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06년부터 ’08년까지 전국 4대강유역 하천, 호소, 저수지 등 주요 담수수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패류내 수은농도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였다.
○ ‘05년 국민 혈중 중금속 조사결과(’06.2.6),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체내 수은 평균농도(4.34㎍/ℓ)가 미국(0.82㎍/ℓ), 독일(0.58㎍/ℓ) 비해 높게 조사됨에 따라,
- 인체 내 수은축적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는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 노출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서,
※ 인체 내 수은 축적의 주요인은 식품섭취(어패류)에 의한 것으로 총노출량의 90% 이상으로 추정(미국 환경청, ‘01)
- 전국 4개강 유역 담수 수계에 서식하는 주요 어패류에 대한 종합적인 수은농도 모니터링 자료로는 이번이 처음이다.
▷ 수행기관 : (주)네오엔비즈(이종현 소장)
▷ 사업기간 : 2006.5 ~ 2009.3 (28개월)
▷ 연차별 추진내용
구분 |
1차(‘06.5~‘07.2) |
2차(‘07.5~‘08.2) |
3차(‘08.5~‘09.3) |
주요
내용 |
- 4대강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류 수은 함량조사 |
- 4대강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류 추가 조사
- 어패류섭취가이드라인
(안)근거자료 마련 |
- 1,2차 보완조사 및 종합분석
- 수은분포도 및 섭취 가이드라인 마련
- 유류사고지역 어패류 수은 함량 조사 | |
《 환경중(수질, 퇴적물) 수은농도 》
□ 전국 주요 수계(담수) 135지점(300개 시료), 퇴적물 114지점(290개 시료)에서 채취한 환경시료의 수은 함량을 분석한 결과
○ 담수 중 평균 수은농도는 6.5ng/ℓ로 미국 환경청의 생태보호수질기준(770ng/ℓ)에 비해 매우 낮고,
- 수계별로는 5.4ng/ℓ(금강?영산강)~8.1ng/ℓ(한강)로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상대적으로 한강·낙동강이 높고 금강·영산강·섬진강이 낮았다.
- 유형별로는 저수지(13.2)가 호소(8.1)나 하천(5.1)에 비해 높고, 수역별로는 중·상류가 하류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 4대강 수계별 수질 중 수은농도 >
구분 |
시료수 |
총수은(ng/ℓ, 평균) |
농도범위(ng/ℓ) |
평균 |
300 |
6.5 |
0.1~80.1 |
수계별 |
한강 |
89 |
8.1 |
0.1~80.1 |
낙동강 |
101 |
6.1 |
0.1~57.3 |
금강 |
52 |
5.4 |
0.1~25.9 |
영산/섬진강 |
58 |
5.4 |
0.2~28.4 |
유형별 |
저수지 |
19 |
13.2 |
1.3~57.3 |
호소 |
84 |
8.1 |
0.1~80.1 |
하천 |
197 |
5.1 |
0.1~31.3 |
수역별 |
상류 |
113 |
7.4 |
0.1~80.1 |
중류 |
111 |
7.3 |
0.1~57.3 |
하류 |
76 |
3.9 |
0.1~31.3 |
※ 미국 환경청(EPA) 생태보호 수질기준(총수은) : 770ng/ℓ, 우리나라 하천?호소의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총수은) : 1000ng/ℓ이하(검출한계임)
