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남강댐 수위 상승은 주민 생명 위협"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9.01.30 14:10
진주시, 국토부 등에 재검토 건의문
(진주.사천=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홍수통제능력이 떨어지고 환경이 파괴돼 결국 주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게 됩니다. 반대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경남 진주 남강댐 인근 지역 주민들이 국토해양부의 댐 물 부산공급계획은 표면적으로는 국민끼리 좋은 물을 나눠 먹자는 것이지만 자신들에게는 심각한 생존권문제라며 반대 여론이 갈수록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진주시와 사천시, 산청군 등 남강댐 인근 7개 지방자치단체와 해당지역 주민들은 국토해양부 등에 남강댐 물 부산공급계획을 반대하는 건의문을 전달하고 기자회견을 갖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진주시 상하수도사업소 관계자는 30일 "국토해양부의 계획대로 남강댐의 운영수위가 41m에서 45m 높아지면 계획홍수위(홍수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가 46m인 남강댐의 홍수통제능력이 극히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남강댐과 연결된 경호강 등 하천은 대부분 급류여서 완만한 소양강 등과는 달리 우기때 물의 도달시간이 짧기 때문에 남강 상.하류지역이 침수될 수 밖에 없다"며 "국토해양부에서 홍수를 막기 위해 차수벽 등을 설치키로 했지만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운영수위가 높아져 남강댐의 유역면적이 넓어지면 안개가 발생하는데다 수몰로 인한 생태계 파괴로 딸기 등 농작물 재배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된다"며 "농민들은 농작물 피해로, 주민들은 침수에 인해 각각 생존권 위협을 받게된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진주시는 상하수도사업소장을 반장으로 5개 분야별로 구성된 실무종합대책반을 구성하고 남강댐 상.하류지역 주민들이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분야별로 실무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개발연구원 3개 기관에 부산 물 공급계획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건의공문을 보냈다.
진주시는 건의공문에서 "남강댐 인근 주민들은 지난 68년 남강댐 완공이후 태풍 등 천재지변으로 농지침수, 농작물 경작 불편, 환경피해 등 수차례 피해를 봤으며 이러한 환경 및 재난피해에 대한 남강댐 인근 주민들의 피해의식은 단순히 물 공급차원에서만 검토 될 사안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또 "남강댐 운영수위 조정은 많은 문제점이 도출돼 현재 대책만으로는 재난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진주시의 판단"이라며 "남강댐 물 부산공급을 절대 반대하며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남강댐 운영수위 상승조정을 반대하는 것은 남강댐 물이 방류되는 사천시도 마찬가지이다.
사천시 지역개발국 관계자는 최근 남강댐관리단이 시청 내 회의실에서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사업 설명회'를 열고 "2003년 태풍 '매미' 내습때 남강댐 방류량이 증가하면서 사남면 초전마을 100여 가구가 침수되는 등 태풍때마다 침수피해를 보고 있다"며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방류량이 늘것이고 이렇게되면 마을 아래쪽 사천공단 침수는 불보듯 뻔하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난 99년 홍수조절을 위해 남강댐보강공사를 실시했지만 2002년 태풍 '루사' 내습때 초당 최대 5천여t의 물이 사천만으로 방류돼 바지락 폐사 등 100여억원의 어장피해를 봤다"며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최근 사천만에 들어선 조선소와 공단 전체가 침수돼 기하학적인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남강댐관리단 관계자는 "남강댐 물 부산공급계획에 대해 지역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홍수통제능력으로 분석돼 정부에서는 한국개발연구원에 예비타당성 조사 용역을 의뢰해 놓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침수피해와 환경변화 등 예상되는 모든 부분에 대한 충분한 대비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남강댐 물 부산공급 계획 추진사실이 알려지면서 최구식(진주 갑)국회의원과 진주시의회, 진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에서 계획 중단과 재검토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잇따라 열어 반대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shchi@yna.co.kr
