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0. 韓山李氏/_082_五.一八

이세종 (Lee Se-Jong) 열사

忍齋 黃薔 李相遠 2023. 10. 19. 13:45
반응형

이 진술서는  은미희 소설가의 단편소설 '활착'에서 인용했습니다.
.
[은미희 신작 단편소설 '활착'] - https://yellowroses.tistory.com/m/15855314

[은미희 신작 단편소설 '활착']

이 단편소설 '활착'은 '문학들 2021.여름 제64호'이라는 문학잡지에 실린 단편소설입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지원하는 우수문학잡지이고, 시, 소설, 동화, 평론 등을 아우르는 종합 문예지

yellowroses.tistory.com

.
+++

문 : 선생님께서는 1980년 5월 18일 당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1학년 학생으로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셨는데 무슨 이유로 그 날 학생회관 어디에 계셨나요? You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n May 18, 1980, as a first-year student in the College of Agriculture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or what reason were you in the student center on that day?

.

답 :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계열 입학전, 제가 살던 서울 용산구 청파동3가는 용산 미군부대 근처였습니다. 용산 미군부대에서 복무하고 있던 미국친구들이 뉴스위크지나 타임지 같은 미국잡지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그게 불행의 시작이었습니다. 전 열지 말아야 할 판도라의 상자를 열고 말았던 거지요. 미국친구들에서 받은 미국발 잡지에는 놀라운 내용들이 들어 잇었습니다. 당시 대통령은 최규하였는데, 실세는 따로 있었습니다. 그 때 한국 사회는 철저한 통제와 검열의 사회로, 우리가 보고 듣는 것이 모두 진실이 아니었습니다. 장막 뒤에 숨어 세상을 움직이는 세력들이 보여주고 들려주는 이야기만 보고 들을 뿐이었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발행된 그 잡지들을 통해 전두환이라는 이름을 처음 알았습니다. 거기에는 1979년 12월 12일, 당시 육군소장이었던 전두환이 쿠데타를 일으킨 일과, 앞으로의 정권찬탈 계획을 비롯해 향후 한국의 정세를 예측하는 기사가 소상히 실려 있었습니다. 이때 노태우도 등장하는데, 그는 전두환과 쿠데타를 모의하고 당시 판문점을 지키는 9 사단 병력을 빼서 서울로 들어왔다고 했습니다. 그런 탓에 판문점은 아무도 지키는 이가 없는 무주공산 상태가 되었지요. 저는 이 사실을 사람들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뜻을 같이 하는 친구들을 모았습니다. 나와 같은 1학년 농학계열 같은 반이었던 김차순 동기와 농대 1년 선배로 농학과 2학년이였던 이세종 선배가 저를 돕겠다고 나섰습니다. 제가 미국잡지에 실린 기사들을 번역하고 우리는 그 번역한 기사를 가지고 학교 학생회관 3층에서 등사를 했습니다. 등사지에 철판으로 번역한 기사를 쓰고, 등사판에 잉크를 붓고 롤러를 미는 방식이었지요. 그렇게 만든 유인물을 우리(이상원, 김차순, 이세종)는 친구들과 시민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무섭지 않았냐구요? 당시는 무서움보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는 소명의식이 더 컸습니다. 젊은이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한다고 생각했으니까요. 우리가 찍어낸유인물을 읽고 친구들과 시민들은 물었죠. 전두환이 누구냐고. 그래서 저는 1980년 5월 17일과 1980년 5월 18일에 학생서클룸이 몰려있던 학생회관 3층에 학생서클들이 공동으로 함께 사용하는 등사실에서 미국잡지의 최신 정보를 번역하여 만든 유인물을 등사하고 있었습니다. Before entering the College of Agriculture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 lived in Cheongpa-dong 3-ga, Yongsan-gu, Seoul, near the Yongsan US Army Base. My American friends, who were serving at the Yongsan American military base, brought me American magazines like Newsweek and Time magazine. That was the beginning of my misfortune. I had opened a Pandora's box that shouldn't have been opened. The magazines that my American friends brought me from the U.S. contained amazing things. The president at the time was Choi Kyu-ha, and there was no real president. Korean society was a society of strict control and censorship, and not everything we saw and heard was true. We were only seeing and hearing what the powers that be behind the curtain were showing and telling us. I first learned of the name Chun Doo-hwan through those magazines published in the U.S. They had articles about how Chun Doo-hwan, then a major general in the army, had staged a coup on December 12, 1979, and predicted the future of South Korea, including how he planned to take over the government. Noh Tae-woo was also mentioned at this time, and he said that he had plotted the coup with Chun Doo-hwan and had entered Seoul minus the 9th Division troops that were guarding Panmunjom at the time. I thought people should know about this, so I gathered a group of like-minded friends, including Kim Cha-soon, who was in the same class as me as a first-year agriculture major, and Lee Se-jong, who was a second-year agriculture major and a year ahead of me in agriculture, and they offered to help me. I translated articles from American magazines, and we took the translated articles to the third floor of our school's student center, where we wrote the translated articles on iron sheets, poured ink on the sheets, and pushed a roller. We (Lee Sang-won, Kim Cha-soon, and Lee Se-jong) then handed out the handouts to our friends and citizens. It was scary, but we felt more of a sense of calling to share the facts than fear. After reading our handouts, friends and citizens asked, "Who is Jeon Doo-hwan?" So on May 17, 1980 and May 18, 1980, I was sitting in a study hall on the third floor of the student center, where student circles were clustered together, translating the latest information from American magazines.
 
