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반응형

0. 韓山李氏 906

(10世) 한산이(韓山李)씨 9代孫 (목은4세, 牧隱3代孫) 망월암공(望越庵公) 이축(李蓄)

https://youtu.be/T_4eSTuSle4 (10世) 9代孫(목은4세,牧隱3代孫) 망월암공 (望越庵公) 이 축 (李 蓄, 1402년태종2년~1473성종4,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은 광목공 이숙야의 1남2녀중 외아들로 자는 윤보(潤甫)입니다. 부인은 이천서씨로 밀직사를 지낸 서원의 손녀이며 형조판서를 지낸 공도공 해화당 서선의 따님입니다. 슬하에 1남1녀를 두셨습니다. 1417년, 16세에 계성전직 제수되고 사선주부 거쳐 광주판관, 사헌부감찰, 호조좌랑 및 정랑, 전농시소윤, 사헌부장령, 지사간원사, 판선공감사, 봉상시사,첨지중추부사 겸 지병조사, 이조참의를 지냈습니다. 1453년(단종1) 황해도 관찰사,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으며 정세가 혼란해지자, 이 해 9월에 ..

(11世) 한산이(韓山李)씨 10代孫 (목은5세, 牧隱4代孫)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

https://youtu.be/cf3yvsFNzoM (11世) 10代孫(목은5세,牧隱4代孫) 안소공(安昭公) 이 훈 (李 塤, 1429세종11~1481성종12, 은지 불천위 사당)은 이축의 외아들로 초명은 서(墅), 자는 화백(和伯), 도옹(賭翁)이고 시호는 안소(安昭)입니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장모는 예성부부인 해주정씨입니다. 슬하에 2남3녀를 두셨습니다. 1439년(세종21) 11세나이로 관직에 나가 수년내에 정3품 제용감•군자감의 판사를 거쳐 판전농시사가 되고, 1460년 공조참의, 1462년 한성부윤•형조참의를 역임하였습니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가 함경도에서 난을 일으키자 토평대장이 되어 적의 진로을 차단하였습니다. 1468년(세조14) 경기관찰사되어 선정을 배풀었고..

(12世) 한산이(韓山李)씨 11代孫 (목은6세, 牧隱5代孫) 공편공(恭編公) 이유청(李惟淸)

https://youtu.be/fhwkuYXPeSU (12世) 11代孫(목은6세,牧隱5代孫) 공편공(恭編公) 이유청 (李惟淸, 1459세조5~1531중종26)은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의 2남3녀중 장남으로 자는 직재(直哉)입니다. 부인 이씨와의 사이에 4남을 두셨습니다. 1486년(성종 1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표연말(表沿沫), 유숭조(柳崇祖) 등과 사유(師儒)로 선발되었습니다. 1491년 지평이 되고 1493년 장령에 승진하였습니다. 1494년 연산군이 즉위한 뒤 다시 지평으로 강등되었다가 1497년(연산군 3)집의에 올랐습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온건하게 처리하려다가 배척되어 영서도찰방(迎曙道察訪)으로 좌천되었습니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다시 연루되어 장(杖)10..

(13世) 한산이(韓山李)씨 12代孫 (목은7세, 牧隱6代孫) 집의공(執義公) 이언홍(李彦洪)

https://youtu.be/x_pLXk35MOw (13世) 12代孫(목은7세,牧隱6代孫) 집의공(執義公) 이언홍 (李彦洪, 1479成宗10己亥~1546明宗1丙午7월23일,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은 공편공(恭編公) 이유청과 목사 아령의 딸 경주이씨 사이에서 4남3녀중 차남으로 형 이언호는 사헌부 대사헌을 동생등은 세자익위사 죄익위를 지낸 이언식, 이언만이고 매부들은 한성부 판윤을 자냔 허흡과 호조판서를 지낸 공무공 장언량이 매부로 자(字)는 치천(穉川)입니다. 부인은 충주목사 권자후의 딸 안동권(權)씨이고 슬하에 2남 무주현감을 지낸 이소(李沼)와 충좌위호군을 지낸 이계(박)(李泊)을 두셨습니다. 압구정 한명회의 외동아들 양호공 한보의 처조카. 중종(中宗) 정축(丁丑)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

(14世) 한산이(韓山李)씨 13代孫 (목은8세, 牧隱7代孫) 통훈대부(通訓大夫) 이계(李洎)

https://youtu.be/T2kwUW_bMsU (14世) 13代孫(목은8세,牧隱7代孫) 이 계 (李 洎,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는 집의공(執義公) 이언홍(李彦洪) 2남중 장남으로 증손(曾孫) 이태연(李泰淵)의 귀(貴)로 증(贈) 통훈대부 사헌부(司憲府) 어회장군 행(行) 충좌위(忠佐衛) 호군(護軍) 집의(執義) 봉정대부(奉正大夫)에 추증되었습니다. 자(字)는 계지(水+自之)이고 부인은 관(官), 배(配) 숙인(淑人) 평산신씨(平山申氏)로 부사(府使) 신윤형(申胤衡)의 여(女)식입니다. 슬하에 5남을 두셨습니다.

