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0. 韓山李氏/01_韓山 李氏

牧隱先生文集(牧隱集)

忍齋 黃薔 李相遠 2015. 11. 20. 04:13
반응형




李穡, 1328年(高麗 忠肅王15)~1396年(太祖5)

1. 목은시고(牧隱詩藁)
저자: 이색(李穡)
간행년: 1626
판본: 목판본
권수: 35 권
序·編·跋 저자集序-權近(1404)․李詹(1404)

2. 목은문고 (牧隱文藁)
저자: 이색(李穡)
권수: 20 권
序·編·跋 저자牧隱詩精選序-徐居正, 文獻書院記-李恒福, 跋-李德洙(1626)


1. 牧隱詩藁

祭文
牧隱先生年譜
行狀
碑銘
牧隐詩稿卷一
牧隐詩稿卷二
牧隐詩稿卷三
牧隐詩稿卷四 詩
牧隐詩稿卷五
牧隐詩稿卷六
牧隐詩稿卷七
牧隐詩稿卷八
牧隐詩稿卷九
牧隐詩稿卷十
牧隐詩稿卷十一
牧隐詩稿卷十二
牧隐詩稿卷十三
牧隐詩稿卷十四
牧隐詩稿卷十五
牧隐詩稿卷十六
牧隐詩稿卷十七
牧隐詩稿卷十八
牧隐詩稿卷十九
牧隐詩稿卷二十
牧隐詩稿卷二十一
牧隐詩稿卷二十二
牧隐詩稿卷二十三
牧隐詩稿卷二十四
牧隐詩稿卷二十五
牧隐詩稿卷二十六
牧隐詩稿卷二十七
牧隐詩稿卷二十八
牧隐詩稿卷二十九
牧隐詩稿卷三十
牧隐詩稿卷三十一
牧隐詩稿卷三十二
牧隐詩稿卷三十三
牧隐詩稿卷三十四
牧隐詩稿卷三十五

2. 牧隱文藁

牧隐文稿卷一
牧隐文稿卷二
牧隐文稿卷三
牧隐文稿卷四
牧隐文稿卷五
牧隐文稿卷六
牧隐文稿卷七
牧隐文稿卷八
牧隐文稿卷九
牧隐文稿卷十
牧隐文稿卷十一
牧隐文稿卷十二
牧隐文稿卷十三
牧隐文稿卷十四
牧隐文稿卷十五
牧隐文稿卷十六
牧隐文稿卷十七
牧隐文稿卷十八
牧隐文稿卷十九
牧隐文稿卷二十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이다. 이 책은 시문류와 산문류를 엄격히 구분해 편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권수에 권근(權近)·이첨(李詹)의 서문, 연보·교서(敎書)·행장·신도비명(神道碑銘)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시고목록(詩稿目錄)과 문고목록(文稿目錄)이 별책으로 구분, 정리되어 있다. 시고 권1∼35까지는 사(辭)·조(操)·소부(小賦) 그리고 시 8,000여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양과 질에서 고려조에 유일한 대가로 평가할 만하다. 시에서는 근체·고체·오언·칠언 등 각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있으며, 악부체(樂賦體) 또한 후인이 미치지 못할 만큼 절묘하게 구성하고 있다. 문고 권1∼6에 기(記) 75편, 권7∼9에 서(序) 39편, 권10에 설(說) 21편, 권11∼13에 표(表) 22편, 찬(讚) 11편, 잠(箴)·전(箋)·변(辨)·작(作)·후(後)·발(跋) 등 33편, 권14∼20에 비(碑)·명(銘)·전(傳) 등 3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색의 문장은 시와 같이 중국에서 한림(翰林) 벼슬을 한 경력과 능력으로 육경(六經)과 제자서(諸子書)를 두루 구사, 원용했으며, 변려문(騈儷文)보다는 산체(散體)를 잘 지었다. 이색의 시문은 문학 작품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말의 지식인 사회와 정치 상황을 알아보는 사료로서도 귀중하다. 문고 권20의 기·서·표·전 등은 당시 이색이 교유한 지식인과 정치 담당자들의 전기적 자료가 대부분이다. 정치·사회에 관한 원천적 사료라 할 수 있다. 이미 ≪고려사≫의 기본자료로 활용된 바 있다. 이색은 스스로 불교와는 인연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지만, 많은 사찰기, 승려들의 비문 등은 이색의 교우관계에 대한 폭을 알게 한다. 이 기록들은 불교에서 유교로 전향되는 과도기적인 사상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