.
 
문 : 1980년 5월 18일 01:30경 전북대학교 학생회관에 7공수부대 계엄군이 출동하여 2층으로 오르는 도중, 2층에서 1층으로 향하는 계단 앞에서 고 이세종과 유광석(이들은 김제 중앙중학교 동창생)이 함께 내려가려다 이들과 마주쳐 고 이세종은 3층으로, 유광석은 2층 화장실로 도피하였고, 이 장면을 2층 농성장 출입문 앞에 있던 양상민(원광보건대학생)이 목격하였다고 합니다. 즉 이세종이 2층에서 3층 계단으로 도피하는 것을 목격한 사람은 유광석, 양상민입니다. 선생님은 그 때 3층 등사실에서 무엇을 하시다가 어느 지점에서 이세종의 어떠한 모습(가령 가쁜 숨을 몰아 쉰다거나 등)부터 어떠한 모습까지를 목격하셨나요? 또 당시 계엄군은 몇 명이 어떠한 모습(휴대한 장비는 무엇이 있나요?)으로 어디에서 무엇을 했나요? On May 18, 1980, at around 01:30, martial law troops of the 7th Airborne Corps were dispatched to the Jeonbuk University Student Union, and while climbing to the second floor, the deceased Lee Se-jong and Yoo Kwang-seok (they were classmates at Kimje Jungang Middle School) were confronted in front of the stairs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first floor, and Lee Se-jong fled to the third floor and Yoo Kwang-seok fled to the second floor restroom, and this scene was witnessed by Yang Sang-min (a student at Wonkwang College of Health), who was in front of the entrance door to the second floor nongseong. In other words, it was Yoo Kwang-seok and Yang Sang-min who saw Lee Se-jong flee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third floor stairs. What were you doing in the 3rd floor classroom at that time, and at what point did you see what kind of appearance (e.g., breathing heavily, etc.) of Lee Sejong, and how many people were there (what equipment were they carrying), where, and what were they doing?
 
.
 