(15世) 한산이(韓山李)씨 14代孫 (목은9세, 牧隱8代孫)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https://youtu.be/2BwvkH-Gzm0 한산이씨 15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14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년 음력 5월20일~1396년 5월20일) 선생의 목은8대손, 묵은9세(牧隱9世)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1528 중종23년 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 6일) 선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계흐름도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5세 선조이자 목은9세이신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1528 중종23년 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 6일) 어른의 위치를 살펴보겠습니다. . 이회(李澮) 선조님은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 선조님의 고손자이고 공편공(恭編公) 이유청(李惟淸) 선조님의 증손..

(16世) 한산이(韓山李)씨 15代孫 (목은10세, 牧隱9代孫)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https://youtu.be/wfSdQexuezM https://youtu.be/wM72oy3IsnA 18. 한산이씨(韓山李氏) 16세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 광해로 부터 인조의 목숨을 지킨 공신! . 한산이씨 16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15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 이덕기(李德沂) 선조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계흐름도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6세 선조이자 목은10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조님의 목은9대손, 묵은10세(牧隱10世)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

(17世) 한산이(韓山李)씨 16代孫 (목은11세, 牧隱10代孫) 안성군수(安城郡守) 이충연(李沖淵)

https://youtu.be/dpFMly8owx0 3-(17世) 16代孫(목은11세,牧隱10代孫) 이충연 (李沖淵, 1600선조경자년2월2일~1645을유년9월11일)은 좌승지 이덕기 또는 이덕소 (李德沂 또는 李德泝)의 6남1녀중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부인은 여흥민씨와 파평윤씨(坡平尹氏)이고 슬하에 6남1녀를 두셨습니다. 벼슬은 안성군수와 행금화현령(行金化縣令) 그리고 통훈대부(通訓大夫)를역임하였습니다. 안성군수시절 후손들이 안성군 성은리에 자리를 잡아 한산이씨 집성촌을 이루었습니다. 장손인 형 이중연(李重淵, 묘지: 은지첨산隱池砧山)이 자손이 없어 차남인 이충연(李沖淵)의 장남 흠직欽稷을 양자로 보내 종손을 잊도록 하셨습니다. 후일 둘째 아드님 이창직 (李昌稷)의 5대손 이원효 또는 이필재 (李源孝..

(18世) 한산이(韓山李)씨 17代孫 (목은12세, 牧隱11代孫) 이창직(李昌稷)

https://youtu.be/vNAbc-M5gYQ 4-(18世) 17代孫(목은12세,牧隱11代孫) 이창직(李昌稷, 인조계유癸酉1633년2월2일~1700경진11월15일)은 자는 우경(虞卿)으로 안성군수를 지낸 이충연(李沖淵)의 6남1녀중 차남입니다. 부인 경주최씨와의 사이에 아들 셋을 두셨습니다. 삼남이 임실현감과 병마절도사를 지낸 사범(士範) 이수해입니다. 19세(효종孝宗2년 1651)에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진사시 3등(三等) 65위에 오르고 사마시 장원을 했습니다. 자손이 없는 백부 이중연(李重淵)에게 양자를 간 생형은 이흠직(李欽稷)이고 서제(庶弟)로는 이문직(李文稷)과 이도직(李道稷)이 있습니다. 부인, 경주최씨(열녀) “한산이씨(韓山李氏) 이창직(李昌稙)의처다. 남편이 기이한..

