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좀전에 미육군대위 출신 Sung Hoon Kim군이 링크한 게시글이 고령화사회에 관한 글이어서 흥미롭게 공부해 보았습니다. 한국은 앞으로 다가올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를 어찌 하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
고령화 사회는 1단계 “고령화 사회”, 2단계 “고령사회” 그리고 3단계 “초고령 사회”로 나눈다고 합니다.
.
1단계인 “고령화 사회”는 국가 전체 인구의 7%에서 14%의 인구가 65세 이상으로 일본은 1975년부터 1994년에 경험했고 한국은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
2단계인 “고령사회”는 국가의 전체 인구의 14%에서 20%가 65세 이상으로 일본은 1994년부터 2005년 사이에 경험했고 한국은 올해인 2017년이나 내년인 2018년에 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3단계인 “초고령 사회”는 국가 전체 인구의 20%이상이 65세 이상으로 일본은 2005년부터 진입하였고 한국은 2025년이나 2026년 사이에 진입할 예정이라는 군요.
.
국가차원에서 잘 관리하지 않으면 치매노인들이 길거리를 헤메이고 사회분위기가 자칫 어두워 질수도 있을겁니다. 급조되고 준비되지 않은 노인 요양시설들은 사회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할수도 있을 터이고 말입니다.
.
국가에서는 우선 고령화시대에 걸맞는 전문가들의 양성부터 내실있게 시작해야 한다고 이 연사 대권도전에 정신뺏긴체 노인복지 공약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 지도자들에게 강력하고 애절하게 호소하는 바입니다.
.
<그림 출처 구글서치>
반응형
'2. Humanities > 22_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가 간첩으로 몰아 죽인 박노수(1933~72) 영국 케임브리지대 국제법 교수 (0) | 2017.04.22 |
---|---|
두 악질 경찰과 두 독립운동가 / 경남도민일보 (0) | 2017.04.20 |
애국가 작사자 논란/ 신동립 (0) | 2017.03.09 |
김근태가 걸어온 길 (0) | 2017.02.10 |
건빵 맛이 변화됐는데도 "여전하다"고 한 그의 미각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