” said lawmaker Choi Kyung-hwan, chief of staff to presidential candidate Park Geun-hye. “And the next president is going to have to pay the price.”


If the current feud is messy, the history of the islets is even messier. Although both sides claim to have documents dating back centuries proving that the rocks belong to them, they insist that the other side’s documents actually describe some other islands in the Sea of Japan. And the recent record is no less murky. In its 1951 peace treaty with the Allied Forces, Japan relinquished much of the Korean territory it had occupied during the war. But Tokyo argues that the islets were exempt from the deal: the Japanese declared them part of Shimane Prefecture in 1905—five years before they annexed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s see it differently. In 1952, then-President Syngman Rhee unilaterally took control of the islets by declaring a maritime demarcation line, and two years later, Seoul sent troops to occupy the Liancourt Rocks. Tokyo calls that an “illegal occupation.”


Tokyo has proposed for decades that the two countries file the case for arbitration by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n The Hague. Last week Seoul once again refused. The Koreans say there is no territorial dispute because the islets are theirs, and agreeing to a legal arbitration would only contradict this logic. But according to the Japanese, this only shows that deep down, Seoul suspects it might lose. “The Koreans are insecure about their claims under international law,” contends Hideshi Takesada, a Japanese professor of Asian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That’s why they feel the need to take measures to strengthen their control of the island.”


In politically apathetic Japan, Takeshima is usually a low-profile issue, not a cause for flag-burnings or boycotts. For the Koreans, on the other hand, Dokdo is a sacred place that must be protected at all costs, a proud emblem of their independence from Japan’s colonial rule. “Besides being a territorial issue, Dokdo is about history,” says former foreign minister Song Min-soon. “To the Korean people, Dokdo bears a special, symbolic meaning—it symbolizes the 36-year occupation by the Japanese. Whenever Koreans hear of the Japanese government’s claim [over Dokdo], they see it as [proof of] Japan’s unapologetic attitude.”


That’s one more reason behind Lee’s trip: he’s said it was meant to teach Tokyo a lesson. As South Koreans see the situation, Japan hasn’t adequately atoned for the acts it committ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including, according to Seoul, the forcible employment of Korean women in military brothels. Lee was under pressure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which found last year that the government isn’t doing enough to make Tokyo compensate the comfort women.


The South Koreans say the Japanese just don’t get it. The Japanese respond that the Koreans are unreasonably linking two entirely separate issues: rightful ownership of the Liancourt Rocks and justice for the comfort women. As Noda recently expressed it, speaking to the press corps in Tokyo, “The Takeshima problem is not an issue that should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It’s not that Japan is oblivious to its dark past, or unrepentant. Although the country’s right-wing politicians may dispute the details of its imperial past, most Japanese recognize that many terrible acts were committed in their country’s name. Nevertheless, even those ordinary people are running out of patience with Seoul’s demands for apologies. As they see it, Japanese prime ministers have apologized over and over. The Japanese government actually set up a special fund back in 1995 to compensate the comfort women. It ended in failure after right-wing activists in South Korea persuaded several former comfort women not to accept the money, claiming that it wasn’t an “official” compensation or apology from Japan.


Ordinary Japanese are baffled by the Koreans’ attachment to the islets. Since 2005, when Seoul began allowing tourists onto the islets, visits—pilgrimages, some say—have become hugely popular. Last year alone, some 180,000 people made the arduous trip. In 2010, civic groups, together with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declared Oct. 25 to be Dokdo Day, an annual occasion for teaching the nation’s schoolchildren to love the remote island outpost. (Japan’s Shimane Prefecture celebrates a Takeshima Day). Broadcasters go so far as reporting on the weather there, and some television stations end their daily broadcasts with a video clip of Dokdo as the national anthem plays.


Activists and political organizers have been holding “Dokdo awareness” events around South Korea. At a July gathering in Seoul promo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mall children were encouraged to write “I love Dokdo” on cookies. And after Lee’s August visit, a group of singers, actors, and college students braved the strong currents and made a 220-kilometer relay swim to the rocks. So far the demonstrations haven’t matched the extremes seen in March 2005, when a pair of protesters each chopped off one of their fingers outside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and another Korean set himself on fire. But the sense of outrage has not gone away. Last week a protester in Seoul was arrested for throwing two plastic bottles filled with feces at the embassy. (He reportedly turned out to be a man who had previously severed one of his fingers and mailed it to the embassy.)


