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가 걸어온 길 주류 안의 비주류.조성범 | 2003.09.25 .영원한 비주류’ 김근태의 인생은 엄밀히 말해 언제나 비주류였던 동시에 주류였다고 할 수 있다. 김근태는 1947년 소사(지금의 부천)에서 태어난 이후 국민학교 교장이었던 부친의 전근 때문에 평택과 양평에서 네 곳의 국민학교를 옮겨가며 다녀야 했..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2.10
건빵 맛이 변화됐는데도 "여전하다"고 한 그의 미각 안양교도소 죄수 번호 5046번 '한라산 필화사건'의 '산하 이상백 시인'이 1988년 6월 11일 작성한 항소이유서 말미에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가 적혀 있었다. 담당 공안검사는 건빵 맛이 '여전하다.'라던 현 대통령권한대행 국무총리 황교안. 밀가루와 소금으로 만들었던 그 옛날 건빵과 버터,..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2.08
최순실 사태에 입 연 DJ의 연설비서관 고도원 "대통령 뱃속에 5년간 들어갔다 나왔더니 내가 대통령 같더라”김대중 정부 시절 5년간 연설비서관으로 근무했던 고도원 이사장.청와대 퇴임 후 그는 아침편지를 통해 360만명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며 오랫동안 침묵해왔다.그런 그가 드디어 최순실 사태에 대해 입을 열었다.김민희 주간..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2.07
촛불집회 촛불집회는 문재인이 대통령 집권놀이 하라고 국민들이 만든 판이 아니라 박근혜를 탄핵하고 처벌하라는 국민들의 간절한 열망이다. 촛불집회를 이용하여 사리사욕을 체우려는 자 천벌을 면히 못하리라!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2.07
[치욕의 전문] 박근혜 대통령이 제출한 '세월호 참사 당일 7시간 행적' 답변서 권선미 기자2017.01.10 박근혜 대통령 측 법률 대리인단은 탄핵 심판 3차 변론 기일인 10일 ‘세월호 참사 당일 7시간 행적’에 관한 자료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다음은 박 대통령측이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 전문. 재판부 석명 사항에 대한 답변사 건 2016 헌나 1 대통령(박근혜)탄핵피청구..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1.18
2017년 1월 14일 ‘한어 병음’ 만든 중 학자 저우유광 112세로 타계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만든 저우유광 별세 [중앙일보] 2017.01.16 신경진 기자 shin.kyungjin@joongang.co.kr중국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인 한어 병음의 아버지로 불리는 언어학자·문자학자 겸 경제학자인 저우유광(周有光·사진)이 14일 지병으로 베이징에서 세상을 떠났다. 111세 생일 .. 2. Humanities/26_北韓과中國 2017.01.18
[박원순, 문재인 비판]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길찾기이다. 사회혁신가 - 2017.01.09 박원순이 문재인에 대한 날선 비판을 한 것 같다. 온라인이 아주 뜨겁다. 도가 지나칠 정도.박원순 시장은 낡은 기득권 청산을 위해서는, 정치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즉, 국정농단의 주역인 새누리당 청산 뿐 아니라, 여의도의 기득권 정치..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2017.01.11
참여정부 시즌 2가 아닌 ‘촛불공동정부’ 차기 정부는 참여정부 시즌 2가 아닌, ‘촛불공동정부’이어야만 합니다. 시간은 거꾸로 가지 않습니다. 강물은 거슬러 흐르지 않습니다. 차기 정부는 참여정부 시즌 2가 아닌, ‘촛불공동정부’이어야만 합니다. 참여정부의 한계를 뛰어넘는 제3기 민주정부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정권교..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2017.01.10
박원순 '학력', 내가 아는 진실/한인섭 교수 오마이뉴스 서울대 입학 80일 만에 감옥에 끌려간 열아홉 청년의 그 후11.10.15 오마이뉴스 l 한인섭(news). (사진1) ▲ 고등학교1학년 시절의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 박원순 .1. 1977년 1월 대학에 합격한 직후 나는 시골어른들께 인사드리러 갔다. "어디 합격했노?" "서울대 사회계열입니다." "뭐시라꼬?" "...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2017.01.10
어쩌면 지금이 대한민국에 주어진 마지막 기회일지 모른다. 박근혜의 국정농단으로 예상외로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대선이 중요하고 설레는 이유는 많다. 하긴 어느 선거인들 중요하고 설레지 않을까마는 그래도 이번 대선만큼은 대한민국 미래의 존망이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30년대, 세계를 열패감과 상실감과 공포로 몰..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2017.01.10
[이승만의 친일행적 증거 또 하나] 1920년 2월23일 이승만 전 대통령이 민찬호 호롤룰루 한인기독학원 교감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미국인 교사 손버그의 친일발언을 비판한 한인학생 7명을 거명하며 “그들을 매우 가혹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이 편지에 썼습니다.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1.05
나라가 이 지경이 된 근본적인 이유/ 역사학자 이덕일 칼럼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FACT▲일제 식민사관의 두 축인 ‘한사군=한반도설’과 ‘가야=임나’에 기초한 ‘임나일본부설’은 학문적으로 성립할 수 없는 정치선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식민사관이 광복 후 70년 이상이나 유지되고 있는 데는 우리 사회 각계에..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7.01.01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진실 김기정 연세대 교수·국제정치학 신동아 2005년 11월 호 1910년 경술국치 직후 경복궁 근정전엔 일장기가 걸렸다. [9월30일 주미대사관에 대한 국회 외교통상위 국정감사에서 재연된 맥아더 동상 철거 논란은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존재 여부를 둘러싼 한미 과거사 논란으로 번졌다. 최성 의..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6.12.20
잊혀진 역사의 조각들 ... 독립군 김경천 장군의 아버지 김정우는 35살의 늦각이 나이에 일본에 유학하고 돌아와 1900년부터 1908년까지 8년간 대한제국 육군군기창장을 지냈습니다. 러시아에서 간첩죄로 체포된 김경천 장군이 카자흐스탄 까라간다 유형소에 들어와 머리를 깎이기 전 유형소에서 찍은 사진 (1939년) ..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6.12.20
[임시정부 광복군의 마지막 임무] .1987년 광복군 김준엽은 5공 시절 권세를 누리던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의 손자이자 독립운동가 이규학과 조계진의 넷째아들 이종찬을 은밀하게 자신의 서재로 부릅니다. 그리고 마지막 임시정부 광복군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도 대한민국 건국을 임시정부로부터.. 2. Humanities/22_한국역사 2016.12.20
일본 흔든 한국 통일교, 한국 뚫은 일본 창가학회 2/2 1/2 에서 초종교 평화운동 통일교측은 종교가 불러일으키는 무자비한 테러전을 없애려면 종교 간 장벽을 없애고 대화를 강화해야 한다며, ‘초종교(超宗敎)’ 운동에 나섰다. 한국에서는 이단 시비 때문에 여의치 않으므로 주로 미국을 무대로 초종교 운동을 펼친다. 즉 미국에 있는 UN 회.. 2. Humanities/23_생각해볼글 2016.11.15