(19世) 한산이(韓山李)씨 18代孫 (목은13세, 牧隱12代孫) 임실현감 이수해(李秀楷)

https://youtu.be/KoN4BeeW0gE 5-(19世) 18代孫(목은13세,牧隱12代孫) 이수해(李秀楷, 1679숙종기미년4월2일~1756영조을유년2월21일)는 우경(虞卿) 이창직 (李昌稷)의 3남중 3남으로 자는 사범(士範)입니다. 부인은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고 슬하에 3남1녀를 두었으며 차남이 상주영장을 지낸 중술(仲述) 이사목입니다. 벼슬은 정랑(正郞)을 시작으로 임실현감(任實縣監)과 신녕현감(新寧縣監, 1727~1731) 그리고 통훈대부를 거처 종2품 병마절도사에 이르렀습니다. [[이수열(李秀烈, 묘지: 안성군 금광 사흥리 석암동, 이흠직李欽稷의 4남3녀중 차남)]] 이수열(李秀烈) 출전은 만가보(萬家譜, http://kostma.aks.ac.kr)

(20世) 한산이(韓山李)씨 19代孫 (목은14세, 牧隱13代孫) 상주영장(尙州營將) 이사목(李思牧)

https://youtu.be/wNfZjwtAgHA 6-[1] (20世) 19代孫(목은14세,牧隱13代孫) 이사목(李思牧, 1693숙종계유년11월17일~1775영조을미년10월5일, 묘지: 始興시흥 黔之山금지산)은 사범(士範) 이수해(李秀楷)의 3남1녀중 차남으로 자는 중술(仲述)입니다. 벼슬은 통덕랑(通德郞)을 시작으로, 부호군(副護軍), 승지(承旨), 인동부사(仁同府使 1723), 오위장(五衛將 1724)을 거처 종2품 상주영장(尙州營將 1725)에 이르렀습니다. 부인은 안동 권씨(安東 權氏)와 죽산 안씨(竹山 安氏)입니다. 슬하에 자식은 1남4녀를 두었고 외아들 이규첨은 연산군수를 지내다 업무중 사고를 당하여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하여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참고1) 이규욱(李奎稶)의 아..

(21世) 한산이(韓山李)씨 20代孫 (목은15세, 牧隱14代孫) 연산군수(蓮山郡守) 이규첨(李奎瞻)

https://youtu.be/FAjc6ns2-_I 7-[2] (21世) 20代孫(목은15세,牧隱14代孫) 이규첨(李奎瞻, 1741영조신유년~1802순조임술년7월14일, 묘지: 東道羅之亥坐)은 중술(仲述) 이사목 (李思牧)의 1남4녀중 외아들로 자는 동보(東甫)입니다. 벼슬은 연산(連山)郡守를 지냈으며, 부인은 광산 김씨 (光山 金氏)입니다. 순조실록 4권, 2년(1802 임술 / 청 가경(嘉慶) 7년) 7월 20일(무자) 3번째기사에, " 【제목】충청 감사가 연산현의 백성이 본관을 칼로 찔러 죽인 일을 아뢰다. 【보고자】김양수 【출판일】1795년5월23일 【내용】충청 감사 조석중(曹錫中)이 연산현(連山縣)의 백성 전호길(全好吉)이 본관(本官) 이규첨(李奎瞻)을 칼로 찔러 죽이고 전호길도 또한 곧 바로 ..

(22世) 한산이(韓山李)씨 21代孫 (목은16세, 牧隱15代孫) 절충장군(折衝將軍) 이원재(李源載)

https://youtu.be/qoT11UGHWgw 8-[3] (22世) 21代孫(목은16세,牧隱15代孫) 이원재(李原載, 1793정조계축년2월3일~1850경술년3월25일, 묘지: 水原東北面石隅降基子坐)는 연산군수 제직중 사고사 하여 자손을 두지 못한 동보 이규첨에게 양자를 오셨습니다. 생부는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이규욱(李奎稶)입니다. 슬하에 아들 이원효 또는 이필재 (李源孝 또는 李弼在)를 두었으나 손주를 보지못해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의재 (아들 이원기) 손주 이승태를 양손자로 받아 손을 이었습니다. 벼슬은 문과(文科) 정언(正言), 절충장군 (折衝將軍)에 이르렀고 부인은 여흥 민씨(驪興 閔氏, 묘지: 시흥소박산)입니다. [[이의재(李懿載, 묘지: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태봉하갑좌, 이규동..

(23世) 한산이(韓山李)씨 22代孫 (목은17세, 牧隱16代孫) 필재(弼在) 이원효(李源孝)

https://youtu.be/-gD3cuMP9Qs 9-[4] (23世) 22代孫(목은17세,牧隱16代孫) 이원효 또는 이필재(李源孝 또는 李弼在, 1815년9월7일~1887년12월24일, 묘지: 水原茂台洞子坐)는 이원재의 외아들로 문과(文科) 첨정(僉正)을 지냈습니다. 부인은 경주 정씨(慶州 鄭氏)로 슬하에 후손이 없어 이윤경의 15代孫(목은10세,牧隱9代孫)으로 태인현감 이덕기(李德沂)의 장자 이중연 (李重淵)의 후손 이원기(李源基,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산14-1, 이의재李懿載의 2남중 차남)의 5남3녀중 5남 이승태(李承台)를 양자로 받아 대를 이었습니다. 이원기(李源基)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원기 묘지 참고: 안성 성은리 원기 할아버지 성묘 2015년 +++