○ 또한 퇴적물의 평균 수은함량은 27.0㎍/㎏으로 미국 지질조사국 퇴적물 기준(180㎍/㎏) 및 국외 자료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 수계별로는 22.8㎍/㎏(영산강)~30.3㎍/㎏(낙동강)로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한강·낙동강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 유형별로는 호소(36.3)와 저수지(31.1)가 하천(22.5)에 비해 높고, 수역별로는 하류가 중?상류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 4대강 수계별 퇴적물 중 수은농도 >
구분 |
시료수 |
총수은(㎍/㎏, 평균) |
농도범위(㎍/㎏) |
평균 |
290 |
27.0 |
0.1~282.5 |
수계별 |
한강 |
81 |
29.6 |
0.1~170.3 |
낙동강 |
94 |
30.3 |
0.8~282.5 |
금강 |
58 |
23.6 |
0.3~146.1 |
영산/섬진강 |
57 |
22.8 |
0.2~227.2 |
유형별 |
저수지 |
22 |
31.1 |
3.0~100.6 |
호소 |
80 |
36.3 |
0.4~227.2 |
하천 |
188 |
22.5 |
0.1~282.5 |
수역별 |
상류 |
126 |
26.8 |
0.2~227.2 |
중류 |
102 |
24.5 |
0.1~142.9 |
하류 |
62 |
31.3 |
0.3~282.5 |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생태보호 퇴적물 기준(총수은) : 임계영향농도(TEC, 180㎍/㎏), 생태영향농도(PEC, 1,060㎍/㎏)
《 담수 어패류내 수은농도와 분포지도 》
□ 전국 4대강 유역 하천과 호소지역을 대표하는 총 92개 지점에 서식하는 57종(3,710개체)에 대한 어패류내 수은 농도를 분석한 결과,
○ 담수 어패류의 종별 평균 총수은 농도는 3.9~163.2㎍/㎏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수산물에 대한 총수은 규격 기준(500㎍/㎏, ‘08 식품공전) 이하이고,
- 수은 함량이 높은 어종은 쏘가리(163.2), 참몰개(123.8), 치리(116.6), 강준치(115.3), 끄리(110.9) 순이며,
- 출현빈도가 높은 5개 어종(붕어, 블루길, 누치, 피라미, 메기)의 평균 수은농도는 43.8~92.0으로 조사되었다.
※ 다소비 수산식품의 총수은 농도(㎍/㎏, ‘09년 식품의약품안전청) : 어류(11~291), 연체류(6~77), 패류(0~20)
< 어종별 평균 총수은 농도>
※ 어패류 명칭 앞 숫자는 각 영양단계를 나타냄 : 영양단계 2단계(초식성), 3단계(저서 포식성 또는 동물 플랑크론 포식성), 4단계(2단계 및 3단계 어류를 포식하는 대형 유영 포식성)
□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중권역별로 대상 어종의 영양단계를 고려한 어패류 가중평균 수은농도 분포지도는 아래와 같다.
○ 측정 지점이 전국의 모든 담수수계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 제작한 것으로서 개략적인 권역별 수은농도 분포정도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중권역별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 영양단계를 고려한 어패류 가중평균 수은농도 작성방법>
※ 권역별 영양단계에 따른 어패류의 평균 수은농도와, 영양단계별 담수어패류 섭취비율(국민건강영양조사, ‘01)을 고려하여 권역별 대푯값 산출
<영양단계별 어류의 수은 농도와 섭취비율>
영양단계 |
특정 지점(중권역)에서 영양단계에 따른 어패류 평균 수은농도 (기하평균) |
1인1일섭취량 |
섭취비율 |
2 |
Cf2 |
1.12 |
46.9% |
3 |
Cf3 |
0.76 |
31.9% |
4 |
Cf4 |
0.51 |
21.1% | |
《 담수 어패류(민물고기) 섭취 가이드라인 》
□ 환경부는 또한 담수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 노출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패류 수은농도 수준에 따라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섭취 가이드라인(섭취권고횟수)을 마련하였다.
