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열리는 스위스 비밀 계좌
1982년 이탈리아 경찰이 로마에서 비밀 예금을 유치하던 스위스 은행원 2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이들에게 돈을 맡긴 예금주들이 탈세 의도가 있다고 보고 신원을 파악하기 위해 두 사람을 신문했다. 한명은 예금주 정보를 밝혀 석방됐지만 한명은 끝내 입을 다물어 구속됐다. 스위스 당국은 고객 비밀을 알린 은행원에게 6000만원가량의 벌금을 물렸다. 구속된 은행원에겐 영웅 대접을 하며 거액의 위자료를 줬다.
▶ 스위스는 17세기부터 비밀 보장을 내세우며 외국인 예금을 유치하다 1934년 '비밀주의'를 은행법에 명문화했다. 스위스 은행에 돈을 예치한 유대인 명단을 달라는 나치 정권 요구를 거부하기 위해서였다. 계좌 비밀을 누설하면 최고 6개월 금고형이나 5만스위스프랑 벌금형에 처한다. 탈세 증거가 없는 한 스위스 사법당국도 계좌 추적을 못한다. 스위스엔 은행이 350개가 넘지만 간판조차 붙이지 않고 행원이 100명에 불과한 곳도 많다. 이렇게 세계에서 끌어 모은 돈이 2조8000억달러로 금융업 비중이 전체 GDP의 12%에 이른다.
▶ 비밀 계좌를 열려면 예금액이 적어도 10만스위스프랑(약 1억2500만원)이 돼야 한다. 이름 대신 숫자나 문자로도 계좌를 만든다. 그럴 경우 본인이 직접 신원을 증명하고 번호계좌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예금주 정보는 같은 은행 안에서도 담당 직원과 바로 위 책임자만 안다. 예금을 찾으려면 본인이나 법적 대리인이 6주 전에 신청해야 한다.
▶ 전 세계에 정치인이나 관료, 기업이 탈세를 위해 스위스 비밀 금고나 버뮤다, 리히텐슈타인 같은 조세피난처 35곳에 숨긴 돈이 10조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북한 김정일도 스위스 비밀 계좌에 돈을 감춰뒀다는 얘기가 나돈다. 스위스 은행의 금고 문이 세계를 향해 열리는 날 각국에 엄청난 풍파를 몰고 올 판도라의 상자가 될 것이다.
- 김동섭 논설위원
반응형
'1. Dr. Sam Lee > 14_외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히틀러의 예언? (0) | 2009.08.01 |
---|---|
加 음악인 풍자노래에 美항공사 안절부절 (0) | 2009.07.11 |
간디의 둥근 테 안경 (0) | 2009.03.10 |
미모의 프랑스 장관이 기모노 입은 까닭은 (0) | 2009.03.04 |
170만명 목숨 앗아간 '킬링필드' 역사적 재판 오늘 개정 (0) | 200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