In the face of such nationalistic ferv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an scarcely back down. In fact, Lee’s visit to the rocks has raised the ante for any future South Korean presidents who may seek to prove their conservative credentials. Conservative presidential candidate Park, the daughter of assassinated dictator Park Chung-hee, has already said she will consider visiting the islets if she’s elected in December.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politics, her family background is a powerful incentive to prove herself 100 percent Korean, untainted by “pro-Japanese” attitudes: her father was a cadet at the Imperial Japanese Army Academy during the war, and two decades later, as South Korea’s president, he’s the one who normalized relations with Japan. His daughter can scarcely afford to give ground on the islets, even if she thinks it’s the sensible thing to do.


There seems to be no way out, at least for the foreseeable future. Tokyo and Seoul could conceivably decide to shelve the issue and muddle through, as they did after they normalized relations some 50 years ago. It wouldn’t really solve the problem, but at least it seems doable. Alternatively, an exasperated Park Chung-hee is said to have suggested a more drastic approach at the time of the normalization talks: just blast the islets into oblivion. Neither government is likely to buy that idea. But if those rocks are going to keep causing so much trouble between the two Asian frenemies, it might be the only real solution.


With Toshiyuki Chiku in Tokyo and Jinna Park in Seoul


뉴스위크 기사 번역문


'왜 일본과 한국은 ‘바다의 암초’로 다투는걸까' 뉴스위크 기사 전문 


요코타 다카하시 기자


‘너는 독도라 부르고 나는 다케시마라고 부른다. 모든 걸 중지하자. 작은 섬이 두 나라를 벼랑끝으로 몰고 있다.’


'친구이자 적(frenemies)'이 돌아왔다. 오래 전부터 이익을 공유하는 한·일 양국임에도 긴 쓰라림의 역사를 피할 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일본해’에 있는 암초덩어리를 놓고 그들은 애증의 갈등을 키우고 있다. 양국으로부터 약 210㎞ 떨어진 이 섬을 일본에선 다케시마(竹島), 한국에선 독도라고 부른다, 그리고 서구에선 1849년 프랑스 선박이 난파를 피해 상륙한 이래 리앙쿠르 록스(암초)라고 불린다. 이 섬은 총 면적이 19㏊가 채 되지 않지만 일본과 한국인의 마음 속에는 수십년 간 풀지 못한 불만을 키워오고 있다.


이 같은 갈등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6년 4월로 돌아가자. 한국은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일본 선박의 접근을 막기 위해 전함 파견 등 무력을 위협했다. 위키리크스에 따르면 미 국무성은 한국이 “무언가 미친 짓(do something crazy)”을 할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토마스 쉬퍼 당시 주일 미국대사는 일본의 부총리에게 한국인들이 ‘비이성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경고하며 모두가 뒤로 물러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한국과 일본은 그렇게 했고 사태는 가라앉았다.


그러나 이번엔 더욱 복잡해져서 양쪽 모두 민족주의적 자세를 풀지 않을 기세다. 8월 초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분쟁 중인 그 섬에 상륙한 최초의 대통령이 됨으로써 일본인이 양보할 수 없는 한계점(red line)을 넘었다.


일본의 분노는 다음날 한국 축구팀이 올림픽 3-4위전에서 일본에 이긴 후 한 미드필더가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사인판을 들고 뜀으로써 더욱 악화됐다, (그 선수는 시상식 참가가 금지되고 메달 수여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축구연맹(FIFA)의 조사가 끝날 때까지 유보됐음에도 불구하고 병역이 면제됐고 월드컵 대표팀에도 지명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독도 깜짝 방문 나흘 후 일본을 더 자극했다. 난데없이(Out of the blue) 아키히토 일왕가 한국을 방문하면 먼저 2차대전 전후에 있었던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많은 일본인들은 이명박의 말을 일왕에 대한 모욕으로 간주했다. 일본의 정치가들은 다시 한번 그 섬에 대한 영유권을 강조했다. 지난주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일본 제국주의 군대가 한국인 여성을 성노예로 삼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아픈 이슈로 한국인들을 격분케 했다. 이번 주 한국은 분쟁 중인 섬에서 군사훈련을 하려 하고 있다. 일본은 한국과 통화 스와프 협정을 중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같은 다툼(falling-out)은 한국과 일본은 물론, 미국도 걱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양국은 미국의 무역파트너이자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동맹국들이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북한을 억누르는데 양국의 협조가 무엇보다 긴요하다는 것이다. 양국의 다툼은 완전히 유치한 것이 되고 있다.(their quarrel has grown downright juvenile.)