(24世) 한산이(韓山李)씨 23代孫 (목은18세, 牧隱17代孫)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 이승태(李承台)

https://youtu.be/JwlBpA5Uqf8 [마지막 진사시] 고종(高宗) 31년(189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784위(813/1055) 10-[5] (24世) 23代孫(목은18세,牧隱17代孫) 이승태(李承台, 묘지: 수원 동탄면 석우리, 1832년10월25일~1924년2월24일)는 안성 성은리 원기의 5째 아들로 아들이 없는 동탄 석우리 이원효(필재)에게 양자(외아들)를 왔습니다. 부인은 여주 이씨(驪州 李氏)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슬하에 5남 6녀를 두어 충직, 송직, 만직 3 아들을 일가 후손없는 집안에 양자를 보냈고 첫째 명직과 막내 성직을 키웠습니다. 호는 오산(梧山)이고 고종(高宗) 24년(1887)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와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

(25世) 한산이(韓山李)씨 24代孫 (목은19세, 牧隱18代孫) 성우공(性祐公) 이명직(李命稙)

https://youtu.be/7-qAlQQM_rU 11-[6] (25世) 24代孫(목은19세,牧隱18代孫) 성우공(性祐公) 이명직(공문서상 식으로도 기제, 李命稙 혹은 李明稙(?) (공문서상 '이명식'으로도 기제한 이유는 공무원들이 한자 직稙자를 식植자로 잘못 인식하여 한글 토지대장에 식으로 기재된 것임), 乙丑1865년1월11일~乙卯1915년9월7일, 수원 동탄면 석우리)은 오산(梧山) 이승태(李承台)의 5남6녀중 장남으로 태어난 조선의 과거제가 갑오경장으로 폐지된 후 마지막 진사시인 갑오식년시에 3등으로 입격하여 탁지아문 주사로 관직에 들었습니다. 1904년 종2품 내장원경, 1906년 9월 18일 종2품 규장각직학사(奎章閣直學士)에 임명되었고, 1907년에 종1품(하) 숭정대부 궁내부특진관(崇政大..

(26世) 한산이(韓山李)씨 25代孫 (목은20세, 牧隱19代孫) 농공상부(農商工部) 금광국(金鑛局) 기수(技手) 이철규(李喆珪)

https://youtu.be/MtDKyGOmdOg 12-[7] (26世) 25代孫(목은20세,牧隱19代孫) 이철규(李喆珪, 丁亥1887년11월22일~己未1919년10월6일, 수원 동탄면 석우리)는 성우공 이명직의 3남중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1907년 농상공부 광상조사기수교습소를 수업하고 대한제국 농상공부 금광국 기수(農商工部 金鑛局 技手)로서 해외 열강의 조선 잠식이 시작되던 그 혼란기에 조선의 금광등을 관리 하던 중책을 맡고 노심초사 했고 1914년 평안북도 희천군 동면 면장을 지냈다. 1916년 충청북도 청주군 노은면 문성금광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1919년 고종죽음에 의문을 제기하다 일제에 부친 이명직과 4년 사이로 참살당한 애국지사였습니다. 부인 영일 정씨(迎日 鄭氏) 사이에서는 만주국 농림..

(27世) 한산이(韓山李)씨 26代孫 (목은21세, 牧隱20代孫) 滿州國 興農部 米穀檢査官 李成求

https://youtu.be/tVlDRGSl1eA 13-[8] (27世) 26代孫(목은21세,牧隱20代孫) 이성구 (李成求, 1908년9월18일~1981년11월23일, 화장)는 구한말 농상공부 금광국 기수를 지내던 애국지사 이철규의 2남중 장남으로 경기도 수원군 동탄면 석우리에서 태어나 생모 영일정씨는 산후조리가 잘못되어 1살에 돌아가시고 7살에 조부가 독살당하고 11살의 나이에 일본헌병에게 부친이 참살당하는 변을 당하여 천애고아가 되었습니다. 그 후 새로생긴 수원태장보통학교와 수원고등농림학교(해방후 서울농대와 병합)를 나와 만주국 흥농부 미곡검사관(滿洲國 興農部 米穀檢査官)을 지냈으며 독립군에게 군자금을 조달한 독립지사였습니다. 부인은 순창조씨(淳昌 趙氏, 1909년2월7일~1975년8월9일, 화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