(진주.사천=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홍수통제능력이 떨어지고 환경이 파괴돼 결국 주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게 됩니다. 반대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경남 진주 남강댐 인근 지역 주민들이 국토해양부의 댐 물 부산공급계획은 표면적으로는 국민끼리 좋은 물을 나눠 먹자는 것이지만 자신들에게는 심각한 생존권문제라며 반대 여론이 갈수록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진주시와 사천시, 산청군 등 남강댐 인근 7개 지방자치단체와 해당지역 주민들은 국토해양부 등에 남강댐 물 부산공급계획을 반대하는 건의문을 전달하고 기자회견을 갖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진주시 상하수도사업소 관계자는 30일 "국토해양부의 계획대로 남강댐의 운영수위가 41m에서 45m 높아지면 계획홍수위(홍수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가 46m인 남강댐의 홍수통제능력이 극히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남강댐과 연결된 경호강 등 하천은 대부분 급류여서 완만한 소양강 등과는 달리 우기때 물의 도달시간이 짧기 때문에 남강 상.하류지역이 침수될 수 밖에 없다"며 "국토해양부에서 홍수를 막기 위해 차수벽 등을 설치키로 했지만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운영수위가 높아져 남강댐의 유역면적이 넓어지면 안개가 발생하는데다 수몰로 인한 생태계 파괴로 딸기 등 농작물 재배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된다"며 "농민들은 농작물 피해로, 주민들은 침수에 인해 각각 생존권 위협을 받게된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진주시는 상하수도사업소장을 반장으로 5개 분야별로 구성된 실무종합대책반을 구성하고 남강댐 상.하류지역 주민들이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분야별로 실무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개발연구원 3개 기관에 부산 물 공급계획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건의공문을 보냈다.
진주시는 건의공문에서 "남강댐 인근 주민들은 지난 68년 남강댐 완공이후 태풍 등 천재지변으로 농지침수, 농작물 경작 불편, 환경피해 등 수차례 피해를 봤으며 이러한 환경 및 재난피해에 대한 남강댐 인근 주민들의 피해의식은 단순히 물 공급차원에서만 검토 될 사안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또 "남강댐 운영수위 조정은 많은 문제점이 도출돼 현재 대책만으로는 재난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진주시의 판단"이라며 "남강댐 물 부산공급을 절대 반대하며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남강댐 운영수위 상승조정을 반대하는 것은 남강댐 물이 방류되는 사천시도 마찬가지이다.
사천시 지역개발국 관계자는 최근 남강댐관리단이 시청 내 회의실에서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사업 설명회'를 열고 "2003년 태풍 '매미' 내습때 남강댐 방류량이 증가하면서 사남면 초전마을 100여 가구가 침수되는 등 태풍때마다 침수피해를 보고 있다"며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방류량이 늘것이고 이렇게되면 마을 아래쪽 사천공단 침수는 불보듯 뻔하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난 99년 홍수조절을 위해 남강댐보강공사를 실시했지만 2002년 태풍 '루사' 내습때 초당 최대 5천여t의 물이 사천만으로 방류돼 바지락 폐사 등 100여억원의 어장피해를 봤다"며 "남강댐 운영수위가 높아지면 최근 사천만에 들어선 조선소와 공단 전체가 침수돼 기하학적인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남강댐관리단 관계자는 "남강댐 물 부산공급계획에 대해 지역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홍수통제능력으로 분석돼 정부에서는 한국개발연구원에 예비타당성 조사 용역을 의뢰해 놓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침수피해와 환경변화 등 예상되는 모든 부분에 대한 충분한 대비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남강댐 물 부산공급 계획 추진사실이 알려지면서 최구식(진주 갑)국회의원과 진주시의회, 진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에서 계획 중단과 재검토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잇따라 열어 반대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shchi@yna.co.kr
반응형
'3. Sciences > 34_Hydr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대강+13개하천'으로 확대… 용수(用水)·홍수조절 능력 키운다 (0) | 2009.06.10 |
---|---|
李대통령 "4대강살리기 단순토목공사 아니다" (0) | 2009.01.31 |
[동아사이언스] 석면 완전 퇴출 (0) | 2009.01.22 |
함병호 노동부 안전보건지도과 사무관 (0) | 2009.01.21 |
'녹색'을 남발하는 정책 (0) | 200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