노다는 이 대통령에게 항의 편지를 보냈지만 한국 대통령은 수신을 거부하고 주일 한국외교관을 통해 돌려보냈다. 한국은 나중에 일본 외무성에 우편으로 보냈다. 일본 외무성의 야마구치 쓰요시 차관은 불쾌하게 “유감이지만 한국인들은 어린애처럼 옥신각신한다”고 말했다. 결국 일본은 일본 외교의 존엄성을 더럽히는 것보다 낫기 때문에 편지의 회송을 받아들였다. 노다는 한국 관리들에게 흥분을 가라앉히라고 충고했다.


일본 관리들은 이 대통령의 행동을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다. 한국 대통령은 실용주의자로서 그들과 세 번째로 무역 규모가 많은 일본과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였던 인물이다. “대체 그에게 무슨 일이 생긴거냐?”고 노다는 의회에서 내뱉었다. 가장 유력한 설명은 이명박의 지지율이 17%로 가련할 정도로 추락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선)1980년대 말 이후 야당인 민주당의 부상 이후 증오의 사이클이 반복됐다. (대통령 임기인)5년 주기로 대통령은 일본과 좋은 관계를 모색하다가 3년차, 4년차 즈음에 행정부에서 부패 스캔들이 일어나고 레임덕 현상이 벌어진다.(이 대통령도 지난 7월 형의 스캔들에 대해 공식사과했다.) 그의 잔여 임기를 구출하기 위해 그는 반일이라는 수사(修辭)에 의존했고 지난 10년 간 강화됐던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오사카에서 태어난 이명박은 한국의 정치적 단어로 가장 극악한 표현인 ‘친일’이 아니라는 것을 특별히 입증할 필요를 느낀 것 같다. 이명박의 국가적 충성도는 최근 한·일 간 공동의 적인 북한에 대한 군사정보를 공유하는 협정을 하려 했을 때 논란이 되었다. 그가 ‘바위섬(rocks)’을 방문한 이후 지지율은 10%포인트 올라갔다. 그러나 동시에 이 대통령의 방문은 정치인으로서의 진실성에 의문점을 불러일으켰다. 임기를 불과 6개월 남겨두고 왜 그는 고작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선택을 했느냐는 것이다.


보수적인 새누리당의 의원들조차 공공연하게 그의 전술이 한국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박근혜 후보의 비서실장인 최경환 의원은 “대통령이 포퓰리즘에 호소하고 있다. 차기 대통령이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의 분규가 혼란에 빠질수록 ‘작은 섬(islets)’의 역사는 더욱 혼란에 빠진다. 비록 양측이 오랜 세기 서로의 것이라고 하는 서류들이 있다고 말하지만 그들은 상대 주장이 ‘일본해’의 다른 섬들을 지칭한다고 반박한다. 최근의 기록도 아주 불분명하다. 1951년 연합군이 맺은 평화조약을 통해 일본은 전쟁 중 점유했던 한국의 많은 영토들을 포기했다. 그러나 일본은 그 작은 섬이 조약에서 제외됐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그 섬을 1905년-일본이 한반도를 합병하기 5년 전에 시마네현의 부속도서로 선언했다는 것이다. 한국인들은 그것을 다르게 보고 있다. 1952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해상경계선을 선포하면서 일방적으로(unilaterally) 그 섬들을 장악했다. 2년 후 한국은 리앙쿠르 록스를 점유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고 일본은 불법 점유 라고 선언했다.