○ 우리나라 국민의 일반적인 어패류 섭취량(한국노출계수 핸드북, ‘07)과 수은일일허용섭취량(JECFA, IOMC 기준)을 활용하여 섭취 빈도에 따른 허용 어패류 수은 농도를 산정한 결과,
- 일반성인의 경우 일반적인 어패류 섭취빈도(2.5회/주, 국민건강영양조사(‘01))를 고려할 때, 담수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의 건강영향은 우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이는 모든 조사대상 어패류의 기하평균농도가 임산부의 주 2회 섭취가능 농도인 194㎍/㎏ 이하이므로, 평균적인 어패류 섭취빈도를 고려할 때 평상시 큰 제한없이 섭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이는 민물고기 섭취만을 전제로 산출한 것으로서 가정에서 주로 소비하는 어패류까지 포함하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섭취량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
※ JECFA : FAO(식량농업기구) · WHO(세계보건기구) 식품 첨가물 전문가위원회
※ IOMC: Inter-Organization Programme for the Sound Management of Chemicals
<어패류 농도별 허용 섭취횟수>
허용 섭취횟수 |
어패류 수은 농도 (㎍/kg) |
임산부 |
유아/아동 |
일반성인 |
3회/주 |
~130 |
~204 |
~267 |
2회/주 |
~194 |
~306 |
~400 |
1회/주 |
~389 |
~612 |
~801 |
1회/2주 |
~778 |
~1224 |
~1601 |
※ 주당 평균 어패류 섭취횟수가 2.5회일 때 일회당 어패류 섭취량은 가임여성/태아는 228.5 g/회, 유아/아동은 138.3 g/회, 일반성인은 244.2 g/회 (장재연등(2007), 한국노출계수핸드북)
※ 수은 일일허용섭취량 (TDI, Tolerable Daily Intake) : 임산부 0.23㎍/kg?day, 일반인 0.46㎍/kg?day (JECFA & IOMC)
※ 임산부(임신예정 여성포함), 어린이(1~12세), 일반성인(13세 이상) |
○ 다만, 민물고기를 즐겨 섭취하는 애호가 및 임산부 등 민감계층의 경우에는 건강을 고려하여 일부 어종에 대해 과다한 섭취는 자제할 필요가 있음을 당부하였다.
<주2회이상 섭취시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구분 |
섭취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
임산부 |
쏘가리, 참몰개, 치리. 베스, 강준치, 끄리, 꺽저기 |
12세 이하 |
쏘가리 |
일반성인 |
제한 없음. 다만 민물고기 애호가의 경우 섭취량 유의 |
※ 이는 측정된 어패류 종류별 전국 기하평균 농도와, 1회 섭취시 평균 섭취량, 수은 일일 허용 섭취량을 고려하여 산출한 것임
《 태안지역 어패류 중금속농도 》
□ 이와 함께 환경부는 생태노출평가 체계 구축을 위하여 어패류 모니터링 지침 마련을 추진해 왔으며, 이에 따라 유류오염 사고가 발생했던 태안지역의 어패류 중 중금속을 분석하였다.
○ 한국해양연구소의 협조로 ‘07.11~’08.8월까지 채집된 총 33종 228개의 태안지역 어패류 시료를 분석한 결과,
- 사고해역 어패류의 평균 총수은 농도는 어류 29.98±36.09 ㎍/㎏, 패류 13.28±8.60 ㎍/㎏로 기존 연안 어패류의 수은농도와 유사한 수준이며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어패류 내 수은농도의 특별한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태안의 주요 서식종인 굴을 대상으로 체내 금속 원소(총수은 및 금속 9종) 농도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에 따른 체내 금속농도에는 큰 차이점은 없었다.
※ 9종 금속 : 크롬, 니켈, 구리, 비소, 셀레늄, 카드뮴, 납, 바나듐, 망간
《 향후 계획 》
□ 환경부는 이번 조사로 전국 규모의 대표성 있는 수계별 환경 및 어패류 수은 농도의 기준자료 확보와 함께, 전국 중권역별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및 어패류 모니터링 지침을 마련하였으며,
○ 어패류 수은농도 분포지도 및 지역별 · 종별 섭취 가이드라인을 환경보건포털(http://nche.nier.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 또한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은의 주요 발생원, 환경 중 거동 및 노출경로 파악을 위한 추가조사와 함께,
○ 다이옥신, PCBs 등 조사대상 항목을 확대하여 장기적으로 “국가 유해물질 생태모니터링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문의 : 환경보건정책과 이지현 사무관(02-2110-69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