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2. Humanities/22_한국역사

대한민국의 은인 - 윤봉길 의사

忍齋 黃薔 李相遠 2015. 12. 27. 08:25
반응형


어지러운 한국상황을 보면 한마디 말 거들기가 무척 불편합니다. 늘 바른 이야기를 하여 가끔 드르게 되는 아주대 의대교수 대장암 전문가 서광욱 (Kwang Wook Suh)선배님의 담벼락에 모 후배에게 들러주는 이야기가 올라왔습니다. 우리가 한번 돌아보아야 할 이야기라 생각되어 소개합니다. 

후배 000에게 들려주는 역사 한토막....
.
카이로 회담이라고 기억하나? 2차대전 중에 루즈벨트, 처칠, 그리고 장개석등 세 사람이 모여 2차대전 종전후 어지러워진 영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이었는데...
.
목적은 일본에 의해 침략당한 중국의 영토를 반환받기 위한 회담이었다네 ...
.
그런데 회담 말미에 장개석이 '조선' 문제를 거론하였다고 하네... 사실 그 때까지만 해도 조선이라는 나라는 지도상에도 존재하지 않은, 그야말로 존재감이 없던 나라였는데, 장개석이 '조선'은 원래 일본 영토가 아니니 이 나라도 영토회복을 시켜줘야한다고 말을 꺼냈다네....
.
우리로서는 카이로 회담에서 장개석이 아니었으면 영원히 일본영토로 남을 뻔한 사건이지..
.
처칠은 영국놈 답게, 뭐 그런 사안을 꺼내느냐고 회담을 마치려했다네....루즈벨트는 다리가 불편해 못일어나고... 그런데 장개석이 끝까지 주장을 했다는군.
.
왜 장개석이 그렇게 '조선' 문제를 이슈화하였느냐하면, 바로 윤봉길의사가 상해에서 폭탄을 던져 일본군 수령을 폭사시킨 것에 감동한 나머지 어떻게든 조선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네..
.
그리하여, 카이로 회담 선언문에 조선을 포함한 여러나라들의 영토 반환을 2차대전이전 상태로 돌린다 는 문구가 삽입된거라네..
.
그런데 우리나라가 중국과 수교하면서, 중국이 껄끄러워하는 대만과 단교했다네... 대만은 그 사건이후로 우리 한국을 인간으로 보지 않고있고..
.
그런데 지도를 보시게....대만은 아직도 북한과 수교하지 않고있네...
우리... 남은 인생을 이리 추접스럽게 살지말고 멋지게 살다가 가세.
"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