일본은 지난 수십년 간 양국 간 중재를 위해 국제사법재판소에 갈 것을 한국에 제안했다. 지난주 한국은 다시 거절했다. 한국인들은 그 섬이 자신들 것이므로 영토분쟁이 아니라고 말한다. 법적 중재에 들어가면 이런 논리에 모순되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한국이 속으로는 재판에서 질 것같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연세대 아시아학부의 일본인 교수 다케사다 히데시는 “한국인들은 국제법 아래서 그들의 주장을 자신없어 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 섬의 지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일본에서 다케시마는 보통 낮은 관심사다, 국기를 불태우거나 보이콧의 이유가 되지 않는다. 반면 한국인들에게 독도는 모든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지켜야 하는 신성한 장소이며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독립한 자랑스러운 상징이다. “영토 이슈를 떠나서 독도는 역사다”라고 전 외교통상부 장관 송민순은 말한다. “한국인들에게 독도는 특별하고 상징적인 의미다-일본의 36년 지배를 상징화하는, 한국인들은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을 들을 때마다 일본이 (역사에 대해)사과하지 않는 태도로 받아들인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의 방문 뒤에 또하나의 이유가 있다. 그는 일본에 교훈을 가르쳐주기 위해 갔다고 했다. 일본이 군대 사창가에서 일하는 것이 강요된 여성들 문제와 같은 20세기 전반에 저지른 행위에 대해 속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명박은 한국의 헌법재판소의 압력 아래 있다. 지난해 한국은 일본이 위안부 여성들에게 충분히 보상하도록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일본인은 한국인이 비이성적으로 리앙쿠르 록스의 정당한 소유권과 위안부 여성의 정의라는 두 개의 완전히 분리된 이슈를 연관짓는다고 반박한다. 노다는 최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케시마 문제는 역사적 해석으로 토론될 이슈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일본이 어두운 과거에 대해 의식하지 못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비록 일본의 우익정치인들이 제국주의 과거의 상당 부분에 이의를 제기하지만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많은 끔찍한 행위들이 국가의 이름으로 저질러진 것을 인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일본인들은 한국의 사과 요구에 대해 인내심이 고갈되고 있다.


그들도 아다시피 일본의 총리들은 사과를 계속해 왔다. 일본 정부는 실제로 위안부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1995년 특별 펀드를 만들었다, 그것은 한국의 우파 시민들이 위안부 여성들에게 그것이 일본의 공식적인 사과가 아니라면서 돈을 받지 말라고 설득해서 실패로 돌아갔다.


보통의 일본인들은 그 작은 섬에 대한 한국의 애착을 도저히 이해 못한다. 2005년 한국인 관광객들이 그 섬에 가는 것을 허용한 이래 순례단 방문이 엄청난 인기를 모았다. 지난해만 약 18만 명이 고된 여행을 했다. 2010년엔 시민단체들이 한국교사협회와 함께 10월25일을 ‘독도의 날’로 선포했다. 전국의 학생들에게 외로운 섬을 사랑하도록 매년 기리게 한 것이다.(일본의 시마네현은 다케시마의 날을 기린다.) 방송국은 먼 그곳까지 가서 날씨를 전하고 일부 방송국들은 국가가 울려퍼질 때 독도의 영상을 내보낸다.


시민운동가들과 정치적 조직가들은 “독도 각성” 이벤트를 한국 전역에서 연다. 7월에 서울에서 열린 행사에서는 어린이들은 “독도를 사랑해요"라는 글씨를 과자에 쓰도록 부추겼다. 이 대통령의 8월 방문 이후 가수들과 배우들 대학생들이 강한 조류를 뚫고 220㎞의 바다를 헤엄쳐가는 이벤트를 벌였다. 지금까지는 2005년 3월 일본 대사관 앞에서 항의데모대들이 그들의 손가락을 절단하고 또다른 한 명이 분신한 것과 같은 극단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지만 분노의 모습은 표출되고 있다. 지난주 서울의 한 남성은 두 개의 플래스틱 병에 오물을 담아 일본 대사관에 던져 체포됐다.(이 남성은 이전에 손가락을 잘라 대사관 우편물로 보내기도 했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단면으로 인해 한국 정부는 거의 후퇴할 수가 없다. 사실 이 대통령의 방문은 미래의 한국 대통령들이 자신들의 보수적 성향을 입증하려고 할 때 동원되는 것이다. 보수 후보로서 암살된 독재자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는 12월에 당선되면 그 섬을 방문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 정치의 맥락에서 그녀의 가족 배경은 '친일적'이라는 때가 묻지 않은 100% 한국인임을 입증해야 하는 강력한 동기가 되고 있다. 그녀 아버지는 일본제국주의 군대 장교였고 20년 뒤에 한국 대통령이 되었다.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했다. 그의 딸은 그녀 스스로 민감한 것이라고 생각함에도 그 섬에 대해 거의 물러설 수 없다.


최소한 예견할 수 있는 장래에도 출구는 없어 보인다. 일본과 한국은 상상컨대 이 문제를 선반 위에 올려놓고 약 50년 전에 국교 정상화를 할 때처럼 그럭저럭 지낼 수도 있다. 그것이 문제를 진짜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해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한·일 국교 정상회담을 할 때 그 섬을 폭파시켜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하는 극단적인 제안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아이디어를 한국이 채택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만일 그 바위섬이 아시아의 ‘적이자 친구’인 두 나라 간에 많은 골칫거리를 야기한다면 정말 유일한 해결책이 될지도 모른다.


