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말에는 실리콘벨리 산호세에 사시는 제 각시가 나온 국군간호사관학교의 전신 선배이신 김춘배 선배님의 조촐한 팔순생일잔치에 다녀왔습니다. 저는 군시절 잔혹한 보안대의 녹화사업에 몸이 많이 상해서 대구통합병원에 후송되어 6개월간 입원한적이 있습니다. 그때 병원성당에서 보았던 국군간호사관학교 4학년 생도였던 지금의 제각시를 만나 결혼하게 되어 지난 2000년 폐교직전의 국군간호사관학교를 부활시키는 인터넷 투쟁을 통해 국군간호사관학교의 명예동문이 되었습니다.
국군간호사관학교가 부활되고 난뒤, 국군간호사관학교 동문들은 육군사관학교처럼 정규사관학교 이전의 분들을 1회부터 10회까지 정식선배로 모셔서 국군간호사관학교가 탄생하게된 그 역사를 귀중하게 여기며 굳건한 반석을 만들었습니다. 물론 #살인마 #전두환 이가 11기인 자기부터가 진짜 사관학교라며 어미없는 자식처럼 굴듯 전신선배들을 우습게 여기는 동문들이 없는건 아닙니다만 죽기전에 철들것이라 믿어보면서 김춘배 선배님의 팔순잔치에서 느낀 감동을 나누고자 합니다.
얼마전 국제시장을 보며 함흥여관집 외동아들 장인어른이 타고 내려왔던 피난선과 파독광부와 간호사 등을 보며 눈물을 흘린기억이 되살아나는 순간이었습니다. 제 아들처럼 한국말이 부족한 따님이 김춘배 선배님에게 감사의 말을 하는 내용이 숙연하게 제 삶조차 돌아보게 하는 순간이었습니다.
가난한 일제시대에 태어나 6.25 한국전쟁에 부모를 여윈 어린 소녀 김춘배는 전쟁통에 만들어진 국군간호학교에 들어가 간호장교가 됩니다. 아들 딸을 남기고 남편마저 여윈 김춘배는 호구지책을 위해 파독간호사가 되어 어린자식들을 6식구가 버글거리는 오빠집에 맞끼고 죽어라 돈을 벌어 어린딸이라도 독일로 데려 올수 있었습니다. 또 밤낮없이 간호사일을 하여 조금이라도 벌이가 나은 미국으로 취업하게 되었고요.
아드님을 미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미국준간호사(LVN)로 일을하여 아드님이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할때 이민으로 데려올수가 있으셨습니다. 그만하여도 인간승리의 모습일겁니다. 하지만 김춘배 선배님은 끊임없는 자기개발과 영어공부 그리고 간호사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고 환갑의 나이에 미국정식간호사(RN)에 합격을 합니다. Her daughter's speech touched my heart!
그 내용을 알게되니 비빌언덕 없던 한 여인인 김춘배 선배님의 고달프고 긴장되었던 삶이 그려저서 마음이 먹먹해지고 목이 메아지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김춘배 선배님이 손수건을 꺼내 눈가로 가져가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그 노력으로 두 친손주는 미국명문 코넬대학과 유시버클리를 다니고 있어서 김춘배 선배님의 팔순잔치에 큰손주는 학교때문에 오질 못했고 작은손주는 잔치를 마치자 마자 허겁지겁 학교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따님은 애플에서 산업디자인을 하는 준수한 아리조나 출신의 남편을 만나 아들 딸을 낳아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김춘배 선배님은 나이 40에 미국에 오신후 미국준간호사(LVN)로 20년 환갑에 미국정식간호사(RN)에 합격하여 15년을 더 근무하신후 5년전에 은퇴하셔서 노년을 보내고 계십니다. 훌륭하신 김춘배 선배님 건강하게 오래오래 행복하게 사셔요. 따님 말씀처럼 우리 모두 김춘배 선배님을 사랑합니다.
Her daughter's speech at the birthday party
MoM's 80th Birthday
Thank you for joining us today. We are happy to celebrate the woman we call our mother. To know her is to recognize what a strong woman and devoted mother she is.
She grew up during the Korean war as a little girl, lost her father at the time and learned to survive hunger when the country was invaded by Japan. Her mother passed away when she became a young woman yet she still managed to seek an education by entering the Korean Military Nursing School.
After becoming a nurse she married and had the 2 of us, almost 7 years. Shortly after I was born, my mother realized that she couldn't count on her husband so she had to find the strength to start anew where she could give her kids a better life. She left them with her brother's family of 6 and became a contract nurse in Germany.
My mother struggled to bring both of us to Germany but because of possible war with North Korea no boys were allowed to leave. I was 5 when I was reunited with mom whom I did not recognize. I quickly realized that leaving Korea meant I had to do what she did, adjust and fit in as fast as possible. My mom worked nonstop to send money to Korea with the promise that she would try to get my brother to join us. After 5 years she was able to move us to the US, in hopes to have better luck getting my brother out of Korea.
Once we came to the US, we found ourselves alone without any family or friends to help us navigate a strange new culture. My mom had to teach herself English as well as work and take care of me while still sending money for my brother and try to get immigration to help us. It took her a few years of working double shifts as a LVN nurse in order make enough money to send for my brother to come live in the states. William, graduated Korean high school by the time we were able to reunite with him in LA.
Though my mother has lived in CA almost 40 years, she got her US Registered Nursing license about 20 years ago. All those years, I tried to discourage her from the many years testing in order to stop pressuring herself to do something so hard for her while still working full time. At the age of 60 she finally passed it which was truly amazing and another life goal met. This enable her to make a better life for 15 more working years.
Today, we value her tenacity and perseverance that, as adults and parents, my brother and I can see how very easy it to lose hope when life is tough. Thanks to her and her lifetime of constant work and worry for our future, we are able to seek better lives for us and our children's lives.
Thank you for being our mom, and Happy Birthday! We love you!"
전신 김춘배 선배님과 정춘희 선배님
좌로부터 전신 김춘배 선배님, 전신 정춘희 선배님, 27회 신행주 후배님, 전신 염정순 선배님
좌로부터 전신 김춘배 선배님, 전신 정춘희 선배님, 27회 신행주 후배님, 전신 염정순 선배님
좌로부터 전신 김춘배 선배님, 전신 정춘희 선배님, 27회 신행주 후배님, 전신 염정순 선배님
따님
사위 따님
따님이 인사말을 준비하는 중이다.
좌로부터 전신 김춘배 선배님, 전신 정춘희 선배님, 27회 신행주 후배님, 전신 염정순 선배님
따님의 인사말에 눈물을 흠치시는 김춘배 선배님
외손주 외손녀 작은손주
'0. 韓山李氏 > 08_黃薔(李相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실수(Human Error)라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이해 (0) | 2015.05.17 |
---|---|
[옳은 일을 하였으니 좋은거다] (0) | 2015.05.05 |
2014~15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KOSEN 전문가로 위촉 (0) | 2014.10.03 |
[세월호 참사를 영원히 기억하기 위해 해양수중 조각공원의 조성을 제안한다.] (0) | 2014.08.21 |
[내가 만난 가련하고 불쌍하고 초라한 인간 예수를 생각한다!] (0) | 201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