답 : 운명의 날이었습니다. 1980년 5월 18일 01:30경, 그날도 저는 늘 하던 대로 유인물을 인쇄하고 기숙사로 돌아가려는 참이었습니다. 그때 갑자기 밖이 소란스러웠습니다. 그 밤에 말이죠. 모든 것이 고요하고 적막하게 가라앉을 시각에 말입니다. 차가운 시멘트 바닥을 울리는 어지러운 발소리들과 거칠게 문이 열리는 소리, 무언가 바닥에 내동댕이치며 깨지는 소리들, 그 소리들이 뒤섞여 사방을 울렸죠. 순간 2층 농성장에서 3층으로 올라오던 이세종 선배와 내 시선이 부딪쳤습니다. 뭐지? 무슨 소리지? 우리는 불안하게 눈으로 물었습니다. 불안은 이내 공포로 뒤바뀌었습니다. 도망쳐!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선배와 나는 옥상으로 도망치다 계단에서 잡혔습니다. 그들은 검은 베레모를 쓴 장교나 하사관으로 보이는 자들과 철모를 뒤집어 쓴 병사들이 M16총에 대검을 꽂은 채 학생회관으로 쳐들어왔습니다. 그들은 닥치는 대로 박달나무로 만든 긴곤봉을 휘둘러댔습니다. 한번 맞으면 두개골이 바스러지는 죽음의 곤봉이죠. 우리는 얼마가지 못해 3명의 공수부대원들에게 잡히고 말았습니다. 이세종 선배는 제 눈앞에서 2명의 공수부대원에게 한명은 곤봉으로 그리고 또 한명은 M16의 개머리판으로 “퍽” 소리가 나게 머리를 맞고는 비명소리도 없이 그 자리에서 꼭꾸라 졌습니다. 머리가 깨진 선배는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죠. 저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다른 한명의 공수부대원은 곤봉과 무자비한 군홧발로 저를 때리고 차고 하여, 전 다리 인대가 파열되고 피투성이가 된 채 포승줄에 묶여 처음에는 밀패된 군용무기차에 실려있었습니다. 군용무기차...... 그곳은 어두컴컴했고, 공기도 제대로 통하지 않았지요. 마치 무덤 속 같았습니다. 그러다 학생들이 많이 잡히자 경찰버스가 와서 그곳으로 옮겨져서 전주경찰서로 실려갔습니다. It was a fateful day. On May 18, 1980, around 01:30, I was doing what I always did, printing out handouts and heading back to my dorm, when suddenly there was a commotion outside, at a time of night when everything is supposed to be still and silent. Dizzying footsteps echoing on the cold cement floor, doors slamming open, something falling to the ground and breaking, the sounds mingled and echoed in all directions. Suddenly, my gaze met that of Sejong Lee, who had come up from the second floor barricade to the third floor. What is it? What is that noise? We asked with anxious eyes. Our anxiety quickly turned to panic. Before anyone could say who was first, my senior and I ran to the roof and were caught on the stairs. They were men in black berets and what appeared to be officers or sergeants, and soldiers in hard hats, with M16s and bayonets. They swung long clubs made of birch wood at us. We didn't last long before we were captured by three airborne soldiers. Senior Lee Se-jong was hit in front of my eyes by two airborne soldiers, one with a truncheon and the other with the butt plate of an M16, with a "puck" sound, and without a scream, he was snapped on the spot. With his head crushed, he died on the spot, and I was no exception. The other airborne troopers beat and kicked me with truncheons and merciless military boots, until I was tied to a rope with ruptured ligaments in my legs and covered in blood, and loaded into a military weapon vehicle that was initially overwhelmed. military weapon vehicle...... It was dark there, the air was poorly ventilated, and it was like being in a grave. Then, when many students were caught, a police bus came and we were taken there and taken to the Jeonju Police Station.
.
 

[5.18 최초 사망자는 1980년 5월 18일, 새벽 0시 전라북도 전주 전북대 학생회관에서 금마7공수 부대원에게 무참히 살해된 전북대 농대 농학과 2학년 이세종 열사입니다. 제가 그 과정을 바로 눈앞에서 생생하게 지켜본 산 증인입니다. 진실을 왜곡하는자 천벌을 받을 겁니다. 5.18 The first fatality was Lee Se-jong, a sophomore agriculture major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ho was killed in cold blood by members of the 7th Airborne Division at the student union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Jeonju, North Jeolla Province, on May 18, 1980, at 0:00 am. I am a living witness who saw it happen right in front of my eyes. Those who distort the truth will be punished.
.
온라인상에서 5.18의 진실을 왜곡하며 첫 희생자가 5월 20일 밤에 사망한 경찰이라고 주장하는 글을 보았습니다. 아닙니다. 1980년 5월 18일, 새벽 0시 5.18의 첫 희생자는 금마7공수 부대원에게 전라북도 전주 전북대 학생회관에서 살해된 이세종 열사입니다. I've seen articles online that distort the truth of 5.18, claiming that the first victim was a police officer who died on the night of May 20. No, the first victim of 5.18 was Lee Se-jong, who was killed at 0:00 a.m. on May 18, 1980, in the student union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Jeonju, South Korea, by members of the Kumma 7th Airborne Division.
.
참고자료:
1. http://blog.daum.net/enature/15849754
2. http://blog.daum.net/enature/15849836
3. http://blog.daum.net/enature/15849763
4. http://blog.daum.net/enature/15850359
5. http://blog.daum.net/enature/8180402
6. http://blog.daum.net/enature/15853746
.
[‪#‎살인마‬ ‪#‎전두환‬ 을 처형(處刑)하라! 한 손엔 몽둥이 한 손엔 짱돌을 움켜쥐고 연희동(延禧洞)으로 몰려가 살인마(殺人魔) 전두환(全斗煥)을 주살(誅殺)하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