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
반응형

0. 韓山李氏 906

소련 육사 출신 이봉섭 선생의 아들 이현계 선생

[이 한 장의 사진] . 이 사진속 인물은 전북 임실군 운암면 내맛리 출신으로 러시아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시아군 비행 장교를 지낸 이봉섭 선생님의 아드님으로 대한민군 공군창설의 주역중의 한 분인 이현계 선생님 입니다. 내맛리에서 독립군에게 군자금을 보내던 배보 할아버지로 불리던 제 외증조할아버지(보굉 이봉욱 선생)의 동생분의 아드님입니다. . 이현계 선생의 아버님인 이봉섭 선생님은 스탈린이 아끼던 장교였습니다. 그 인연으로 조선공산당 3차 책임 비서 겸 재무담당인 지운 김철수 선생님과 스탈린의 만남을 주선하여 조선공산당이 코민테른의 지원자금 40만 원을 받았습니다. 그 40만 원은 공산혁명에 쓰이지 않고 독립자금으로 전용되었습니다. .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은 곳은 무장투쟁을 전개하던 김원봉의 의열..

yelling and struggling while going back to May in 1980

I would wake up as suffering a nightmare from my traumatic experience, a torture which happened 36 years ago. I myself am fine with this sleep terrors but I feel very sorry for my wife who has stood to watch this horrific scene for decades. on April 14th, I was screaming in a seizure as being back to the moment of May 1980 in my dream. As usual, she took a picture of me in sleep terrors and show..

이색묘지(李穡墓誌) 금석문 - 특진보국숭록대부 한산백 목은선생(特進輔國崇祿大夫 韓山伯 牧隱先生)

목은 이색선생 비석은 문헌 서원 부근에 있습니다. 처음 비석은 세종 15년(1433년)에 세웠으나, 조선 현종 7년 병오에 다시 세웠습니다. 처음 비문의 찬자는 하륜(河崙)인데, 비문의 글씨를 쓴 사람은 공부(孔俯)라고 합니다. 제액을 쓴 사람은 알 수 없습니다. 다시 세울 때는 송시열(宋時烈)..

울릉도에서 보이는 독도 - 아계 이산해 「울릉도설(蔚陵島說)」

- 아흔일곱 번째 이야기 2016년 4월 27일 (수)울릉도에서 보이는 독도 우리는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도서(附屬島嶼)라고 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그런데 부속도서라는 말에는 이미 영유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영유의식이 영유권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

국제신문 [이종복의 뉴욕 통신] 서로 기대어 살 수 있는 조건

이종복 국제신문 2016-04-21 본지 13면 지난달 25일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가 한 장의 사진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렸다. 저커버그가 그의 딸 맥스를 안고 분유를 먹이는 장면이었다. 그 사진은 '오늘의 가장 중요한 미팅'이라는 제목에 'LeanTogether'(서로 기대어)라는 해시태그가 붙..

[살인마 전두환 처형 민속놀이]

. 여러분은 제가 진짜로 여러분이 살인마 전두환이를 짱돌과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참담함을 보며 같은 놈의 몰골이 되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학 시절 고시를 목표로 공부하면 고시는 못되어도 유학이라도 갔고, 유학을 목표로 공부하면 취직시험에라도 붙었습니다. 그런데 취직시험 준비만 하던 이들은 취직시험에 떨어져 백수 신세를 면치 못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 제가 20년 넘게 [‪#‎살인마‬ ‪#‎전두환‬ 을 처형(處刑)하라! 한 손엔 몽둥이 한 손엔 짱돌을 움켜쥐고 연희동(延禧洞)으로 몰려가 살인마(殺人魔) 전두환(全斗煥)을 주살(誅殺)하라!!] 떠드니 제발 그러지 말라며 스멀스멀 올라오던 살인마 전두환의 숭배(?) 열기에 찬물을 끼얹고 지금은 까막소에 있는 파면된 박근혜도 대통령(?) 시절에 ..

한산이씨 시조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 묘소의 주소

한산이씨 시조 호장공 이윤경의 묘지 한산이씨 시조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 묘소의 주소는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산 2-1 (우) 325-844 입니다. 좌측에 건지산이 있고 바로 오른쪽은 한산면 사무실입니다. 묘소 바로 뒤 나지막한 건지산을 지나면 기린 뿔 같은 쌍봉이 튀어나온 기린봉을 만나고, 더 올라가면 청등산(261m)과 노고단(229m)이 이어진다는 군요. 그 곳을 지나면 원진산(270m)의 호서정맥을 만납니다. 호서정맥은 속리산(1058m)에서 백두대간을 만난다지요. 후손이라는 것들이 겨란 3개 어쩌고 하면서 일제시대에 역사말살 정책에 일조하는 기록을 떡하니 붙처놓앗다는게 한심합니다. 기록의 역사를 전설화 시키는 이마니시의 식민사관에 놀아난 꼴입니다. 묘소 앞에는 3기의 고분이 있습니다. 한산..

한산이씨 시조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 묘소의 주소

​ 한산이씨는 충청남도 서천을 본관으로 한다. '한산'은 서천의 옛 지명이다. 시조는 고려의 호장(戶長) 윤경(允卿)이며, 중시조는 목은(牧隱) 색(穡)의 아버지 곡(穀)이다. 곡은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당대의 대문장이며 경학(經學)의 대가이다. 그는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 원(元)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여 정당문학을 거쳐 도첨의찬성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색도 역시 이제현의 문인으로 고려 말의 석학이며 대유로서 원나라 제과에 급제, 공민왕 때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그의 문하에서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 등의 학자와 명신이 배출되어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밖에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개(塏), 선조 때의 대문장인 산해(山海) 등을 들 수 있다. 한산이씨는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대곡(오타니,大谷)대학교 박물관 소장 목은 이색 고려대장경(高麗大蔵経) 판본

고려말 1381년(우왕 7)에 제 선조 할아버님 중에 한 분이신 목은 이색 선생의 주도하에 간행한 대장경 판본이 있습니다. 목은 이색 선생이 1396년(태조 5)에 한 많은 생을 마감하신 여주 신륵사에 이 대장경 판본을 보관하다 1414년(태종 14)에 태종이 일본 왕에게 선물로 보낸 것으로 ‘태종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