- 도쿄의 치쿠 도시유키와 서울의 지나 박 도움



Korea criticizes Newsweek's report on Dokdo 

The Seoul government on Thursday expressed regret over a U.S. weekly magazine's recent report on Japan's claim to South Korea's easternmost islets of Dokdo.


In its latest coverage of the Dokdo issue written by Japanese editor Takashi Yokota, the U.S. news magazine Newsweek sided with Tokyo's stance in the bilateral diplomatic conflict, which escalated after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s unprecedented visit to Dokdo on Aug. 10.


In the article titled "Why Japan and Korea Are Feuding Over a Cluster of Rocks," the Japanese writer consistently criticized Seoul's stance, calling it "hard to understand." He also quoted a former U.S. ambassador to Tokyo as saying, "Koreans are behaving irrationally."


Rejecting the Newsweek article as "wrong" and "biased," the Seoul government expressed regrets.


"The article is based on very biased perspectives. The foreign ministry will refute it in an appropriate way," said Seoul's Foreign Ministry spokesman Cho Tai-young, without elaborating. 


He also said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efforts to proactively launch a promotion campaign "to let the people around the world know of the truth about Dokdo and our basic stance."


Up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tory, the editor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gazine issued in a statement, explaining the reason for its decision not to publish the article.


"The article distorted the truth, far from fair and precise reporting," said editor Suh Jung-hyun. "The Asian version of Newsweek fails to reflect South Korea's stance. It is very regrettable."


South Korea has rejected Japan's claims to Dokdo as amounting to denying Korea's independence from its 1910-45 colonial rule because the country reclaimed sovereignty over its territory, including Dokdo and many other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hen it regained independence.


Korea has kept a small police detachment on Dokdo since 1954.


Meanwhi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id it would "review" a possible proposal from Japan to hold bilateral high-level talks on the sidelines of the upcoming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ummit.


The APEC summit is set to be held in Vladivostok, Russia, from Sept. 8-9, in which both South Korean and Japanese leaders will participate.


"So far, we have not received any suggestion from Japan about a summit or talks between foreign ministers," spokesman Cho said, dismissing such speculations raised by some Japanese media.


"We will review it if it is made," he added, opening the possibility for a high-level meeting which observers expect to serve as a venue for easing diplomatic tensions. (Yonhap)


뉴스위크, `日 편향 독도기사' 게재 논란


한국판은 해당기사 싣지 않기로 결정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일본에 편향된 독도 관련기사를 아시아판 최신호(10일자)에 게재해 논란이 되고 있다.


`왜 일본과 한국은 바위무더기 때문에 다투는가'라는 제목의 이 기사는 지난주 뉴스위크 일본판 표지기사의 논조를 그대로 따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뉴스위크 일본판 편집장인 요코다 다카시는 이 기사에서 독도문제에 대해 `한국이 비이성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일본 우익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전달했다.


`폭주하는 한국', `이해하기 어려운 사고 회로' 같은 자극적인 문구를 제목과 부제목으로 달았고, 시종일관 한국의 입장을 비판했다.


요코다 편집장은 영문기사에서도 "한국이 정신 나간 짓을 하거나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까 우려된다", "한국인들이 비이성적으로 행동하고 있다" 등 한국을 비판한 토머스 시퍼 전 주일 미국대사의 발언도 소개했다. 


이어 요코다 편집장은 이번 독도 사태가 오사카(大板) 태생인 이명박 대통령이 친일파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전격적으로 독도를 방문한 데에서부터 시작됐고, 올림픽 축구대표팀의 `독도 세리머니'와 일왕에 대한 사과요구로 갈등이 증폭됐다는 식의 논리를 폈다.


또한 독도는 한국병합 5년 전인 1905년부터 일본 땅이었고, 한국은 1952년 이승만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독도를 점령했기 때문에 `불법점거'라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되풀이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뉴스위크 코리아는 아시아판의 일방적인 논조를 감안해 한국판에 요코다 편집장의 기사를 게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뉴스위크 코리아 서정현 편집장은 6일 `우리가 독도기사를 싣지 않는 이유'라는 글에서 "(요코다 편집장의 기사는) 일본의 우익이 반길만한 논조요, 공정하고 정확한 보도와는 거리가 있는 사실왜곡"이라고 지적했다.


서 편집장은 "뉴스위크 아시아판은 한국의 시각을 반영하지 않고 일본에 지극히 우호적인 시각으로 독도문제를 보호했다.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뉴스위크 한국판이 아시아판 표지기사를 번역해 싣지 않기로 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